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문대학교 언어재활과 학생들의 실습 불안과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 및 진로결정 수준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ractical Training Anxie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tudents Majoring in Language Rehabilitation in College

  • 이명순 (상지영서대학교 언어재활과) ;
  • 박현 (상지영서대학교 언어재활과)
  • 투고 : 2016.04.21
  • 심사 : 2016.07.14
  • 발행 : 2016.08.28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 언어재활과 학생들의 실습불안,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을 평가하여 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자료들은 18.0 SPSS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성적, 실습시간에 따라 Mann-Whitney test와 kruskal-wallis test 등 비모수 검정과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과 학생들은 학년에 따라 실습불안의 실습내용 및 운영과 실습평가와 진로결정수준의 확신수준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언어재활과 학생들은 성적과 실습시간에 따라 실습불안,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의 대부분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앞으로 다양한 분석과 표집을 통한 차후 연구로 전문대학교 언어재활과 학생들의 진로 지도 지원에 대한 토대를 이룩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used three types of survey, an anxiety for practice, a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a career decision level for students majoring in language rehabilitation in college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guide for practice and career decision. By using 18.0 SPSS statistic package, the data has examined with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and Bonferroni test based on student's grade, academic record and practice duration.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based on grad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veral subfactors of the anxiety for practice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Second, based on an academic point and practice dura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veral subfactors of the anxiety for practice,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the career decision level. Consequently grade, academic record and practice duration influenced student's conception for practice and career.

키워드

참고문헌

  1. D. E. Super,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 L. Brooks(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2nd ed.), CA: Jossey-Bass, 1990.
  2.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서울: 동문사, 1986.
  3. 김성식,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VI) 대학이후 및 신규 코호트 조사 설계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2010.
  4. 금명자, 남향자, "전국대학생의 대학생활 기대 및 정신건강," 인간이해, 제31권, 제1호, pp.105-127, 2010.
  5. 신종원, 대학생의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과 희망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6.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중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7. 김명아, 임지영, 김숙영, 김은정, 이종은, 고유경, "간호대생의 진로태도 성숙과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383-391, 2004.
  8. 이주재, 이재경, "보견계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효능감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 사회과학 연구, 제39권, 제3호, pp.319-339, 2014.
  9. 강연한, 박종삼, "임상실습을 경험한 보견계열 학생들의 임파워먼트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223-23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223
  10. 황성자,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05-213, 2006.
  11. 윤지혜, 김정완, "언어치료 전공 학생들의 언어재활 실습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 언어치료연구, 제22권, 제4호, pp.251-270, 2013.
  12. 김경주, 김기홍, 박경선, "도립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수준 및 학업적 자아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7권, 제2호, pp.1-25, 2012.
  13. 양선이, "간호대생의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334-345, 2014.
  14. A.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9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5. N. E. Betz, K. L. Klein, and K. M. Taylor,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ment, Vol.4, No.1, pp.47-57, 1996.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103
  16.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7. S. H. Osipow, career decision scale: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0.
  18.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 유형과 진로결정 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19. 황현정,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0. 양소호, Likert형 척도의 반응 형식에 따른 양호도 비교: 범주의 수와 중립반응범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1. 양선희, 임상실습시 간호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분석적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2. J. P. Deniels, "Induction into the workplace: The impact of internship,"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Vol.25, No.1, pp.80-95, 1984. https://doi.org/10.1016/0001-8791(84)90038-1
  23.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24. 이승주, 박윤기, "물리치료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태도 조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5권, 제1호, pp.25-37, 1993.
  25. 조성연, 이선순, "성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127-140, 2006.
  26. 이소라, 음악치료 전공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임상불안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7. 곽혜원, 이지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147-155,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2.147

피인용 문헌

  1. A Nationwide Survey on Clinical Curricula and Practica in Speech-Language Pathology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 vol.23, pp.3, 2018, https://doi.org/10.12963/csd.18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