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Co-Utilization Policy of Research Equip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Bottom-up Apprach in Policy Implemention

연구장비 공동활용 정책의 집행 효율화 방안: 정책집행의 상향적 접근 중심으로

  • 이찬구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국가정책대학원 과학기술정책 전공)
  • Received : 2016.04.05
  • Accepted : 2016.06.2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In Korea, co-utilization of research equipments has been low, even though co-utilization policies for them have been implemented for a long time. This situation results because the policy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for the co-utilization of research equipments have been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policy maker not from those of the researchers and equipment managers. Therefore, this work has been conducted for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co-utilization of research equipments as well as for discussing the future developments of its more co-utilization in the basic research programs by adopting the bottom approach in policy implementation theory. The research shows that firstly principal investigators, especially professors in universities, have placed a relatively low priority on the co-utilization of research equipments, secondly implementation resources such as high quality technicians and affordable budget for co-utilization are scare, thirdly incentives for the activation of co-utilization in the stage of daily operation of research equipments are lacking. As a result, the study tries to develop a more economic means and information tools for the promotion of co-utilization of research equipments in the perspectives of bottom-up approach in policy implementation theory.

이 연구는 연구장비 공동활용 정책의 꾸준한 시행에도 불구하고 저조한 공동활용의 원인이 정책집행이 현장관료 또는 정책대상자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정책결정자의 시각에서 이루어져 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책집행의 상향적 접근법에서 기초연구사업을 수행하는 현장 연구자들과 장비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장비 공동활용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공동활용에 대한 연구 책임자들의 중요성 인식이 여전히 낮은 편이며, 실제의 공동활용 과정에서는 필요한 집행자원이 부족하며, 공동활용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상적인 관리단계에서의 유인책도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초연구사업에서의 연구장비 공동활용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관리단계별로 정책집행의 상향적 관점에서 유인도구와 정보도구 중심의 정책수단 도구들을 개발 논의하고자 노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사원 (2013), 국가 R&D 감사 백서, 서울.
  2. 강상순 (2014), "충북대학교 연구장비의 효율적 활용방안 : 정보공개와 정책의 철저한 실행이 핵심", 과학과 기술, 2014년 3월호, 32-36.
  3. 강인규 (2014), "경북대학교 연구장비의 효율적 활용방안 : 첨단 분석장비 공동활용으로 --00000-지역산업발전 견인한다", 과학과 기술, 2014년 3월호, 28-31.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범부처 연구시설.장비 공동활용 촉진 세부 추진방안(안)".
  5.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연구정책관실 (2011), 2011년도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6.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013-2017), 서울.
  7.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0),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 표준지침, 서울.
  8.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2015), "국가연구시설장비관리서비스: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 시설장비관리서비스", http://nfec.ntis.equip/organ (2015.08.18.).
  9.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2011가),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 표준지침 이행 권고: 부처 및 연구관리 전문기관용, NFEC MANUAL 제3호, 대전.
  10.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2011나),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 표준지침 이행 권고: 연구기관용, NFEC MANUAL 제4호, 대전.
  11.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2015), "NFEC: NFEC 소개: 연혁: 전체연혁 다운로드", http://www.nfec.go.kr/nfec/sub01_01,do (2015.08.18.).
  12. 권기헌.이홍재.차용진.김태영 (2006),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형 연구시설 투자우선순위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0(1): 101-123.
  13. 권기헌.차용진.이홍재 (2007),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형연구시설 및 장비 평가모형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0(1): 121-142.
  14. 권혁진.박성현 (2014), "국가공간정보정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6(1): 103-119.
  15. 김인종.김영우 (2010), "부패방지 정책집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7(2): 183-206.
  16. 김호균 (2006),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정책집행 영향요인 모형설정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문화예술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5(2): 79-107.
  17. 대덕넷(HelloDD) (2015), "100만원 장비구매도 규제: 탁상행정의 진수"(2015.12.27.).
  18. 모창환.조창현 (2008), "철도와 전력산업 구조개혁의 정책집행 비교분석: 정책집행 성공 요인론의 적용과 시사점", 한국정책학회보, 17(1): 139-168.
  19. 미래창조과학부 (2012), 2012년도 국가연구시설장비 조사.분석 보고서, 서울.
  20. 미래창조과학부 (2013), 2013년도 국가연구시설장비 운영관리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21.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2014; 2015), 2012/2013/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서울.
  22. 미래창조과학부.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 (2015), "정부 연구개발 혁신방안(안)",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2015.5.13.).
  23. 박건식 (2014), "서울대학교 연구장비의 효율적 활용방안 : 체계적이고 경쟁력 있는 공공 기기원 활성화해야", 과학과 기술, 2014년 3월호, 24-27.
  24. 박경귀 (2002), "문화정책의 집행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 세계 춤축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4): 229-252.
  25. 박석종 (2009), 국가 연구시설.장비 공동활용 이슈 분석 및 제언, KISTEP R&D Focus 2009-4(통권 제15호),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6. 박은미 (2006), "모성보호정책집행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행정논집, 18(4): 1205-1231.
  27. 산업통상자원부 (2014), "산업부.미래부, 연구시설장비 관리시스템 서로 연계키로 : e-Tube와 NTIS 정보를 공유하여 연구현장의 불편 해소",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14.10.23.).
  28. 설성수.김인호 (2006), "한국의 연구장비 현황과 구축패턴", 기술혁신학회지, 9(3): 471-495.
  29. 소대섭.조대명.이준우.최철호.박정일 (2008), "시험.분석.연구장비의 공동활용에 대한 파급효과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58-65.
  30. 오현정 (2015), "연구시설.장비 공동활용 법제화 및 등록기준 개선",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내부자료.
  31. 오현정.이찬구 (2015),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의 정책도구 정합성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4(4): 61-90.
  32. 유경만.김동우.박정민.구중억.김성연.홍윤미.고미경.황은정.윤준영 (2008), 연구시설장비 효율적 확대 및 공동활용 제도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33. 유경만.김동우.이훈현.원동규.이선영.황은정.이유정.장하리 (2010), 연구시설장비 관리체계의 표준화 정책연구, 교육과학기술부.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34. 유석천.정욱.박찬규 (2010), "공공 연구시설 활용 증진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 RFID/USN 종합지원센터의 서비스 품질, 이용자 만족, 재이용 및 추천의도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과학회지, 35(2): 37-51.
  35. 유훈 (2008), 정책집행론, 서울: 대영문화사.
  36. 이규환.한형교 (2012), "새주소 사업의 정책집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4(1): 123-144.
  37. 이연택.김형준 (2014), "관광경찰제도의 정책집행 영향요인 연구",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관광연구논총, 26(3): 25-49.
  38. 이정순 외 (1999), 범국가적 연구장비 DB구축을 위한 기획조사사업, 한국과학재단.기초과학지원연구소.
  39. 이정한.황춘근.김은수 (2011), "전자태그를 이용한 해양 연구 기기 및 장비 통합관리시스템",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4(3): 192-404.
  40. 이찬구 외 (2012),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장비구입.공동활용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교육과학기술부.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41. 이찬구 (2015), "기초연구 분야 연구장비 관리체계 발전방향",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6(1): 269-296.
  42. 이혜숙 (2012), "첨단 연구장비 전문인력 육성 시급하다", 과학과 기술, 513호(2012년 2월호), 2-3.
  43. 임성민.정욱 (2009), "공공 R&D 시설.장비의 공동 활용 전략에 대한 연구 : 사업별 서비스 품질개선 및 운영주체의 역할 재조정", 기술혁신학회지, 12(2): 388-412.
  44. 전자신문 (2012가), "연구장비, 인력 부족해 놀린다니", (2012.02.09.).
  45. 전자신문 (2012나), "R&D 자금 중복 지원, 중기정책 관리구멍, 고가장비 이용률 저조 지적", (2012.10.09.).
  46. 전자신문 (2014), "출연연 연구장비 운영관리 여전히 부실", (2014.10.13.).
  47. 정동진 (2010), "국외출장 결과보고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내부 자료.
  48. 정정길.최종원.이시원.정준금.정광호 (2013), 정책학원론(개정증보 7판), 서울: 대명출판사.
  49. 조국현 (2004),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National Project의 성공적 정책집행 요인", 기술혁신연구, 12(3): 73-96.
  50. 조만형.이재광.홍민철 (2013), 대형연구시설 운영 및 공동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51. 조현대.이재억.강영주(2010), "일본의 첨단 연구장비.시설 공공활용 제도 및 시사점", STEPI Issues and Policy 2010-04,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2. 지식경제부 산업기술정책관 (2010), "국가 연구장비 관리 효율화 추진계획 : 지식경제부 연구장비 중심", 지식경제부 내부 자료.
  5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15), "Home: KBSI소개: 연혁", http://www.kbsi.re.kr/introduce02 (2015.08.20.).
  54. 한국연구재단 (2011), 2011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 통계연보.
  55. 함명인.이재원 (2013), "연구장비 구축 연구기관 네트워크 분석 : 지식경제부 R&D 사업 대상",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13(3): 307-317.
  56. 황병상 (2005), "연구장비 공동활용 정책집행의 영향요인과 발전방안 논고", 한국기술혁신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50-369.
  57. 홍재근.정선양 (2011), "지역 연구 공용장비 운영체계 개선을 위한 분류 연구 : 경기도 지역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4(4): 833-859.
  58. Berman, P. (1978), "The Study of Macro and Micro Implementation of Social Policy", Public Policy, 26(2): 157-183.
  59. CNRS(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2015), "About us/Key figures", http://www.cnrs.fr/en/aboutcnrs/key-figures.htm (25 October 2015).
  60. Elmore, R. (1985), "Forward and Backward Mapping: Reversible Logic in the Analysis of Public Policy", in Elmore, R. F., Hanf, K. and Toonen, T. (eds.), Policy Implementation in Federal and Unitary Systems, Dordrecht, Netherlands: Martinus Nijhoff Publishers.
  61. Goggin, M. L., Bowman, A. O. M., Lester, J. P. and O'Toole Jr, L. J. (1990), Implementation Theory and Practice : Toward a Third Generation, Glenview III: Scott Foresman/Little Brown and Company.
  62. Gunn, L. A. (1978), "Why is Implementation so Difficult?" Management Service in Government, 33(4): 169-176.
  63. Hill, M. and Hupe, P. (2014), Implementing Public Policy(Third Edition), London: SAGE.
  64. Hull, C. and Hjern, B. (1982), "Helping Small Firms Grow: An Implementation Analysis of Small F irm Assistance S tructure",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10(2): 187-198. https://doi.org/10.1111/j.1475-6765.1982.tb00017.x
  65. Hogwood, B. W. and Gunn, L. A. (1990), Policy Analysis for the Real Worl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66. Irvin, J. et al. (1997), Equipping Science for the 21th Century, Edward Elgar.
  67. Kruytbosch, C. E.(1997), "The Role of Instrumentation in Advancing the Frontiers of Science", in Irvin, J. (ed.), Equipping Science for the 21th Century, Edward Elgar, 29-42.
  68. Lipsky, M. (1080), Street-level Bureaucracy : Dilemmas of the Individual in Public Service,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69. Larson, J. S. (1080), Why Government Programs Fail? : Improving Policy Implementation, New York: Praeger.
  70. Nakamura, R. T. and Smallwood, F. (1980), The Politics of Policy Implementation, St. Martin's Press.(김영기 외 3인 역(1985), 정책집행론, 서울: 법문사).
  71. Matland, R. E. (1995), "Synthesizing the Implementation Literature : The Ambiguity-conflict Model of Policy Implementatio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5(2): 145-174.
  72. Sabatier, P. A. and Mazmanian, D. (1979), "The Condition of Effective Implementation : A Guide to Accomplishing Policy Objectives", Policy Analysis, 5(4): 481-504.
  73. Sabatier, P. A. (1986),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o Implementation Research : A Critical Analysis and Suggested Synthesis", Journal of Public Policy, 6(1): 21-48. https://doi.org/10.1017/S0143814X00003846
  74. Van Meter, D. S. and Van Horn, C. E. (1975),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 A Conceptual Framework", Administration and Society, 6(4): 445-488. https://doi.org/10.1177/009539977500600404
  75. Vedung, E. (2009), Public Policy and Program Evaluation(Fourth Printing), London: Transaction Publishers.
  76. Winter, S. (1990), "Integrating Implementation Research", in Palumbo, D. J. and Calista, D. J. (eds.) Implementation and Policy Process, New York: Greenwoo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