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nfluencing on Nurse's Image and Career Identity of High-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Job Experience

진로체험 참여 고등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진로 정체감에 미치는 요인

  • Moon, Inn Oh (Department of Nursing,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 Lee, Sun Young (Department of Nursing,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문인오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 이선영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5.11.23
  • Accepted : 2016.04.08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age of nurse and career ident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 of a nursing department, to find influential factors, and ultimately, to improve the image of nurse and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career identity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career and to obtain strateg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nursing departments'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s. Method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90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 executed at the Nursing Department of W University in G Province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6 to July 19 in 2014.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factors influencing the image of nurse were career identity(${\beta}=0.339$, p=0.002)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beta}=0.153$, p=0.043) in order of significance(F=9.51, p<0.001), and factors influencing career identity were the image of nurse(${\beta}=0.301$, p=0.002),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beta}=0.254$, p=0.010), and gender(${\beta}=0.231$, p=0.015) in order of significance(F=12.06, p<0.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 of a nursing department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 program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image of nurse and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career identity. Based o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get strateg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various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s, to provide high school students with vocational experiences related to nursing through the program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such programs.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영, 김미선, 김정효, 김혜숙, 박미화, 박영주, 송남효, 이난희, 전효경.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 대한간호학회지 2003;9(3):379-387.
  2. 김경혜, 김아영, 김진영, 마정화, 백숙영, 이창경, 원자연, 허유진. 고등학생이 인지한 간호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이화간호학회지 2012;4(6):27-38.
  3. 김유미, 강영실. 초.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3;19(3):384-395.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3.384
  4. 김종운, 최미숙. 가족기능 및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연구지 2011;30(3):175-196.
  5. 김지영. 인턴십 프로그램 경험이 대학생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직업교육연구 2015;34(2):75-108.
  6. 김사라형선.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아동학회지 2013; 34(5):43-59. https://doi.org/10.5723/KJCS.2013.34.5.43
  7. 김항중, 김경애,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학생생활연구 2003: 12(-):27-58.
  8. 김희수, 박경애.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한 문제 해결적 진로 상담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효과 2001;2(2):231-250.
  9. 김혜영. 직업체험활동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2011.
  10. 노지영, 박수진, 배두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간호사이미지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2012;18(2):88-94.
  11. 문인오, 이경완.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0;16(1):83-91.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83
  12. 박아청. 자아아이덴티티에 관한 조작적 연구의 방향과 과제. 교육학 연구 1984;22(2):83-98.
  13. 성지아, 염은이, 도영숙.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4;14(11):798-809.
  14. 오덕자, 최철자, 권보은, 박연환. 간호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가 전문직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5;11(1):64-72.
  15. 오은연. 직업체험을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6. 이미애, 최명숙, 최성열.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자아정체감, 심리적 독립감과 진로결정수준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지 2011;25(4):739-761.
  17. 임선아. 진로정체감이 성취목표, 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관계의 경로분석. 청소년학연구지 2013;20(1):47-68.
  18. 임은경. 진로상담을 위한 Super와 Holland 이론의 통합. 한국진로상담학회지 1997;2(1):87-107.
  19. 유순화. 고등학생의 과학관련 진로선택에 나타나는 성차에 관한 사회인지적 분석. 한국상담학회 2001;2(1):77-94.
  20. 윤은자, 한상영, 이인자. 청소년의 간호이미지:고등 학생을 중심으로. 주관성연구지 2010;21:179-194.
  21. 장지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 및 애착과의 관계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2. 전윤식, 이성혜, 정영홍, 박선자, 김상구. 부산대학교 신입생의 자아정체감에 영향 미치는 요인. 부산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1988;24(1):1-44.
  23. 정점숙, 정미조, 유일영.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4;20(1):27-36.
  24. 조세연, 김기찬. 중,고등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지 2014;21(9):325-349.
  25. 조희, 이규영. 간호대학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6;20(2):163-173.
  26. 하윤주, 민순, 김은아. 간호대학생의 자아상과 간호사 이미지 지각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 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3;19(3): 405-412.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3.405
  27. Holland JL, Gottfredson DC, Power PG.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0;39:1191-1200. https://doi.org/10.1037/h0077731
  28. Kalisch BJ, Begeny S, Neumann S. The image of the nurse on the internet. Nursing Outlook 2007;55(4):182-188. https://doi.org/10.1016/j.outlook.2006.09.002
  29. Super DE.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1953;8:185-190. https://doi.org/10.1037/h0056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