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구역 분리가 지역의 인구와 산업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충청북도 괴산군과 증평군을 사례로

A Study on the Effec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Separation to the Changes of Population and Industry in a Region: A Case Study on Goesan-gun and Jeungpyeong-gun, Chungcheongbuk-Do

  • 투고 : 2016.06.18
  • 발행 : 2016.06.30

초록

충청북도 괴산군과 증평군은 2003년에 행정구역이 분리되었다. 괴산군은 농촌, 증평군은 도시 지역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구역이 분리된 충청북도 괴산군과 증평군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충청북도 괴산군과 증평군의 변화를 인구와 최고지가, 산업별 종사자와 입지 계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괴산군의 인구는 감소, 증평군의 인구는 증가하였고, 최고지가의 상승률은 증평군이 더 높다. 2013년 기준으로 입지 계수를 보면, 증평군은 제조업과 생산자 관련 서비스업, 괴산군은 농업과 광업, 소비자 관련 서비스업이 발달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괴산군과 증평군의 지역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Goesan-gun and Jeungpyeong-gun, Chungcheongbuk-Do have been separated administratively since 2003. Goesan-gun is rural area, and Jeungpyeong-gun is urba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changes after the separ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Goesan-gun and Jeungpyeong-gun, Chungcheongbuk-Do). This study observed changes of Goesan-gun and Jenugpyeong-gun, Chungcheongbuk-Do based on population, the highest land value, employees and location quotient. Population of Goesan-gun has decreased, and that of Jeungpyeong-gun has increased. The highest land value of Jeungpyeong-gun ha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Goesan-gun. Observation of location quotient, with the location quotient of 2013 as a criterion, showed that manufacturing business and producer service business have developed in Jeungpyeong-gun, while agriculture and customer service business have developed in Goesan-gun. This result i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regional characteristic of Goesan-gun and Jeungpyeong-gun.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개발연구원, 1997, 경기도 도.농 복합시의 행정수요 분석과 기능재조정방안에 관한 연구: 평택시를 중심으로.
  2. 국토해양부.한국감정평가협회, 2004년, 2015년 표준지 공시지가 조사.평가 업무 요령.
  3. 김대원, 1999, "통합시의 생산성 증대 효과 분석," 한국행정학보, 33(3), 327-344.
  4. 김동훈.정진헌, 1996, "도농통합형 행정구역개편의 효과 분석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7, 235-277.
  5. 김석태, 이영조, 2004, "광역시.도 통합론 비판과 그 대안으로서 광역거버넌스의 가능성," 한국행정논집, 16(4), 691-711.
  6. 김안제, 1979, 환경과 국토, 박영사.
  7. 김용웅.차미숙.강현수, 2003, 지역발전론, 한울아카데미.
  8. 김재홍, 2000, "도농통합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정부의 효율성 변화에 미친 영향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9(2), 47-62.
  9. 박종관, 1999,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종관.조석주, 2001, "시.군 통합에 의한 행정구역개편 정책의 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2(3), 57-77.
  11. 박희정, 1994, "시.군 통합 이후의 지역발전과제," 지방행정, 43, 20-68.
  12. 배인명, 2000, "시.군 통합의 성과 평가: 재정적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9(1),139-161.
  13. 손승호, 2013, "인구 규모의 변화를 통해 본 도농통합시의 차별적 성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1) 통권 38, 85-98.
  14. 손재식, 1991, 한국지방자치의 진통, 박영사.
  15. 신영재, 1999, 통합시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 평택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영재, 2013, "평택항 개항에 따른 배후지역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3), 416-435.
  17. 신용철, 2014, "시멘트 공업지역의 공간 변화: 충북 단양군 매포읍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1), 59-79.
  18. 유성종 2000, "광양제철소의 입지와 지역경제의 변화," 한국경제지리학회지, 3(2), 63-80.
  19. 이규환, 1994, "시.군 통합의 도시정책," 도시문제, 313, 24-38.
  20. 이시원.민병익, 2005, "시.군 통합의 효율성과 주민 만족도간 관계유형 분석," 지방정부학회보, 9(4), 367-388.
  21. 이정록, 2000, "광양만권의 공업화와 지역경제의 변화," 국토계획, 35(2), 175-186.
  22. 이정록, 이철, 나주몽, 2015, "2012 여수세계박람회가 여수지역에 미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2), 137-151.
  23. 이재원, 2005, 행정구역과 생활권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충기, 2003, "월드컵 외국인 방문객의 실제 관광지출액 추정과 그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학연구, 26(4), 11-26.
  25. 이희연, 2014, 경제지리학, 법문사.
  26. 임석회, 1994, "한국행정구역 체계의 문제점과 개편의 방향," 대한지리학회지, 53, 65-83.
  27. 정세욱, 1995, 지방행정학, 법문사.
  28. 정성호, 2006, "폐광지역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개발: 태백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7(2), 219-249.
  29. 최재송, 1999, "시군통합의 성과에 대한 중간 평가,"경기대학교 인문사회과학논집, 43(1), 335-354.
  30. 최준호, 2001, "수면 위로 떠오른 광역시.도 통합문제," 지방자치, 149, 24-29.
  31. 최흥석.정재진, 2005, "도농통합의 재정적 효과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19(4), 145-172.
  32. 한주성, 2007, 인구지리학, 한울아카데미.
  33. 홍준현, 1997, "시.군 통합에 의한 행정구역개편의 효과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8(2), 59-90.
  34. 홍준현, 2005, "시.군 통합이 지역 내 및 지역 간 균형성장에 미친 효과,"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1), 299-324.
  35. 괴산군, 증평군 홈페이지.
  36. 충청일보, 1963년 1월 24일자.
  37. 희망21증평협의회, 2008, 증평군 설치백서.
  38. 2004년 괴산군 통계연보.
  39. 2004년 증평군 통계연보.
  40. 2004 기준 충청북도 사업체 조사보고서.
  41. 2013 기준 충청북도 사업체 조사보고서.
  42. .Alonso, W., 1975, The Economics of Urban Size, J. Fridman & W. Alonso, eds., Regional Policy: Readings in Theory and Applications, The MIT Press, Cambridge, 437-439.
  43. Bryson, J., Daniels, P. and Warf, B., 2004, Service Worlds. People, Organizations, Technologies, Routledge, London.
  44. Burns, P. A., Hatch, J. A. and Mules, T. I., 1986, The Adelaide Grand Prix: The Impact of a Special Event, Center for South Australian Economic Studies, Adelaide.
  45. Chisholm, M., 1990, Region in Recession, Restructuring and Resurgence?, Unwin Hyman, London, 5-17.
  46. Cromption, J. I., 1995, Economic Impacts of Sports Facilities and Events: Eleven Sources of Misapplicatio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9(1), 14-35. https://doi.org/10.1123/jsm.9.1.14
  47. Cromption, J. I. and Makay, S. L., 1994, Measuring the Economic Impacts of Festivals and Events: Some Myths, Misapplications and Ethical Dilemmas, Festival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2(1), 33-43. https://doi.org/10.3727/106527094792335782
  48. Dwyer, L., Forsyth. P. and Spurr, R., 2004, Estimating Tourism's Economic Effects: New and Old Approaches, Tourism Management, 25(3), 307-317. https://doi.org/10.1016/S0261-5177(03)00131-6
  49. Dwyer, L., Forsyth. P. and Spurr, R., 2005, Estimating the Impacts of Special Events on the Economy, Journal of Travel Reseach, 43(4), 351-359. https://doi.org/10.1177/0047287505274648
  50. Getz, D., 2005, Event Management and Events Tourism (2nd. ed.), Elmsford, Cognizand Communication Corporation, NY.
  51. Hartson, T., 1980, Interpreting the city: An Urban Geography, John Wile & Sons, New York.
  52. Horne, J. D. and Manzenreiter, W., 2004, Accounting for Mega-Events Forecast and Actual Impacts of the 2002 Football World Cup Finals on the Host Countries Japan/Korea,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Sociology of Sport, 39(2), 187-203. https://doi.org/10.1177/1012690204043462
  53. Kim, H. Y., Gursoy, D. and Lee, S., 2006, The impacts of the 2002 World Cup on South Korea: comparisons of pre-and post games, Tourism Management, 27(1), 86-96. https://doi.org/10.1016/j.tourman.2004.07.010
  54. Lineberry, Robert L., 1970, Reforming Metropolitan Governance: Requiemor Reality, The Georgetown Law Journal, 58, 676-678.
  55. Long, P. T. and Perdue, R., 1990, The Economic Impacts of Rural Festivals and Special Events: Assessing the Sparila Distribution Expenditures, Journal of Travel Reseach, 28(4), 10-14.
  56. Oates, W. E., 1972, Fiscal Federalism, Harcourt Braco Javanovich, New York, 11-13.
  57. Smith, 1995, B. C., Decentralization: The Territorial Dimension of the State, George Allen & Unwin, London, 201-206.
  58. Swyngedouw, E. A., 1992, The Mammon Quest: 'Globalization' Interspatial Competition and the Monetary Order, the Construction of New Scales, in Dunford, M. and Kafkalas, G.(eds.), Cities and Regions in the New Europe, Belhaven Press, London, 39-67.
  59. Tiebout, C. M., 1965,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4(Oct.), 416-424.
  60. Tiebout, C. M., 1972,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 in Edel, M. and Rothenberg, J(eds), Readings in Urban Economics, MacMillian Publishing Co, 513-523.
  61. Tyrrell, T. J. and Johnston, R. J., 2001,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ssessing Direct Economic Impacts of Tourist Events: Destinations, and Causes of Expenditures. Journal of Travel Reseach, 40(1), 94-101. https://doi.org/10.1177/004728750104000112
  62. Warnick, R. B., Bojanic, D. C. and Xu, F., 2015, Using a Trade Market Analysis Technique to Refine Measurements for Economic Impacts Analysis of Special Events, Journal of Travel Reseach, 54(1), 52-65. https://doi.org/10.1177/0047287513513160
  63. http://map.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