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선물시장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시장의 효율성을 현물시장과 직접 연계시키기 보다는 선물시장에서 거래되는 종목들 간의 동적관련성을 분석하여 효율성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기가 상대적으로 긴 차근월물의 베이시스와 최근월물의 베이시스를 비교하여 두 종목의 베이시스 차이가 어떠한 시계열적 연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0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의 KOSPI200 주가지수선물 및 현물자료를 이용하였다. 먼저, 베이시스 관측치를 비교해 보면, 차근월물이 최근월물보다 베이시스의 평균값과 표준편차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분석결과에서 최근월물의 t기 베이시스가 (t-1)기의 베이시스에 의해 매우 잘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가지수선물시장의 경우 최근월물의 베이시스가 차근월물의 베이시스보다 커지는 경우 다음날의 최근월물의 베이시스가 작아짐으로서 불균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근월물의 베이시스 또한 동일한 기초자산으로부터 파생되었기 때문으로 분석결과들은 합리적인 것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차근월물의 베이시스 정보가 최근월물의 베이시스 및 기초자산인 현물수익률에 대한 예측에 이용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rket efficiency in the futures markets. Although many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market efficiency between spot and futures prices, that with different maturities has not been studied in the futures markets extensively. For our objective, this paper examines KOSPI200 stock index future market with different maturities. We analyze the dynamic serial relationship of the difference of basis between nearest-month contract and next nearest-month contract using dynamic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Kawamoto and Hamori(2011) Using the data from 2000. 1 to 2013. 12, the majo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basis of next nearest-month contract is bigger than those of nearest-month contract. Second, the t-period basis of nearest-month contract can be explained by (t-1)period basis of that. Third, the basis spread of t-period and (t-1)period have negative affect on the return of underlying assets. This result is very reasonable because two basis spreads are derived from same underlying assets. Finally, basis information of next nearest-month contract can be used for the prediction of nearest-month contract and spot market retu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