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라이제이션과 지역발전을 위한 창조적 장소만들기

Creative Place-making for Regional Development in the Era of Glocalization

  •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 남기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 Lee, Byung Min (Department of Digital Culture and Contents, Konkuk University) ;
  • Nahm, Kee Bom (Department of Urban Sociology, The University of Seoul)
  • 투고 : 2016.06.25
  • 발행 : 2016.06.30

초록

세계의 경제가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이라는 조건 속에서 변화하면서, 국가의 역할은 축소되고, 도시 및 지역의 공간적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지고 있으며, 관련하여 장소의 역할에 대해 장소마케팅이나 장소브랜딩 등을 통해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결과로서의 마케팅전략보다는 과정과 참여를 중요시하는 광의적 의미의 종합적인 '장소만들기'가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본 논문은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발전이라는 부분에 집중하여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전략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재조명하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콘텐츠산업을 통한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한국과 일본사례의 검증을 통하여,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 장소마케팅과 장소브랜딩, 장소만들기의 융합모델을 제시하고, 가치사슬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원의 투입과 과정, 산출 등 각 과정의 특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특히, 문화를 기반으로 장소를 해석하고, 지역공동체에서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목표를 위해 어떻게 선순환구조를 만들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Global society is shifting and now evolving towards glocalization, meaning the increasing role of region and multi scalar interactions between region and global social world. In this glocalization era, there has been mushrooming literature and much discussions on the impacts of place-branding and place-marketing on regional development both in academia and practical researches. The inclusive and participatory creative place-making process, however, is more quintessential than the resultant place marketing strategy. This paper tries to reassess the creative place-making based on culture-led regional development perspectives. Specifically it compares Korea and Japan's strategies and suggests a hybrid model of place-making-branding-marketing, utilizing cultural content industries. It then stresses the importance of building a virtuous circle of sustainable regional cultural industrial ecosystem including culture-based interpretation of places and improvement of community quality of lif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정.신지연, 2015, "글로벌시대 초국가 기업의 장소 마케팅이 지방도시의 로컬리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스타벅스 코리아'의 로컬화 전략을 사례로," 로컬리티 인문학 14, 257-292.
  2. 김현호, 2003, "장소판촉적 지역발전을 위한 장소자산형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36, 77-95.
  3. 김형국, 2002. 고장의 문화판촉: 세계화 시대에 지방이 살길, 학고재.
  4. 박배균, 2010,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498-513.
  5. 백선혜, 2004,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888-906.
  6. 서귀포신문 2015년 8월 4일, "아시아 CGI창조센터 일대 문화광장 들어선다".
  7. 서수정, 2007,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국토계획, 42(7), 125-143.
  8. 서울역사박물관, 2014,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성수동: 장인, 천번의 두들김.
  9. 서울특별시, 2014,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2030 서울 플랜.
  10. 어정연.여홍구, 2010, "장소개념에서의 장소가치에 대한 논의," 국토계획 45(6), 21-34.
  11. 이무용, 2005,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 전략, 논형.
  12. 이무용, 2006,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14(1), 39-57.
  13. 이범훈.김경배, 2010, "인천 개항장의 장소만들기 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1(5), 95-112.
  14. 이병민, 2016, "문화자산을 토대로 한 도시재생과 지역발전 -<서울동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51-67.
  15. 이영민, 2001,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장소의 역사 , 지리적 의미의 재구성 - 인천 구도심지를 사례로 -," 한국도시지리학회지, 4(2), 1-12.
  16. 이정훈, 2008, "연성軟性) 지역개발의 주요수단으로서 장소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3(3), 873-893.
  17. 장신영, 2008, 서울 도심 역사.문화 환경의 장소자산적 가치와 기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수희, 이병민, 2016, "에코뮤지엄의 속성을 통해 본 도시의 문화적 지속가능성 연구: 한국 경기도 광주시와 일본 가나자와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23, 171-192.
  19. 제주레저신문 2016년 5월 19일, "아시아 CGI애니매이션 센터 드디어 오픈".
  20. 조명래, 2011, "문화적 도시재생과 공공성의 회복: 한국적 도시재생에 관한 비판적 성찰," 공간과 사회, 21(3), 39-65.
  21. 최강림, 2006, 신도시 개발과정에서의 장소만들기에 관한 연구: 수도권 '평촌신도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최강림, 2007, "도시정체성과 장소만들기-'장소만들기'를 통한 도시정체성 확립의 방향," 도시문제 42, 20-30.
  23. 최강림, 2008, 신도시개발과 장소만들기, 한국학술정보.
  24. Brenner, Neil, 1999, Globalisation as Reterritorialisation: The Re-scaling of Urban Governance in the European Union, Urban Studies, 36(3), 431-451. https://doi.org/10.1080/0042098993466
  25. Carmona, M., Heath, T., Oc, T., Tiesdell, S., 2010, Public Places Urban Spaces: The Dimensions of Urban Design, Routledge.
  26. Govers, R., and Go, F., 2009, Place Branding: Global Virtual and Physical Identities, Constructed, Imagined and Experiences, Palgrave Macmilian.
  27. Hamdi, N., 2010, The Placemaker's Guide to Building Community (Earthscan Tools for Community Planning), Routledge.
  28. Harvey, D., 1989, From Managerialism to Entrepreneurialism: The Transformation in Urban Governance in Late Capitalism, Geograf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raphy, 71(1), 3-17. https://doi.org/10.1080/04353684.1989.11879583
  29. Kavaratzis, M., 2004, From city marketing to city branding; Toward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eveloping city brands, Journal of Place Branding. 1, 58-73, Palgrave. https://doi.org/10.1057/palgrave.pb.5990005
  30. Knox, Paul L. 2005. Creating Ordinary Places: Slow Cities in a Fast World, Journal of Urban Design 10(1), 1-11. https://doi.org/10.1080/13574800500062221
  31. Markusen, A., 2010, Creative Place Making, Markusen Economic Research Services Metris Arts Consulting.
  32. Musterd, S., and Kovacs, Z., (ed.), 2013, Place-making and Policies for Competitive Cities, John Wiley & Sons, Ltd.
  33.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Pion, London.
  34. Tayebi, S., 2006, How to design the brand contemporary city (http://www.urbanitude.com/citybranding.pdf).
  35. Wyckoff, M. A., 2014, Definition of Placemaking: Four Different Types, MSU Land Policy Institute.
  36. Zenker, S., and Jacobsen, B. P. (ed.) 2015, Inter-Regional Place Branding Best Practices, Challenges and Solutions,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