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Qual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LINC Program: Focused on the Indicators of SYSTEM Sector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사업의 정성적 평가지표에 대한 시론적 고찰: SYSTEM분야 지표를 중심으로

  • 김태운 (계명대학교 공공행정학부) ;
  • 김태영 (포항공과대학교 기술창업교육센터)
  • Received : 2015.05.14
  • Accepted : 2016.03.02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qual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SYSTEM sector of the LINC program, which aimed at strengthening ability of regional universities through the activities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AC). By using interview data and the program reports of universities, this research explored the problems of the indicators and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which could lead to performance creativity.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in university system reform for activating IAC, some improvements are required as follows: limiting excessive expansion of IAC-friendly faculty evaluation; and evaluating soft aspects in the reform of academic affairs. In relation to strengthening of ability of the IAC organization, the indicators need to be amended as follows: enhancing the role of channel of IAC Foundation;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planning team of the IAC Foundation; and inducing development of own model of universities for IAC. As regards expansion of IAC infrastructure,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manpower who can develop programs of the support center in the foundation and to secure of operators for effective operation of joint-using equipments. Therefore, the indicators are required to be upgraded, considering these improvement direction.

본 연구에서는 LINC사업의 성과평가지표 중 산학협력 활동을 위한 기반 구축과 관련된 SYSTEM분야의 정성적 평가지표를 대상으로 성과측정에서의 실제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성과창출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업 관계자와 전문가 대상의 인터뷰와 대학별 LINC사업 실적보고서를 통해 SYSTEM분야 정성적 평가지표가 실효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구성 설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학협력 친화형 대학체제 개편에서는 대학 내 산학협력 친화형 교수업적평가 제도의 과도한 확산 방지, 학사제도 개편의 소프트웨어적 개선 사항 평가, 산중교수들의 중개기능 활성화 유도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산학협력단 역량 강화에서는 산학협력단의 산학협력 창구형 채널 강화 방안, 산학협력단 내에 선도 및 기획 기능을 전담하는 조직(팀) 구성 유도, 대학의 산학협력 자체 모델 개발 유도 등을 위한 지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에서는 창업교육센터의 프로그램 개발 인력 확충, 타 지역에 있는 대학 간의 인턴십 수요 교환, 공동활용장비 운영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오퍼레이터 확보 등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지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병천 (2004), "평가와 예산부문의 성과관리 연계", 한국정책학회보, 13(2): 67-89.
  2.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개선 종합계획(안), 서울: 국가과학기술심의회.
  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6), 과학기술진흥 현안분석 및 정책의 효율성 제고방안, 서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4.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2), 연구개발 성과평가 개선방안 연구, 서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5. 교육과학기술부.한국연구재단 (2010), 2010 대학산학협력백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한국연구재단.
  6.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14), 2014년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종합컨설팅 매뉴얼, 서울: 교육부.한국연구재단.
  7. 김신 (2000), "미국연방정부 성과관리체계: GPRA 시행 7년의 성과와 교훈", 한국행정학회 2000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8. 김종운.하규수 (2013), "주요국의 정부 연구개발(R&D) 평가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1(4): 77-90.
  9. 문승권.김순자 (2005), "지방자치단체 업무 성격에 따른 성과평가제도의 성공요인과 만족도 인식차이", 정부회계연구, 3(1): 89-109.
  10. 박경귀 (2008), 성과지표의 개념과 유형, 서울: 한국정책평가연구원.
  11. 박기영 (2006),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정부조직개편의 배경과 의미",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61-183.
  12. 박병무.이기종 (2009), "과학기술혁신체제 하에서의 국가연구개발 평가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연구개발 예산 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2(4): 819-839.
  13. 박재민.박명수.김형주.조현대.박동배.임하얀 (2006), 고급 과학기술인력 양성 관련 정부지원사업의 성과평가방안,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배정회.정선양.성지은 (2014), "한국의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1999-2013) 전개와 특징", 기술혁신연구, 22(4): 165-198. https://doi.org/10.14383/SIME.2014.22.4.165
  15. 송건섭.이윤식.제갈돈 (2006), "중앙행정기관의 자체평가 내실화를 위한 평가역량 강화 방안",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6(2): 1-26.
  16. 성지은.박인용 (2013), "핀란드 R&D성과관리의 특징과 시사점", Issue & Policy, 제66호,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7. 송위진 외 (2007), 탈추격형 기술혁신체계의 모색,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8. 신준우.설정선 (2009), "IT인력양성사업 성과평가를 통한 개선방안연구", 정보과학회지 27(1): 12-20.
  19. 양영석 (2013), "BSC(Balanced Scoredcard) 기반의 기술창업교육 성과평가모형 개발 연구: 창업대학원 성과평가지표 분석과 개선방안도출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8(2): 129-139.
  20. 유승준 (2011),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 역량강화 및 발전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1. 유영철 (2012),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에 있어 성과평가지표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24(1): 27-49.
  22. 윤오상 (2004), "성과관리와 평가의 역할: 공공정보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2004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78-697.
  23. 이규범.유병주 (1999), "평가자-피평가자의 교환관계 및 평가자의 동기부여가 피평가자의 공정성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1(1): 87-110.
  24. 이길우 (2009),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조사.분석 강화를 위한 성과지표 개선 및 활용반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5. 이도형 (2011), 국가연구개발사업 유형별 성과평가 논리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6. 이재근 (200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관리를 위한 균형성과표 설계에 대한 연구", 정부학연구, 12(1): 291-314.
  27. 이준.김재수.국윤규 (2010), "국가 R&D 성과평가 및 예산 연계를 위한 프로세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3(1): 44-67.
  28. 이태성 (2013), "사업 성과평가: 재정사업", 공동성 엮음, 성과관리, 서울: 대영문화사, 157-182.
  29. 이해춘.안경애 (2012), "AHP를 이용한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성과평가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15(1): 25-49.
  30. 임의주.김창완.조근태 (2013),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술사업화 인적구성과 산학협력 성과", 기술혁신연구, 21(2): 115-136.
  31. 장덕희.강길모 (2014), "정부 R&D 성과평가 지표로서 특허 평가 지표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해양생명공학기술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3(2): 65-91.
  32. 전자신문 (2014가), "2단계 링크사업 스타트...평가절차 등 개선 지적", (2014.06.23.), 27면.
  33. 전자신문 (2014나), "산학협력 중점교수 2000명 시대...채용기준.처우 등 제도적 보완 필요", (2014.11.24.), 23면.
  34. 전주상.조석무 (2014), "재정사업 성과평가체계 개선에 대한 연구: 국제인민협력 재정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4): 339-363.
  35. 조희진.장용석 (2014), "성과평가제도의 운영 요인 및 조직 효과성 분석: 공공기관의 전략적 선택과 제도적 조응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3(3): 343-372.
  36. 주혜정 (2009), "과학기술정책 수용의 제도적 맥락과 상이성", 한국정책학회보, 18(3): 121-158.
  37. 최희선.송완흡 (2013), 최근의 인력양성체제 변화와 지역대학의 역할, 서울: 산업연구원.
  38. 한국대학신문 (2016), "대학산단, 정부 행.재정 지원바탕으로 성장 가속", (2016.02.14.).
  39. 한국연구재단.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3),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1차년도 성과분석 및 단계평가 고도화 방안 개발을 위한 연구, 대전: 한국연구재단.한국산업기술진흥원.
  40. 한국연구재단 (2015),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종합성과관리시스템", http://linc.nrf.re.kr (2015. 2. 24).
  41. Bohte, J. and Meier, K. J. (2000), "Goal Displacement: Assessing the Motivation for Organizational Cheating",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0(2): 173-182. https://doi.org/10.1111/0033-3352.00075
  42. Capron, H. and van Pottelsbeghe de la Potterie (1997), "Public Support to R&D Programmes an Integrated Assessment Scheme", OECD conference on Policy Evaluation in Innovation and Technology, Paris, 26-27 June 1997.
  43. Georghiou, L. (1998), "Issues in the Evaluation of Innovation and Technology Policy", Evaluation, 4(1): 37-51. https://doi.org/10.1177/13563899822208374
  44. Georghiou, L. and Meyer-Krahmer, F. (1992), "Evaluation of Socio-economic Effects of European Community R&D Programs in the SPEAR Network", Research Evaluation, 2(1): 5-15. https://doi.org/10.1093/rev/2.1.5
  45. Griesemer, J. R. (1995), "The Power of Performance Management", In Ammons, D. N. (eds.), Accountability for Performance: Measuring and Monitoring in Local Government, Washington, D. C.: International City/County Management Association.
  46. Hatry, H. P. (1999), Performance Measurement: Getting Results, The Urban Institute.
  47. Ormala, E. (1989), "Nordic Experiences of the Evaluation of Techn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Research Policy, 18(4): 333-342. https://doi.org/10.1016/0048-7333(89)90021-8
  48. OECD (1995), Impacts of National Technology Programmes, Paris: OECD.
  49. PREST (2002), Assessing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the Framework Programme.
  50. Roessner, D. (2000), "Quan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nd Measures in the Evaluation of Research", Research Evaluation, 8(2): 125-132.
  51. Smith, P. (1995), "On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Publishing Performance Data in the Public Sector",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18(2/3): 277-310. https://doi.org/10.1080/01900699508525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