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 은퇴준비 행동, 은퇴만족도 사이에서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의 조절효과

Control Effect of 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on Retirement and Senior Life Perception, Retirement Preparation Actions, and Retirement Satisfaction Level

  • 김남원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장선철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투고 : 2016.05.11
  • 심사 : 2016.06.14
  • 발행 : 2016.07.28

초록

평균수명 연장과 2010년부터 베이비부머들이 은퇴하고 노인인구로 편입되면서 은퇴 후 삶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불안감을 제거하기 위한 선행연구들은 은퇴인식과 경제적 은퇴준비가 은퇴 후 삶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에 따라 은퇴준비 관련 변인들이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이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 은퇴준비 행동, 은퇴만족도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1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전국 만 20세부터 69세 이하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연구 목적과 절차를 안내하는 서한과 함께 우편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수거하거나 연구자가 직접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83건을 제외한 설문지 1,41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적 은퇴준비를 잘할수록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이 긍정적이고, 은퇴준비 행동도 적극적으로 할 가능성이 높으며, 은퇴만족도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보편적이고 실제적인 은퇴준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and retirement of baby-boomers from 2010 made big population senior citizens, and concerns about retirement was heightened. Researches to remove the concerns about retirement found out that awareness for senior age life and financial preparation actions for retirement influence retirement lif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influence of 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on related variables, and analyzed its control effect on retirement and senior life perception, retirement preparation actions, and retirement satisfaction level. For that, from Nov 2015 to Feb 2016, this research surveyed 1,500 people from 20 to 69, by mailing or visiting with survey, noting purpose and process of research, eliminating 83 insufficient replies, and analyzing 1,417 surveys. This result shows the better retirement preparation, the more positive retirement and senior life perception, retirement preparation actions, and retirement satisfaction level.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as basic data for general and practical retirement preparation program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www.kostat.go.kr
  2. 김종모, 노후생활인식과 재무교육이 은퇴준비와 만족예측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 http://www.kiri.or.kr/html/search1.asp
  4. 이지영, 최현자,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자금 충분성과 영향요인: 객관적 충분성과 주관적 인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韓國老年學, 제29권, 제1호, pp.215-230, 2009.
  5. 여윤경, "한국 중산층 가계의 노후자금 적정성," 韓國老年學, 제25권, 제1호, pp.21-36, 2005.
  6. 유인순, 최수일,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천안지역 공단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245-26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245
  7. 김연진, 한국형 은퇴준비 척도타당화 연구, 단국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8. 배문조, 전귀연,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제7호, pp.89-102, 2004.
  9. 홍성희, 곽인숙,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2호, pp.89-104, 2007.
  10. 여윤경, 김진호, "한국가계의 은퇴자산 적정성 판단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금융연구, 제21권, 제2호, pp.1-30, 2007.
  11. 박창제,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pp.275-297, 2008.
  12. 성영모, 오제은, 박승민, "은퇴에 관한 국내 연구 경향분석," 가족과 상담, 제3권, 제2호, pp.39-56, 2013.
  13. Roland Robertson, "Role Theory, Concepts and Research by Bruce J. Biddle,"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17, No.4, pp.442-443, 1966. https://doi.org/10.2307/589196
  14. 여윤경, 정순희, 문숙재, "한국가계의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 중산층 가계의 주관적 은퇴준비 충분성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제10권, 제3호, pp.129-155, 2007.
  15. 허균석, 경제적 은퇴준비 특성과 은퇴생활수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6. 한경혜, 김주현, 백옥미,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의 관련 요인 탐색: 심리적 요인과 자원 요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133-162, 2012.
  17. R. Atchley, "A continuity theory of normal aging," Gerontologist, Vol.29, pp.183-190, 1989. https://doi.org/10.1093/geront/29.2.183
  18. 배문조, "직장인의 은퇴기대가 은퇴준비교육요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45-158, 2007.
  19. 강유진, "한국 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59-174, 2005.
  20. 여윤경, "Rowe와 Kahn의 성공적 노화 개념: 문화적 요소의 결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40권, pp.65-96, 2014.
  21. 김정현, 중년 남성의 포커싱적 태도가 은퇴준비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중년남성교사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2. 김주성, "영세 독거노인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227-239, 1999.
  23. 조주연, 권중돈,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韓國老年學, 제20권, 제3호, pp.61-76, 2000.
  24. 김윤정,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24권, pp.197-213, 2004.
  25. 배문조, 전귀연, "성인기의 노후준비의식과 노후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3-24, 2010.
  26. 배문조, 개인적 심리적 직업관련 변인이 은퇴기대와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7. 서석희, 이정윤, "집단상담: 노년기 자아통합감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상담학 연구, 제9권, 제1호, pp.85-102, 2008.
  28. 이루리, 은퇴인식과 여가만족도가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중년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9. 배재덕,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은퇴 태도가 은퇴준비에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복지실천학회지, 제5권, 제2호, pp.101-119, 2013.
  30. 강정애, 은퇴 예정자의 은퇴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은퇴 만족과의 관계분석,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1. Vicki Schram Fitzsimmons, Tahira K. Hira, Jean W. Bauer, and Jeanne L. Hafstrom, "Financial management: Development of scale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Vol.14, No.3, pp.257-274, 1993. https://doi.org/10.1007/BF01022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