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위험이슈 노출과 사회자본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isk Issue Exposure and Social Capital on Risk Perception in Social Media

  • 곽은아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 최진호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 한동섭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Kwak, Eun-A (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Hanyang University) ;
  • Choi, Jin-Ho (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Hanyang University) ;
  • Han, Dong-Sub (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Hanyang University)
  • 투고 : 2016.05.31
  • 심사 : 2016.07.18
  • 발행 : 2016.08.15

초록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수용자의 현실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텔레비전, 인터넷, 페이스북)를 통한 위험이슈 노출 및 결속적, 교량적 사회자본이 사회적 개인적 현실 위험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전염성 질병, 성범죄, 방사능 오염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위험이슈별로 미디어 유형과 사회자본에 따라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염성 질병과 방사능 오염 이슈에 대해 교량형 사회자본은 사회적 위험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결속형 사회자본은 개인적 위험인식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성범죄 이슈에 대해서는 결속형 사회자본이 사회적 개인적 위험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노출량과 사회자본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위험이슈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 위험인식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미디어 변인과 소셜 미디어 연구에서 중요하게 취급되는 사회자본 변인을 함께 고려하여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isk perception of reality on social media. Specifically, we analyzed how exposure to risk issues through media and bridging/bonding social capital influence social and personal risk perception. Here, we categorized risk issues into infectious diseases, sex crimes, and radioactive contaminatio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effect that the type of media and social capital have on risk perception vary depending on the risk issues. Regarding issues of disease and radiation, bridging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risk perception whereas bonding social capital had a negative effect on personal risk perception. In the case of sex crimes, bonding social capital affected both social and personal risk perception negatively, an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posures and social capital could be fou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iders both media variables from previous studies and social capital variables essential to social media studies and combines the two in order to study the factors that influence risk percep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천섭.이양환(2014). 재난의 특성에 따른 미디어 이용과 정보 전달 채널로서의 사회적 자본: 재난 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4권 3호, 5-41.
  2. 금희조 (2010).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참여적 사회 자본: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연결적 vs. 결속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4권 5호, 9-46.
  3. 금희조 (2011).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5권 5호, 7-48.
  4. 기원선.차희원 (2012). 소셜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특성, 미디어 몰입 그리고 조직: 공중관계성 간 관련성. <한국언론학보>, 56권 6호, 162-195.
  5. 김경래.나인섭 (2012).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정책선거: 선거공론장으로서의 SNS. <인문사회과학연구>, 통권 36호, 5-30.
  6. 김봉수 (2015. 11. 6). 일본 원전 사고 4년여 지났지만 우리 국민 방사능 우려 여전. <세계일보>. URL: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11/06/20151106001398.html
  7. 김상현.전홍식 (2015). 정보 전달자의 사회적 거리감, 정보원 신뢰도, 메시지의 양면성이 소비자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정보 수용자의 관여도가 높은 상황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6권 8호, 35-59.
  8. 김영욱.이현승 (2014). 미디어 레퍼토리, 위험특성과 위험커뮤니케이션 인식이 원자력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10권 4호, 1-25.
  9. 김영욱.이현승.이혜진.장유진 (2015).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과 의견형성에 관한 연구: 프로모션 기사 인식정도와 관여도에 따른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72호, 52-91.
  10. 김원용.이동훈 (2005). 핵폐기장 중심 원자력 관련 보도에 나타난 매체별 갈등보도의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방송학보>, 19권 4호, 168-213.
  11. 김은이 (2015). SNS(트위터.페이스북)가 시민.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미 비교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 37호, 81-113.
  12. 김은이.정선영.문원기 (2015). SNS, 사회자본 네트워크 유형, 그리고 정치참여: SNS(트위터와 페이스북)의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9권 1호, 175-200.
  13. 김종기.김진성 (2012). SNS에서의 관계형성 정도와 개인의 정보공유 태도가 정보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정책>, 19권 2호, 57-84.
  14. 김준홍 (2011).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원자력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비개인적 영향가설 검증. <한국언론학보>, 55권 6호, 254-275.
  15. 김지현.김윤경.심홍진 (2013). 성범죄에 대한 개인의 위험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7권 2호, 342-368.
  16. 김진태.황성욱 (2015). SNS 상호작용성, 위기책임성, 메시지전략이 PR공중의 위기에 대한 인식과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9권 1호, 149-180.
  17. 김태은 (2015. 6. 4). 병보다 먼저 도착하는 공포에 대해. <허핑턴포스트>. URL: http://www.huffingtonpost.kr/taeeun-kim/story_b_7507932.html
  18. 나은경 (2013). 텔레비전 시청 장르별 시민성 및 가치관 계발 효과의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권 7호, 150-157.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150
  19. 나은경.김도연 (2012). 리얼리티 표방 TV 프로그램 장르의 문화계발 효과: 현실유사성 인식의 매개와 숙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57호, 181-201.
  20. 나은영.이민영 (2015). 트위터의 일본 방사능 위험 정보가 낙관적 편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9권 6호, 339-362.
  21. 남선아 (2012). .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류현숙.홍승희 (2015). 소셜미디어를 통한 위험인식과 위험소통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1권 8호, 91-114.
  23. 박경인.조창환 (2014). SNS상의 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용자의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5권 5호, 153-180.
  24. 박상호 (2012). SNS의 여론형성과정과 참여행태에 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58호, 55-73.
  25. 박상희.이수영 (2011). 질병태도와 인터넷에서의 건강정보추구행태에 기반한 건강정보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5권 4호, 105-133.
  26. 박지선.박상조 (2013). 언론의 범죄 관련 보도가 대중의 범죄 발생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찰학논총>, 8권 1호, 295-316.
  27. 박희봉.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3). 한국인의 신뢰수준 및 영향요인 : 단체참여 및 개인의 사회, 경제적 배경과 대인신뢰, 단체신뢰, 대중매체 신뢰. <한국정책학회보>, 12권 3호, 199-227.
  28. 백경열 (2012. 9. 21). 실체 없는 괴담에 "무서워 못 살겠다". <영남일보>. URL: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20921.010070734410001
  29. 백상기.이양환.장병희.류희림 (2011). LA 지역 재외동포들의 한국 뉴스미디어 노출 및 주목이 모국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문화계발효과 검증. <한국방송학보>, 25권 6호, 332-374.
  30. 손현정.이종혁 (2012). 성범죄 보도가 여성 수용자의 사회적 현실인식에 미치는 영향: 2단계 문화계발 모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언론학보>, 56권 2호, 357-378.
  31. 송해룡.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분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분쟁해결연구>, 10권 1호, 65-98.
  32. 신소연.이상우 (2012).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들이 형성하는 사회자본 유형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권 4호, 191-232.
  33. 심미선 (2011). 미디어환경 변화와 성폭력행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미디어와 교육>, 1권 1호, 83-114.
  34. 심수현 (2014).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우관란.송희석 (2012). SNS에서 대인신뢰의 영향요인: 트위터 사용자 경우. <정보기술과 데이터베이스저널>, 19권 2호, 197-215.
  36. 우형진 (2006). 문화계발이론의 '공명효과' (resonance effect)에 대한 재고찰: 위험인식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권 6호, 254-276.
  37. 우형진 (2007). 텔레비전 뉴스 시청이 시청자의 건강증진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2호, 308-333.
  38. 윤성준 (2013). 사회적 자본의 효과에 관한 네트워크적 접근. , 14권 1호, 203-224.
  39. 이민규.김영은 (2009). 질병 관련 인터넷 정보 이용 효과 연구: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9권 4호, 506-539.
  40. 이민영 (2011). <미디어 형식과 위험 통제성이 수용자의 과학기술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1. 이상돈.이수영.김군주 (2015). 소셜미디어와 사회적지지 경험: 페이스북의 게시글에 대한 타 이용자의 반응유형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 22권 1호, 85-121.
  42. 이시내.이경렬 (2013). SNS 이용자들의 온라인 구전(eWoM)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적 특성, SNS 특성, 대인적 영향,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5권 4호, 273-315.
  43. 이재신 (2012). 미디어 형식과 위험 메시지 구성이 감정적 위험인식과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과학>, 23권 4호, 457-485.
  44. 이준웅.장현미 (2007). 인터넷 이용이 현실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문화계발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2호, 363-391.
  45. 이형민.박진우.한동섭 (2015). PR커뮤니케이션의 담론 경쟁과 편향적 언론 보도 : 원자력 이슈에 대한 여론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6권 6호, 233-261.
  46. 임지훈 (2016. 1. 29). 공기 통해서도 전파? "감염 모기에 물렸을 때 위험". <서울경제>. 14면.
  47. 정익재 (2010). 인터넷 환경에서 사회 이슈 증폭 현상의 정책적 의미: 천성산원효터널공사 사례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19권 4호, 327-543.
  48.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 특성, 위험 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 이슈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7권 4호, 72-109.
  49. 채영길 (2014). 네트워크 사회운동과 SNS: Save Jeju Island (SJI) 운동사례.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5권 1호, 89-102. https://doi.org/10.7472/jksii.2014.15.1.89
  50. 최윤정 (2016). 우리는 평소 원자력 안전 이슈를 어떻게 다루는가? <한국언론학보>, 60권 1호, 229-262.
  51. 최진호.한동섭 (2011). 정치인 트위터와 신문.방송뉴스의 의제 상관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1권 2호, 501-532.
  52.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한국위기관리논집>, 7권 2호, 1-22.
  53. Brooks, B., Hogan, B., Ellison, N, Lampe, C., & Vitak, J. (2014). Assessing structural correlates to social capital in Facebook ego networks. Social Networks, 38, 1-15. https://doi.org/10.1016/j.socnet.2014.01.002
  54. Bryant, J., & Thompson, S. (2001). Fundamentals of Media Effects. 배현석 (역) (2005). <미디어 효과의 기초>. 서울: 한울.
  55. Case, D. O., Johnson, J. D., Andrews, J. E., Allard, S. L., & Kelly, K. M. (2004). From two-step flow to the internet: The changing array of sources for genetics information seeking,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5(8), 660-669. https://doi.org/10.1002/asi.20000
  56. Cho, H., Lee, J. S., & Chung, S. (2010). Optimistic bias about online privacy risks: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prior experie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5), 987-995. https://doi.org/10.1016/j.chb.2010.02.012
  57. Cho, S. E., & Park, H. W. (2013). Social media use during Japan's 2011 earthquake: How twitter transforms the locus of crisis communication. Media International Australia, 149(1), 28-40. https://doi.org/10.1177/1329878X1314900105
  58. Cohen, J., Cohen, P., West, S. G., & Aiken, L. S. (2003). Applied multipel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in the behavioral sciences (3rd Ed.). Mahwah, MJ: Eelbaum.
  59. Coleman, C. (1993). The influence of mass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societal and personal risk judgment. Communication Research, 20(4), 611-628. https://doi.org/10.1177/009365093020004006
  60. Gerbner, G., & Gross, L. (1976). Living with television: The violence profile. Journal of Communication, 26(2), 172-194. https://doi.org/10.1111/j.1460-2466.1976.tb01397.x
  61. Hawkins, R. P., & Pingree, S. (1982). Television's influence on social reality. In D. Pearl, L. Brouthilet, & J. Lazar (Eds.), Television and behavior: Ten years of scientific progress and implications for the eighties (Vol. 2) (pp. 224-247). Rockville, M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62. So, J., Cho, H., & Lee, J. (2011). Genre-specific media and perceptions of personal and social risk of smoking among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16(5), 533-549. https://doi.org/10.1080/10810730.2010.546488
  63. Snyder, L. B., & Rouse, R. A. (1995). The media can have more than an impersonal impact: The case of AIDS risk perceptions and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7(2), 125-145. https://doi.org/10.1207/s15327027hc0702_3
  64. Lipkua, I., Klein, W., Skinner, C., & Rimer, B. (2005). Breast cancer risk perceptions and breast cancer worry. Journal of Risk Research, 8(5), 439-452. https://doi.org/10.1080/1366987042000311018
  65.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이강형 (역) (2008).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파주: 나남.
  66. Morton, T. A., &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https://doi.org/10.1177/009365001028005002
  67. Putnam, R.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Y: Simon & Schuster.
  68. Tyler, T. R., & Cook, F. L. (1984). The mass media and judgments of risk: Distinguishing impact on personal and societal level judg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693-708. https://doi.org/10.1037/0022-3514.47.4.693
  69. Valkenburg, P. M., Peter. I., & Shooten, A. P. (2006). Friend networking sit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dolescents' well-being and social self-esteem.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9(5), 584-590. https://doi.org/10.1089/cpb.2006.9.584
  70. Verroen, S., Gutteling, J. M., & De Vries, P. W. (2013). Enhancing self-protective behavior: Efficacy beliefs and peer feedback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33(7), 1252-1264. https://doi.org/10.1111/j.1539-6924.2012.01924.x
  71. Westerman, D., Spence, P. R., & van der Heide, B. (2014). Social media as information source: Recency of updates and credibility of informat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9(2), 171-183. https://doi.org/10.1111/jcc4.12041
  72. Yen, C. (2015). How to unite the power of the masses?: Exploring collective stickiness intention in social network sites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sharing.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35(2), 118-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