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with Self-resilience on Adolescents Anger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탄력성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 Received : 2016.04.08
  • Accepted : 2016.05.11
  • Published : 2016.08.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with self-resilience on adolescents' anger and to suggest for teaching method. For research, Anger, self-esteem, self-resilience was measured to total of 419 adolesc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irstly, anger were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emotion regulation, diversity of Interests and interest, self-esteem in schools. Secondly, anger-in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self-esteem in schools, self-esteem in social, emotion regulation. Thirdly, anger-control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emotion regulation, self-esteem in family. Fourthly, interaction effects of the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was statistically confirmed on anger. Fifthly, interaction effects of the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was statistically confirmed on anger-control.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분노에 대해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미치는 영향과 함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하고 분노에 대한 지도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41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노,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분노 수준은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조절과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부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분노억제는 자아 존중감의 하위요인인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조절이 부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분노 조절은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조절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정적 영향을 주었다. 넷째, 분노 수준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노 조절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미, 염유식, 박연민,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심리적 안녕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충동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36-247, 2013.
  2. 김영미,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과 심리적 적응 및 비행문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470-481, 2016.
  3. 김효은,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동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4. 류혜옥, "청소년의 분노대처 방식과 패스트푸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1권, pp.61-78, 2003.
  5. 박효정, 정미경, 박종효,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6. 변보기, 강석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적대감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9권, 제3호, pp.269-291, 2002.
  7. 송혜정, 집단상담 프로그램 비행청소년의 공격성, 분노조절,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8. 오성주,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 이미지 착오와 편견극복을 위한 교육적 대안-," 기독교교육논총, 제34권, pp.259-283, 2013.
  9. 오종은, 이재연, "일반청소년과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불안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2권, 제5호, pp.163-178,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5.163
  10. 이미리, "청소년기 분노정서 경험의 발달과 자아존중감, 부모, 친구, 학업, 여가 맥락의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2호, pp.127-143, 2009.
  11. 이은철.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에 대한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640-64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640
  12. 이창옥, 김난예, "부모 양육태도와 하나남 이미지가 후기 아동기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교육논총, 제34권, pp.93-120, 2013.
  13. 이혜순, 옥지원,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38-446, 2012.
  14. 임미옥, 송민경, 김청송, "청소년 특질에 기반 한분노, 사회적지지, 심리적 부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7권, 제2호, pp.501-523.
  15. 전겸구,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연구(2)," 재활심리연구, 제3권, pp.53-69, 1996.
  16. 전귀연, 최보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및 가족체계 유형이 부모-청소년기 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31권, 제3호, pp.157-173, 1993.
  17. 정은옥, 심리적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8. 조은하, "기독교 청소년 교육에 대한 창조적 성찰," 기독교교육논총, 제34권, pp.147-168, 2013.
  19. 홍경자, 채유경, 이명자,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 지각된 부모양육 태도가 그들의 분노 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권, 제1호, pp.161-181, 2000.
  20. J. A. Apsche, C. K. Bass, J. L. Jennings, C. L. Murphy, L. A. Hunter, and M. A. Siv, "Empirical comparison of three treatments for adolescent males with physical and sexual aggression: mode deactivation therapy,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social skills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Consultation And Therapy, Vol.2, No.1, pp.140-148, 2005.
  21. B. B. Asgeirsdottir, G. H. Gudjonsson, J. F. Sigurdsson, and I. D. Sigfusdottir, "Protective processes for depressed mood and anger among sexually abused adolescents: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9, No.5, pp.402-407, 2010. https://doi.org/10.1016/j.paid.2010.04.007
  22. V. D. Barrio, A. Aluja, and C. Spielberger, "Anger assessment with the STAXI-CA: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new instru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7, No.2, pp.227-244, 2004. https://doi.org/10.1016/j.paid.2003.08.014
  23. L. A. Curry and L. M. Youngblade, "Negative affect, risk perception, and adolescent risk behavio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7, No.5, pp.468-485, 2006. https://doi.org/10.1016/j.appdev.2006.06.001
  24. E. Franck and R. De Raedt, "Self-esteem reconsidered: Unstable self-esteem outperforms level of self-esteem as vulnerability marker for depress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5, No7, pp.1531-1541, 2007. https://doi.org/10.1016/j.brat.2007.01.003
  25. R. B. Jarros, G. A. Salum, C. T. B. D. Silva, R. Toazza, M. D. A. Costa, J. F. D. Salles, and G. G. Manfro, "Anxiety disorders in adolescence are associated with impaire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to negative valence,"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46, No.2, pp.147-151, 2012. https://doi.org/10.1016/j.jpsychires.2011.09.023
  26. M. A. Kerr and B. H. Schneider, "Anger ex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Review Article,"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8, No.4, pp.559-577, 2008. https://doi.org/10.1016/j.cpr.2007.08.001
  27. Y. J. Park, H. Ryu, K. S. Han, J. H. Kwon, H. K. Kim, H. C. Kang, and H. Shin, "Anger, Anger Ex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Vol.24, No.3, pp.168-177, 2010. https://doi.org/10.1016/j.apnu.2009.04.004
  28. M. J. Pearce, T. D. Little, and J. E. Perez, "Religiousn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Vol.32, No.2, pp.267-276, 2003.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3202_12
  29. G. S. Wilson, M. E. Pritchard, and B. Revalee, "Individual differences in adolescent health symptoms: the effects of gender and coping," Journal of Adolescence, Vol.28, No.3, pp.369-379, 2005.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4.08.004
  30. D. Zimprich and A. Mascherek, "Anger expression in Swiss adolescents: Establishing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gender in the AX scales," Journal of Adolescence, Vol.35, No.4, pp.1013-1022, 2012.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12.0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