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구조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ssociations with Job Stress and Depression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 이상희 (경북도립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 이종렬 (백석문화대학교 보건행정과)
  • Lee, Sang-He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Gyeongbuk Provincial College) ;
  • Lee, Jong-Ryol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Baekseok Culture University)
  • 투고 : 2016.01.28
  • 심사 : 2016.04.30
  • 발행 : 2016.04.30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r social support on job-related stress and depression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EMTs at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and fire stations (n=25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21.0. Result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EMTs were found to be at moderate levels (Self-esteem: M=3.04, SD=0.43; Social support: M=3.65, SD=0.43) Job-related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the higher the job-related stress score, the higher the depression score. Moreover, self-esteem score or social support scor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job-related stress and depression: the higher the self-esteem score or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score, the lower the job related stress score and the depression score. Conclusions: Future research should address how social support and networks interact and together affect self-esteem for job-related stress and depres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희, 현미열, 김숙영.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대처전략과 우울. 한국산업간호학회지 2009;18(2):219-231.
  2. 김학범, 이재영. 동료 및 상사의 관계가 경찰공무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찰학연구 소경찰학논총 2010;5(2):71-93.
  3. 김혜숙, 임현우, 이지연, 조현주, 조선진, 이원철. 일부 임상간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007;19(2):125-134.
  4. 이강오, 윤현정.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영적안녕, 우울 및 삷의 질과의 상관관계. 조선대학교 의대논문집 2006;31(2):85-99.
  5. 이미숙. 임상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 관련성[석사학위논문]. 전남: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4.
  6. 이안생, 윤치근, 이정미. 병원간호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2;21(1):46-54. https://doi.org/10.5807/kjohn.2012.21.1.46
  7. 윤숙희.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간호행정학회지 2009;15(3):463-470.
  8. 이지원.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직무스트레스, 대처,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014;26(5):1003-1012.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5.1003
  9. 이춘이, 변은경, 김남희. 응급구조사의 수면상태와 업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 건강간호학회지 2013;22(3):191-197.
  10. 이태화.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9.
  11.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2. 배기숙. 119 구급대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국응급구조학회지 2010;14(1):65-80.
  13. 배점모. 외상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 및 우울간의 관계 비교 연구;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013;27(3):277-307.
  14. 신성원.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2008;10(2):117-141.
  15.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2001;6(1):59-76.
  16. 정영미. 재미한인간호사의 사회적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4;20(2):192-202.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192
  17. 정은미, 박희서. 사회복지시설 클라이언즈의 폭력에 대한 종사자의 반응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시설의 대응체계와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11;16(5):173-183. https://doi.org/10.9708/jksci.2011.16.5.173
  18.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아동학회지 2005;20:359-373.
  19. 조현태. 소방방재청과 병원 근무 응급구조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박사학위논문]. 경남:인제대학교, 2012.
  20. 조희, 강윤숙, 이옥철, 전시자, 이승한, 윤정금. 소방대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적십자 간호전문대학 논문집 1999;23:113-125.
  21. 최정, 하나선. 간호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와 자아존중감 및 전문직사회화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009;15(1)54-63.
  22. 편미수. 간호사의 대인불안, 자아존중감, 이직의도와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3. 한애경. 간호학생의 간호 전문직에 대한 태도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서울보건대학 논문집 1994;14:149-158.
  24.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173-1182.
  25. Beaton RD, Nurphy SA, Pike KC, Corneil W. Social support and network conflict in firefighters and paramedics. West Journal of Nurse Research 1997;19(3):297-313. https://doi.org/10.1177/019394599701900303
  26. Bongers PM, Winter C.R, Kompier MA, Hilderbrandt BH.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A review of literature.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1993;19:297-312. https://doi.org/10.5271/sjweh.1470
  27. Boudreaux E, Jones GN, Mandry C, Brantley PJ. Patient care and daily stress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rehospital Disaster Medicine 1996;11(3):188-193. https://doi.org/10.1017/S1049023X0004293X
  28. Boudreaux E, Mandry C, Brantley PJ. Stress, job, satisfaction, coping,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rehospital Disaster Medicine 1997;12(4):242-249.
  29. Fania RG, Karen N, Frank JH, Dijk V, Judith KS. The impact of common mental disorders on the work functioning of nurse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A system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0;47:1047-1061.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0.03.013
  30. Laschinger HK, Havens DS. The effect of workplace empowerment on staff nurses’ occupational mental health and work effectivenes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7;31(5):260-272.
  31. Lazarus RS, Folkman S. Coping and adaptation,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87.
  32. Gracia E, Herrero J. Determinants of social integration in the community: An exploratory analysis of personal, interpersonal and situational variables. Journal of Community & Applied Social Psychology 2004;14(1):1-15. https://doi.org/10.1002/casp.746
  33. Okada N, Ishii N, Nakata M, Nakayama S. Occupational stress among japanes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Hyogo prefecture. Prehospital Disaster Medicine 2005;20(2):115-121. https://doi.org/10.1017/S1049023X00002296
  34.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35.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ston, NJ. Prinston university Press, 1965.
  36. Sobel M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Washington, MA.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82.
  37. Zuckerman DM. Stress,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How does gender make a difference. Sex Roles 2002;20:429-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