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미지 기반 SNS의 사용성 평가 연구

An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of Image based SNS

  • 이미경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 박진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투고 : 2016.04.04
  • 심사 : 2016.05.24
  • 발행 : 2016.08.28

초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환경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사용자의 니즈가 다양해지면서 새로운 형태의 이미지 기반 SNS가 등장하고 있다. 이미지 기반 SNS는 기존의 페이스북과 같은 관계기반 SNS에서는 충족될 수 없었던 사용자의 세분된 콘텐츠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의 다양화를 선도하고 있다. 이미지 기반 SNS는 작은 모바일 화면에서 보기 불편했던 기존의 텍스트 기반 SNS와는 달리 간단한 텍스트와 이미지를 위주로 소통하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문자보다 이미지에 익숙한 20대의 젊은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주 사용자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SNS의 UI 기능과 역할도 다양해졌으므로 그만큼 사용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기반 SNS의 주 이용자인 20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용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UI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휴리스틱 평가 방법을 바탕으로 하였고 사용성을 이루는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여 사용성 평가 방법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만족도 측정을 추가하여 이미지 기반 SNS를 이용하는 20대의 사용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미지 기반 SNS의 사용성에 영향을 끼치는 사용성의 요소를 분석하였고, 이는 소셜 미디어의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 사용성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Service and with the diversification of user needs, new types of image-based SNS have emerged. Image-based SNS provides customized service to meet users' specified contents needs that have yet to be satisfied in conventional relation-based SNS like Facebook, leading the trend of service diversification. Unlike text-based SNS that has inconvenient view on a small mobile screen, image-based SNS provides the communication way focused on simple text message and image, and thus the main users of the image-based SNS are young people in their 20s who get accustomed to images, rather than text messages. Accordingly, the functions and roles of SNS UI have varied, and usability has been more important. With the users in their 20s who use image-based SNS,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the usability of the image-based SNS. To do that, heuristic evaluation method was applied to find UI problems. The main factors constituting usability were extracted, and user evaluation method was redesigned. Aside from the satisfaction measurement, this study conducted and analyz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users in their 20s who used actual image-based SNS. This study analyzed usability factors that influenced of image-based SNS users. The analysis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to improve usabilit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ocial media service.

키워드

참고문헌

  1. 오형용, 민병원, "스마트폰 앱 디자인 스타일 및 사용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129-136,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129
  2.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5.
  3.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확산과 동향, 2012.
  4. WGDPT, Report and Guidance on Privacy in Social Network Services: "Rome Memorandum", 43rd meeting, 2008.
  5. 나스미디어 트렌드전략팀, "관심사로 소통하는 SNS," Media Issue Report, 2015.
  6. C. Hall and M. Zarro, "Social curation on the website Pinterest.com,"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49, Issue.1, pp.1-9, 2012.
  7. 오병근, 강성중 지음, 정보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08.
  8. https://ko.wikipedia.org/wiki/
  9. 이영선, 오형용, 민병원, 오용선,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에 최적화된 모바일 웹 사용성 개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5-6, 2011.
  10. Jakob Nielson, Usability Engineering, Morgan Kaufmann, 1993.
  11. 장원석, 지용구, "스마트폰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 방안," 한국전자거래학회지, p.36, 2011.
  12. 최용수, 김승인, "TABLET PC의 디지털큐레이션 매거진 서비스 사용성 평가," 디지털디자인학연구, p.7, 2013.
  13. Alison J. Head 저, 박광식, 김형렬 옮김, 웹 시대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2000.
  14. Steve Krug 저, 김지선 옮김, 상식이 통하는 웹사이트가 성공한다, 2006.
  15. 전민수, UI 사용성 테스트 실무, 멘토르, 2011.
  16.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설 SW공학센터, 한국디자인진흥원 SW개발 UI/UX 참조모델 가이드, 미래창조과학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