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ntensive Quantities Handled in Korean Elementary Math Textbooks and Workbooks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에서 취급하는 내포량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01.15
  • Accepted : 2016.02.19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In this paper, the following three issues ar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intensive quantities. (1) Is there any relationship among intensive quantity, per unit quantity, and ratio? (2) Which intensive quantities obtained by two same extensive quantities are handled? And How are they handled? (3) Which intensive quantities obtained by two different extensive quantities are handled? And How are they handl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s, three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conclusions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handling intensive quantities in elementary math textbooks and workbooks. Firstl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systemize a series of processes to handle intensive quantities. There is a need to rethink to use terms like speed and velocity before handling the ratio. Secondly, there is a need to rethink the definition of intensive quantities which have the particular names.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rethink using average distance in the definition of speed and the average population in the definition of density of population. Thir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imiting the kinds of intensive quantities obtained by two same extensive quantities handled in the elementary math. There is a need to set limit to them which are used in daily life, and there is a need to rethink to use them which are used in the specialized area. There is a need to rethink the using hitting ratio in the form of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에서 취급하는 내포량과 관련하여 다음 세 가지 쟁점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1) 내포량, 단위량당의 크기, 비율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어떤 율을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가? (3) 어떤 도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가? 이에 대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포량 취급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다음 세 가지 시사점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첫째로, 내포량을 취급하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비율을 취급하기 전에 속력, 속도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 등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 특정한 이름이 붙는 내포량의 정의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속력의 정의에서 평균 거리, 인구밀도의 정의에서 평균 인구를 사용하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로, 초등학교 수학과에서 취급하는 율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율에 한정하고, 전문적인 율의 취급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또, 타율에 %를 붙여 나타내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시중 (1995). 수학교육론. 서울: 교육출판사.
  2. 교육과학기술부 (2011a).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1b). 수학 6-2. 서울: 두산동아(주).
  4. 교육부 (2015a).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5. 교육부 (2015b). 수학 6-1 익힘책. 서울: 천재교육.
  6. 교육부 (2015c). 수학 6-1. 서울: 천재교육.
  7. 교육부 (2015d). 수학 6-2 익힘책. 서울: 천재교육.
  8. 교육부 (2015e). 수학 2-2. 서울: 천재교육.
  9. 교육부 (2015f). 수학 4-2 익힘책. 서울: 천재교육.
  10. 교육부 (2015g). 수학 4-2. 서울: 천재교육.
  11. 교육부 (2015h). 수학 5-2 익힘책. 서울: 천재교육.
  12. 교육부 (2015i). 수학 5-2. 서울: 천재교육.
  13. 교육부 (2015j). 수학 6-2. 서울: 천재교육.
  14. 교육인적자원부 (2007).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8]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15. 김수환, 박성택, 신준식, 이대현, 이의원, 이종영, 임문규, 정은실 (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재연구. 파주: 동명사.
  16.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 센터 (2014). 2013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용인: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 센터.
  17. 에너지관리공단 (2015), 2015년 에너지통계 핸드북. 용인: 에너지관리공단.
  18. 이용률 (2010). 초등학교 수학의 중요한 지도 내용. 서울: 경문사.
  19. 이정은, 김지원, 박교식 (2015). 우리나라와 일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율의 정의 비교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385-498.
  20. 정은실 (2003).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3), 247-265.
  21. 정은실 (2010).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의 비례 추론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4), 505-516.
  22. 통계청 e 나라 지표 http://www.index.go.kr 2016년 1월 접속
  23.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 http://stdweb2.korean.go.kr 2016년 1월 접속
  24. 한국민족문화대백과(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 2016년 1월 접속
  25. 환경부 공식 블로그 http://blog.naver.com/mesns 2016년 1월 접속
  26. 數學敎育學硏究會(編) (1994). 新算數敎育の理論と實際. 東京: 聖文社.
  27. 銀林浩, 榊忠男, 小沢健一(編) (2009). 遠山啓エッセンス. 東京: 日本評論社.
  28. 日本數學敎育學會(編) (2011). 算數敎育指導用語辭典(第四版). 東京: 敎育出版株式會社.
  29. 日本數學敎育學會(編) (2013). 和英/英和 算數.數學 用語活用辭典(輕裝版). 東京: 東洋館出版社.
  30. 中原忠男 (2011). 算數科授業の理論と實踐. 京都: ミネルヴァ書房.
  31. 片桐重男 (1995). 數學的な考え方を育てる量と測定の指導. 東京: 明治圖書.
  32. 片桐重男 (2012). 算數敎育學槪論. 東京: 東洋館出版社.
  33. 平林一榮, 石田忠男 (1992). 算數.數學科重要用語300の基礎知識. 東京: 明治圖書.
  34.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Reidel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