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mpetency Education through Capstone Design in the Junior College for the Visual Design Major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캡스톤디자인을 통한 직무교육에 관한 연구

  • 송지영 (동의과학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 김선화 (부경대학교 시각디자인과)
  • Received : 2016.04.20
  • Accepted : 2016.06.09
  • Published : 2016.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ly to research the Capstone Design Learning Model which helps the students to acquire practical industrial skills and knowledge in real business fields, and secondly to analyze the qualitativ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in respect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which NCS(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suggest in industrial design field. In order to study, the second-year students taking the class 'Communication and Design Project(CDP)' of Industrial Design Major of DIT, took part in the Capstone Design Project and proceeded a project 'Character design of the entertainer Robert Holley' in cooperation with a relevant company and the professor in charge of this project. Through this research, it appeared that Capstone design related to visual design tasks improved the technical skills and competence of the students majoring in design. In other words, through analyzing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NCS, evaluation from relevant company, and awarding a prize of the design contest, we conclude that this instruction design and action plans have significant meanings to promote the students on-the-job competence.

본 연구는 국가직무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에서 제시한 시각디자인 직무를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운영사례를 통해 시각디자인 전공 분야 학생들의 시각디자인 실무능력 변화와 캡스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의과학대학교 시각디자인전공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 교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과 담당교수, 그리고 산업체가 협업하여 '연예인 로버트 할리의 캐릭터디자인'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배운 전공 이론과 실기를 '연예인 로버트 할리의 캐릭터디자인' 개발에 직접 적용해 보고 그 결과물을 공모전에 지원하게 된다. 수집된 학생 설문 분석, 산업체 평가, 공모전 수상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캡스톤디자인에 참여한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은 NCS에서 제시한 지식, 기술, 태도의 관점에서 시각디자인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기술과 실무능력이 고취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캡스톤디자인 교육설계가 현장실무중심 시각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화, "디자인학과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제47권, pp.143-152, 2015.
  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3. 네이버사전, http://dic.naver.com
  4. 이태식, 전영준, 이동욱, 장병철, "공학대학 캡스 톤디자인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학습 만족도 조사," 한국공학교육학회, 제12권, 제2호, pp.36-50, 2009.
  5. 정진현, "캡스톤디자인에 기초한 초등의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5권, 제4호, pp.195-215, 2012.
  6. 장남경,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패션디자인 교육,"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14, 2015.
  7. 류영호, 공학설계교육 개선을 위한 캡스톤디자인 교수활동 지원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8. 이재열,이주영, 김재필, 서울대학교 시니어 캡스톤 프로그램 연구보고서,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9. 국가직무능력표준, http://www.ncs.go.kr
  10. 송지영, 김진숙,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지역 사회경험학습을 통한 현장실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논문집, 제40권, pp.53-67, 2015.
  11. 최동선, NCS에 기반 한 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12. 부산정보산업진흥원, 2013 부산 CT산업현황조사, 부산정보산업진흥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