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한국에서의 미국 도서번역 사업의 전개와 의미

The U.S. Government's Book Translation Program in Korea in the 1950s

  • Cha, Jae Young (Department of Communi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5.30
  • 심사 : 2016.07.18
  • 발행 : 2016.08.15

초록

이 연구는 1950년대 미국정부가 문화냉전의 와중에서 공공외교의 일환으로 해외에서 수행했던 도서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윤곽을 살펴본 후, 한국에서 시행한 도서번역 사업의 전개 과정과 목적 및 내용을 분석하고, 사업의 성과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한국에서의 미국 도서번역 사업은 미군정기부터 극히 미진한 수준에서 시작되었지만,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본격화되어 1950년대 후반에 최고조에 도달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1950년대 미국 국무성과 대외공보국(USIA)의 지침에 따라 주한 미공보원(USIS)이 수행했던 도서번역 사업의 목적은 시기에 따라 개별적인 비중이 변화되기는 했어도, 대체로 미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공산주의 사회의 부조리와 모순을 비판하며, 미국의 외교 정책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예술 문학 과학 부문에서의 미국의 성취를 전파하려 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번역 도서를 선정할 때 미국의 대외정책과 모순되거나 국가적 이미지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는 도서는 철저히 배제하였고, 미국정부의 공보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는 소수의 한국인 저작물에 대해서는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도서번역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일본어 번역서를 활용하는 것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러한 미국정부의 도서번역 사업은 한국이 해방과 분단으로 겪게 된 지식과 정보의 공백 상태를 극복하는 데 일정하게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미국정부의 정책적 기준에 따른 도서 선정으로 말미암아 한국인들의 대미 인식이나 세계정세 판단에 왜곡을 초래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dealt with the U.S. government's book translation project as a part of its public diplomacy to gain the Korean people's 'minds and thoughts' in the midst of cultural Cold War from the end of World War II to the late 1950s. It was found that the U.S. book translation project was begun during the U.S. military occupation of South Korea, though with minimum efforts, and reached its peak in the late 1950s, In general, the purposes of the U.S. book translation project in South Korea was as follows: to emphasize the supremacy of American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to criticize the irrationality of communism and conflicts in the communist societies; to increase the Korean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U.S. foreign policies; to publicize the achievement of the U.S. people in the areas of arts, literature, and sciences. In the selection of books for translation, any ones were excluded which might contradict to U.S. foreign policy or impair U.S. images abroad. It must be noted that publications of a few Korean writers' books were supported by the project, if they were thought to be in service for its purposes. Even some Japanese books, which were produced by the U.S. book translation project in Japan, were utilized for the best effects of the project in South Korea. It may be conceded that the U.S. book translation project contributed a little bit to the compensation for the dearth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South Korea at that time. However, the project may have distorted the Korean people's perspectives toward the U.S. and world, owing to the book sel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 government's policy guid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경향신문 (1952. 3. 16). 일서적 수입단속-이공보처장 판매자 등에 주의. 2면.
  2. 그레고리 헨더슨 (1959). 한미 간의 문화관계. <국제평론>, 2호, 67-76.
  3. 김균 (2007). 미국의 대외 문화정책을 통해 본 미군정 문화정책. <한국언론학보>, 44권 3호, 40-75.
  4. 김성한 (1963). 주간이라는 직함과 아름다운 추억. <사상계>, 10권 4호, 274-276.
  5. 김용권 (1967). 한국문학에 끼친 미국의 영향과 그 연구. <아세아연구>, 10권 2호, 135-149.
  6. 김준엽 (1957). 아시아 민족해방운동. <사상계>, 5권 3호, 130-140.
  7. 동아일보 (1956. 1. 22). 지지부진한 도서번역사업. 3면.
  8. 문교부 (1958). <문교개관>. 서울: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9. 박지영 (2009). 해방기 지식장의 재편과 '번역'의 정치학. <대동문화연구>, 68권, 423-480.
  10. 박지영 (2010). '번역'의 시대, 번역의 문화정치: 1950년대 번역 정책과 번역문학장. <대동문화연구>, 79권, 477-514.
  11. 신일철 (1961). 소리없는 혁명. <사상계>, 9권 11호, 271-279.
  12. 신집호 (1959). 도서 번역 사업의 연혁과 전망. <문교월보>, 46호, 52-54.
  13. 이중연 (2005). <책, 사슬에서 풀리다: 해방기 책의 문화사>. 서울: 혜안.
  14. 장영민 (2009). 한국전쟁기 주한 미국공보원의 선전 정책. <군사>, 76호, 121-156.
  15. 장영민 (2011). 한국전쟁기 주한 미국공보원의 선전 활동: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57집, 123-160.
  16. 정진숙 (1997). <을유문화사 50년사>. 서울: 을유문화사.
  17. 조효원 (1954). 아세아민족주의 정도를 위하여. <사상계>, 2권 11호, 107-119.
  18. 최덕교 편 (2004). <한국잡지백년 3>. 서울: 현암사.
  19. 허은 (2008).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 허은 (2013). 미국의 문화냉전과 '자유 동아시아'의 구축, 연쇄 그리고 균열: 미국정부의 도서계획과 한국사회 지식인의 인식. <민족문화연구>, 59호, 559-611.
  21. 홍효민 (1959. 3. 19). 근대문화와 번역사업. <경향신문>, 4면.
  22. Barnhisel, G. (2013). Cold warriors of the book: American book programs in the 1950s. Book History, 13(1), 185-217. https://doi.org/10.1353/bh.2010.0010
  23. Barnhisel, G. (2015), Cold War modernists: Arts, literature, and American cultural diplomacy.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24. Barnhisel, G., & Turner, C. (Eds.) (2010). Pressing the fight: Print, propaganda, and the Cold War. Amherst, MA: University of Massachusettes Press.
  25. Blum, R. (1956). The work of the Asia Foundation. Pacific Affairs, 29(1), 46-56. https://doi.org/10.2307/3035457
  26. Brazninsky, G. (2007). Nation building in South Korea: Koreans, Americans, and the making of a democracy. 나종남 (역) (2011). <대한민국 만들기, 1945-1987: 경제 성장과 민주화, 그리고 미국>. 서울: 책과함께.
  27. Cull, N. J. (2008). The Cold War and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American propaganda and public diplomacy, 1945-198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Hench, J. H. (2000). Books as weapons: Propaganda, publishing, and the battle for global markets in the era of World War II.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29. Kraske, G. E. (1985). Missionaries of the book: The American library profession and the origins of United States cultural diplomac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30. Leary, C. (2012). The most careful arrangements for a careful fiction: a short history of Asia pictures. Inter-Asia Cultural Studies, 13(4), pp. 548-558. https://doi.org/10.1080/14649373.2012.717601
  31. Osgood, K. (2006). Total Cold War: Eisenhower's secret propaganda battle at home and abroad. Lawrence, KS: University Press of Kansas.
  32. Richmond, Y. (2003). Cultural exchange and Cold War: Raising the iron curtain. University Park, P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