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Group play for sociality is a therapeutic method involving a mixture of various factors, such as targeted activities, perceptions, and physical mobility required in daily life, through group activities to encourage self-expression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soci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its effects by applying it to autistic adolescents who lack communicative ability with others and ultimately to improv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ity. This study applied a single pre- and post-test experiment design to 8 autistic adolescents with lack of sociality who use a daycare center in Daejeon. The group play for sociality program consisted of two sessions a week for 7 week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3 for a total of 14 sessions. The sociality of the adolescen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as analyzed by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tal grades of the E-CLAC and social maturity test showed significant changes from $39.88{\pm}6.78$ to $47.00{\pm}4.28$ and $49.96{\pm}28.00$ to $61.36{\pm}21.75$, respectively. In detail,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ub-items, such as adjustment in group, following guidance, and increasing behavioral frequency.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combined effect of the group activities, including group play for sociality and play activiti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participants, led t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ociality of the autistic adolescents.
집단사회성놀이는 놀이를 통한 사회성 증진을 목적으로, 그룹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목적 있는 활동, 인지, 신체움직임 등 여러 요소들을 잘 조합하여 자유롭게 자아를 표현시키는 치료적 방법이다. 이를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이 저하된 자폐청소년들에게 적용하여 궁극적으로 자폐청소년들의 대인관계 개선과 사회성을 증진을 유도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 소재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사회성에 결함을 가지고 있는 8명의 자폐청소년을 대상으로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집단사회성놀이 프로그램은 201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주 2회씩 7주간(총 14회기), 한 회기 당 60분씩 시행하였고 중재 전후의 사회성을 Wilcoxon 순위검정을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이화-자폐 아동 행동 발달 평가(E-CLAC)와 사회성숙도 검사의 점수의 총점이 $39.88{\pm}6.78$에서 $47.00{\pm}4.28$, $49.96{\pm}28.00$에서 $61.36{\pm}21.75$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집단에서의 적응, 지시 따르기, 행동 빈도 증진 등의 하위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집단사회성놀이에 포함된 집단활동 요소와 대상자들의 발달을 고려한 놀이 활동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폐청소년의 사회성 증진 효과에 효과적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