References
-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 지성사, 2012.
- H. J. Shaffer, D. A. LaPlante, R. A. LaBrie, R. C. Kidman, A. N. Donato, and M. V. Stanton, "Toward a syndrome model of addiction: Multiple expressions, common etiology,"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Vol.12, No,6, pp.367-374, 2004. https://doi.org/10.1080/10673220490905705
- S. E. Caplan,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a theory of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psychosocial well-be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0, No.6, pp.625-648, 2003.
- I. Goldberg, "Internet addiction disorder," Retrieved November, No.24, 1996.
-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 No.3, pp.237-244, 1998. https://doi.org/10.1089/cpb.1998.1.237
- 김교헌,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중독,"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7권, 제2호, pp.159-179, 2002.
- 고은영, 최윤영, 최민영, 박성화, 서영석, "외로움, 대인 민감 및 페이스북 중독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3호, pp.713-738, 2014.
- 이상호,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 (KSAI) 제안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1호, pp.255-265, 2013.
- 김형지, 김정환, 정세훈,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요인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29권, 제4호, pp.55-93, 2012.
- 우형진, "미디어 이용자의 자아 안정성, 성향적 미디어 이용 동기, 플로우, 그리고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4호, pp.101-140, 2007.
- 이상호, 고아라, "소셜미디어 중독의 영향 요인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6호, pp.176-210, 2013.
- F. Y. Hong, D. H. Huang, H. Y. Lin, and S. L. Chiu,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traits, Facebook usage, and Facebook addiction model of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1, No.4, pp.597-606, 2014. https://doi.org/10.1016/j.tele.2014.01.001
- P. T. Costa and R. R. McCrae,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r)," The SAGE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assessment, Vol.2, pp.179-198, 2008.
- 김병선, "미디어 기술의 정신병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 사회, 제22권, 제2호, pp.150-191, 2014.
- 안미선, 소셜미디어(SNS) 이용거부 요인에 관한 연구: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형지, 최홍규, 김성태, 안미선, 이유민, "소셜미디어 이용거부자의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4호, pp.439-464, 2012.
- 김영임,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와 사회 적 지지감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407-419, 2015.
- 안범희, 대인관계론, 태영출판사, 2010.
- 김형지, 김민성, 오대규, 김성태,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이용, 대인관계, 그리고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31권, 제1호, pp.163-198, 2014.
- 박웅기, "청소년의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4호, pp.305-342, 2013.
- 김위근, 최민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 향: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미투데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0호, pp.150-171, 2011.
- 이상욱, 이지은, 한성준, 정동훈,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자기노출, 공유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방향, 그리고 관계 유형 차원의 이해와 행태,"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30권, 제4호, pp.87-129, 2013.
- D. J. Kuss and M. D. Griffiths,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No.8, pp.3528-3529, 2011.
- 신재욱, 신민철,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의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9집, 제3호, pp.329-360.
- 양혜승, 김진희, 서미혜, "페이스북은 우리의 관계를 윤택하게 하는가?:페이스북 이용행위, 사회적지지 인식의 관계 고찰,"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5호, pp.270-297, 2012.
- R. A. Davis,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7, No.2, pp.187-195, 2001. https://doi.org/10.1016/S0747-5632(00)00041-8
- W. R. D. Fairbairn, "Schizoid factors in the personality" Psychoanalytic studies of the personality, pp.3-27, 1940.
- H. Kohut,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 1971.
- E. D. Klonsky, "What is emptiness? Clarifying the 7th criterion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Vol.22, No.4, pp.418-426, 2008. https://doi.org/10.1521/pedi.2008.22.4.418
- O. F. Kernberg, Severe personality disorders :Psychotherapeutic strategies, Yale University Press, 1993.
- W. D. Ellison, L. Rosenstein, I. Chelminski, K. Dalrymple, and M. Zimmerman,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ingle Feature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ger, Affective Instability, Impulsivity, and Chronic Emptiness in Psychiatric Outpatients,"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pp.1-10, 2015.
- T. J. Trull and T. A. Widiger,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criteria and dysthymia symptom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13, No.2, pp.91-105, 1991. https://doi.org/10.1007/BF00961425
- 최리라, 경계선 성격장애에서 공허감 척도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04/0200000000AKR20151104062600009.HTML?input=1195m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7281954341&code=970201
- 황성욱, 박재진,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심리적 문제점 요인분석," 광고연구, 겨울 91호, pp.68-95, 2011.
- https://www.jwt.com/en/worldwide/news/jwtexploresfearofmissingoutreportsxswpresentationspotlighthowbrandscanleveragefomo/
- 진보래, 이연경, 박남기, "모바일 메신저 이용의 스트레스 요인," 한국방송학보, 제28권, 제6호, pp.168-210, 2014.
- 이정권, 최영,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1호, pp.115-148, 2015.
- M. Z. Yao and Z. J. Zhong, "Loneliness, social contacts and Internet addiction: A cross-lagged panel stud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No.30, pp.164-170, 2014.
- 이새봄, 문재영, 곽준식 "테크노스트레스에 따른 소비자 선택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402-410, 2014.
- 주영주, 정애경, 강정진, 이민영, "기본심리욕구와 페이스북 중독 및 지속사용의도의 구조,"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호, pp.183-191, 2016.
- 황유선, "페이스북 일상담화의 감정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1-1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001
- S. Turkle, Alone Together: Why We Expect More from Technology and Less from Each Other, Yew York: Basic Book,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