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ystems Thinking Study on the Program Management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Daegu Metropolitan Area

대구지역의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시스템사고적 고찰

  • Received : 2016.06.01
  • Accepted : 2016.06.24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ynamic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rogram management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Daegu metropolitan area and further search for the measures to activate its development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deals with the followings. Firstly, it overviews the legal bases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and its present condition and further reviews the relevant studies. Secondly, it summarizes its methodologies. Third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it draws the major variables to understand its program management and analyzes its causal feedback structure and dynamics. Lastly, it concludes with the measures to activate its program manage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useful resource to dynamically understand the program management issu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주. (2015). "창의인성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정서지능과 창의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경영연구 제2권 2호: 143-167.
  2. 김남숙. (2013).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사회 연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12호: 803-810.
  3. 김미숙. (2006). "지역사회 빈곤아동 지원정책 고찰: 지역아동센터 정책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제114호: 78-90.
  4. 김미애. (2015).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자기표현향상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미정.이경은.장덕희. (2012).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자원 연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8권 4호: 409-428.
  6. 김소영.이근매. (2010).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위한 사회성 향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미술치료연구 제17권 제6호: 1333-1355.
  7. 김유화. (2010).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연계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부천시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서울기독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8. 김인. (2010).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서 교회의 역할". 교회사회사업 제14권: 63-101.
  9. 김준기.정복교. (2007).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발전과제". 보육지원학회지 제7권 3호: 67-100.
  10. 김현숙.서윤. (2013). "지역아동센터의 네트워크 연계기관수 및 네트워크 지속성, 서비스 지속성 영향요인 연구: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제34권 6호: 159-175. https://doi.org/10.5723/KJCS.2013.34.6.159
  11. 김현주.현안나. (2011).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지역사회서비스 연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제32권 5호: 103-119. https://doi.org/10.5723/KJCS.2011.32.5.103
  12. 김현정.최은영. (2014).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부모자녀관계, 사회적 자본, 자아존중감". 보건사회연구 제34권 1호: 239-267.
  13. 김희진. (2014). "방과후 돌봄서비스 제공기관 간의 연계에 관한 고찰 : 지역아동센터와 방과후 학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맹세호.박창우. (2015).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일상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강릉시 A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16권: 33-53.
  15. 모윤숙. (2015). "지역아동센터의 합창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명순.최길순.이선희.이진승. (2012). "지역아동센터와 연계한 소외 계층 과학문화 활동의 진행 과정과 의미". 현장과학교육 제6권 1호: i-iv.
  17. 보건복지부. (2008). 2008년도 아동복지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8. 보건복지부. (2014). 2014년 지역아동센터 운영매뉴얼. 서울: 보건복지부.
  19. 보건복지부. (2015). 2015년 지역아동센터 지원 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0. 보건복지부.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2014).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21. 보건복지부.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2015).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22. 윤혜순. (2009). "지역아동센터의 효과분석을 위한 참여관찰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 제7권 40호: 43-55.
  23. 이영순.민소영. (2013). "지역아동센터 이용자와 제공자의 프로그램 욕구 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제11권 1호: 13-25.
  24. 조미아. (2012). "지역아동센터에서 노인의 독서교육 활동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1호: 195-2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1.195
  25. 조성숙. (2015). "시스템사고에 근거한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 방안".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제16권 제2호: 33-52.
  26. 조성숙.정은아.최윤옥. (2015). 대구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지역아동센터 대구지원단 연구조사보고서). 대구: 지역아동센터 대구지원단.
  27. 지역아동정보센터. (2008). 지도로 보는 전국지역아동센터 현황 자료.
  28. 지은구.조성숙. (2010).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학지사.
  29. 하정화.박금식.권채련.김기만.김진호.문동민.이미옥.이선희. (2013). 부산지역 지역아동센터 운영 표준프로그램 개발(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보고서 2013-15). 부산: 부산여성가족개발원.
  30. 허혜진. (2010).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또래 관계 기술 증진을 위한 창작 음악극 프로그램 효과 연구". 음악치료교육연구. 7권 1호(통권 12호): 3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