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생명보험설계사의 직무경험 의미 탐색

Searching the Meaning of Life Insurance Planner's Job Experiences

  • 김연철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직교육과) ;
  • 한상길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직교육과)
  • 투고 : 2016.03.30
  • 심사 : 2016.04.21
  • 발행 : 2016.07.28

초록

이 연구는 생명보험설계사의 직업적 안정과 고성과 및 고소득 창출을 위한 직무경험 의미의 탐색이다. 연구방법은 영업현장에서 활동 중인 생명보험설계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 후 그들의 직무경험 의미 탐색을 위해 내러티브접근 연구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생명보험설계사의 직무역량 인식수준은 경험의 차이에 따라 달랐다. 경험이 전무 한 후보자 시절에는 생명보험설계사의 직무를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입문교육을 마친 신입설계사는 상품지식과 컨설팅능력을 갖춰야 할 수 있는 일로, 그리고 경험이 쌓일수록 고객을 대하는 훌륭한 태도와 꾸준히 일하는 습관이 형성되어야 설계사로서 성공할 수 있다는 그들의 인식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명보험설계사가 느낀 직무경험 의미는 직업의 가치 인식과 사명감으로 봉사하는 일이라고 판단하였고, 그들의 성공적인 직무활동 기대요인은 스스로를 교사, 의사, 천사의 역할 수행 및 개인과 가정의 경제적 안정을 지키는 행복전도사로 인정을 받고, 이를 위한 전문 봉사활동가로 직무역량을 과시하고자 함을 기대하고 있음이 탐색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life insurance planner's job experiences achieving job security, high performance and high income. After 6 of life insurance planners working in the field were chosen as the study participants, we use narrative approach to studying the meaning of their job experiences. The study shows that perception about job competency of planners depends on the level of experience: candidates who had no experience at all feel that anyone can perform planner's job, new employees after introduction training program see planners can do with product knowledge and consulting competency, and experienced people admit they can perform successfully only when they have good attitude towards customers and do all their work in a conscientious manner. Also, the meaning of planner's job experiences is identified as awareness of work value and serving customers with their commitment. The anticipated factors that make planner's job performed successfully are playing a role as a teacher, doctor, and angel, being regarded as happiness preacher for economic stability of individuals and families, and displaying their performance as exper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주, 세대별, 성별,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직업가치관 및 직업선호도 차이 분석,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 강호정, "국내 생명보험회사의 상대적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4호, pp.323-330,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4.323
  3. 곽진현, 초등학생 직업인식 교육프로그램 효과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 권기성, 기업교육에서 ARCS모형을 적용한 게임 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파악 : 보험회사 영업팀장 교육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 김남기, 이현옥, 이동수, "영업사원의 관계신념이 적응적 판매 및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보험 영업사원 경력의 조절효과," 한국산업경제저널, 제1권, 제2호, pp.151-171, 2009.
  6. 김민덕, "세일즈맨.쉽에 관한 소고,"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논총, 제2권, 제4호, pp.134-139, 1968.
  7. 김석우, 최태진,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2007.
  8. 김영주, 보험영업 관리자의 감성지능이 보험설계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김인영, Salesmanship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66.
  10. 김정민,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다문화 대안학교 학습경험 탐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1. 김주섭 외, 삶과 꿈 그리고 직업, nosbos, 2013.
  12. 김태형 외, "입사전후 직업가치의 인식차이에 따른 종업원태도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1권, 제3호, pp.407-434. 2014.
  13. 김하곤, 보험산업 변화에 따른 보험설계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4. 김현주, 기혼여성의 직업가치가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5. 남용국, 교육훈련이 생명보험설계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6. 박현주,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에 따른 직업정보요구도 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7. 신경림외,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18. 어윤수, 생명보험사 영업사원의 영업방식과 특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 엄기문, 보험영업사원이 지각한 관리자의 감성 리더십이 영업사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0. 오기석, 우승찬, "감성지능과 보험설계사의 영업성과에 관한 소고," 보험연구원 보험금융연구, 제41권, 제10호, pp.97-119, 2004.
  21. 오연수, 가족상담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중독 완화 과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2. 이경미, 김상현, "영업사원의 관계판매행동이 관계품질과 고객자산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영영학연구, 제44권, 제6호, pp.1629-1659, 2015.
  23. 이무근, 직업교육학원론, 교육과학사, 2003.
  24. 이재경,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법에 대한 고찰: 마케팅 역량 강화 교육과 정체계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4호, pp.25-56, 2002.
  25. 이종훈, 최은수, "손해보험회사 영업소장의 리더십 및 교육역량과 보험설계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이 보험설계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평생교육.HRD연구,제5권,제3호, pp.99-125, 2009.
  26. 임언, 정윤경, 상경아, 직업가치관검사 개발보고서, 직업능력개발원, 2001.
  27. 전희주, 안철경, "음이항 회귀모형을 이용한 보험설계사들의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보험금융연구, 제69권, 제10호, pp.2-60, 2012.
  28. 정귀자, 김중인, 정세창, "생명보험회사 보험설계사의 조직동일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험금융연구, 제76권, 제0호, pp.37-60, 2014.
  29. 정덕화, "보험서비스에서 고객만족과 전환장벽이 고객유지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7호, pp.344-354,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7.344
  30. 정덕화, 정철호, "보험기업의 CRM정보 특성 및 시장지향성이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교육의 조절효과-," 한국전략마케팅학회 마케팅논집, 제19집, 제3호, 2011.
  31. 정범모, 가치관과 교육, 배영사, 1972.
  32. 정용국, 매니저팀 운영 교본, 대한생명보험(주), 2010.
  33. 조해정, 보험설계사의 영업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4. 최승일, "보험 상품의 특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06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제4권, 제5호, pp.118-121, 2006.
  35. 최정호, 조유미, "보험영업소 환경 및 교육이 판매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6호, pp.3205-3222, 2011.
  36. K. Charmaz,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London: Sage, 2006.
  37. F. M. Connelly and D. J. Clandinin,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sisco: Jossey-Bass Publishers, 2000.
  38. F. M. Connelly and D. J. Clandinin,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Rducational Researcher, Vol.19, No.5, pp.2-14, 1990.
  39. J. W. Creswell, 질적연구방법론(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학지사, 2010.
  40. S. Duke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human science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Vol.23, No.3, pp.197-203, 1984. https://doi.org/10.1007/BF00990785
  41. K. M. Eisenherdt, "Building Theories from Case Study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14, No.4, pp.532-550, 1989.
  42. J. Huber and K. Whelan, "A marginal story as a place of possibility: Negotiating self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landscap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15, pp.381-396, 1999. https://doi.org/10.1016/S0742-051X(98)00048-1
  43. A. M. Huberman and M. B. Miles, Date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in Denzin, N. R. & Lincolin, Y. S. (ed).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428-441, California: Sage, 2000.
  44. A. L. Kalleberg, "Work Values and job erward: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American Sological review, Vol.42, No.1, pp.124-143, 1977. https://doi.org/10.2307/2117735
  45. IIrving Seidman,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박혜준.이승연 공역), 학지사, 2009.
  46. http://www.fss.or.kr/
  47. http://www.klia.or.kr/
  48. http://www.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