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고에 관한 미국 해사법정관할

U.S. Admiralty Jurisdiction over aviation claims

  • 투고 : 2016.12.06
  • 심사 : 2016.12.28
  • 발행 : 2016.12.30

초록

미국 사법체계의 특징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해사법정관할은 미국 연방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한다. 미국 연방헌법과 하위 법률이 해사사건에 관한 관할권이 주 법원이 아닌 연방법원에 있음을 명확히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떠한 사건들이 해사관할에서 다루어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법률상 명확한 근거를 두지 않았기 때문에, 해사관할 사건의 범위는 오랜 세월동안 법원의 판례를 통하여 형성되어 왔다. 초기의 법원은 해사관할사건의 인정요소로서 장소적 요건에만 주목하였다. 사고 발생지가 바다, 강, 하천, 호수 등 해상활동에 사용될 수 있는 수역 즉, 가항수역인 경우 해사관할 사건으로 취급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장소적 요건만 중시하게 되면, 우연히 가항수역에서 발생하였을 뿐 해상활동과 아무런 관련성도 없는 사건에 대해서까지 해사관할을 인정해야 한다는 맹점이 있었다. 즉 통일적인 해상규범의 형성이라는 해사관할의 인정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사건에 대해서도 해사관할을 인정해야 하는 모순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장소적 요건에 추가하여 전통적인 해상활동 관련성이라는 기능적 요건이해사사건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해상활동 관련성이라는 요건은 선박사고가 아닌 항공사고를 다루는 판례에서 연유되었다. 미연방 대법원이 판결한 Executive Jet Aviation, Inc. v. City of Cleveland 사건에서 오대호 중 하나인 이리호수에 추락한 항공기 사고와 관련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원고는 해사관할을 주장하였지만, 법원은 해당 항공운송이 국내운송이었던 점에서 전통적으로 선박이 담당하였던 해상활동과의 관련성이 없다는 이유로 해사관할을 인정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판례는 그 반대해석으로 국제운송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수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항공기가 가항수역에 추락한 경우에는 해사관할이 인정될 수도 있다는 결론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이후 많은 하급심 판례가 항공사고에 대해 해사관할을 긍정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 글은 미국 법원에서의 항공사고에 관한 해사관할 인정여부를 다룬 판례의 경향을 연구할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특히 지난 201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발생한 우리나라 국제선 여객기의 활주로 추락사고와 관련한 미국 연방 항소법원의 판결내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사건은 항공기 탑승객이었던 원고들이 사고 항공기의 제작사를 상대로 기체결함을 주장하며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이었는데, 피고 제작사는 해당 사건이 해사관할에 해당하므로 일리노이 주 지방법원이 아닌 연방법원에서 재판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법원은 이러한 피고의 주장을 받아들여 해사관할을 긍정하였다. 해당 항공기는 국제선 여객운송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이고, 이는 전통적인 해상활동과의 관련성이 인정될 수 있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이었다. 현재까지 미연방 대법원이 가항수역에서 발생한 국제선 항공기의 추락사고에 관하여 해사관할을 인정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명확한 판결을 내린 바가 없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항소법원의 판례는 항공사고에 대한 해사관할 인정에 있어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gives power to the federal district courts to hear admiralty cases. 28 U.S.C. §.133, which states that "The district courts shall have original jurisdiction, exclusive of the Courts of the States, of any civil case of admiralty or maritime jurisdiction." However,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a case is about admiralty or maritime so that triggers admiralty jurisdiction was not a simple question. Through numerous legal precedents, the courts have drawn a line to clarify the boundary of admiralty cases. This unique jurisdiction is not determined by the mere involvement of a vessel in the case or even by the occurrence of an event on a waterway. As a general rule, a case is within admiralty jurisdiction if it arises from an accident on the navigable waters of the United States (locus test) and involves some aspect of maritime commerce (nexus test). With regarding to the maritime nexus requirement, the US Supreme Court case, Executive Jet Aviation, Inc. v. City of Cleveland, held that federal courts lacked admiralty jurisdiction over an aviation tort claim where a plane during a flight wholly within the US crashed in Lake Erie. Although maritime locus was present, the Court excluded admiralty jurisdiction because the incident was "only fortuitously and incidentally connected to navigable waters" and bore "no relationship to traditional maritime activity." However, this historical case left a milestone question: whether an aircraft disaster occurred on navigable water triggers the admiralty jurisdiction, only for the reason that it was for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admiralty jurisdiction over aviation accidents at US courts. Given that the aircraft engaged in transportation of passenger and goods as the vessels did in the past, the aviation has been linked closely with the traditional maritime activities. From this view, this article reviews a decision delivered by the Seventh Circuit regarding the aviation accident occurred on July 6, 2013 at San Francisco International Airport.

키워드

참고문헌

  1. Aircraft Accident Report: Descent Below Visual Glidepath and Impact with Seawall, Asiana Airlines Flight 214 (NTSB June 24, 2014)
  2. Black, Admiralty Jurisdiction: Critique and Suggestions, 50 CoL.L.Rev. 259, 264 (1950)
  3. Colin E. Wrabley, Richard L. Heppner, Jr., Recent Amendments to Federal Removal Statutes Create New Possibilities and Potential Pitfalls for Litigators, 18 January 2012, Reed Smith Client Alerts.
  4. Robert Force, A.N. Yiannopoulos, Martin Davies, Admiralty and Maritime Law - Practitioner's Edition Volume 2 (2012)
  5. Robert Force, Admiralty and Maritime Law (Federal Judicial Center 2004)
  6. Ronnie R. Gipson Jr. "Can Lufthansa Successfully Limit its Liability to the Families of the Victims of Germanwings flight 9525 Under the Montreal Convention?",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30권 제2호 (2015.12.)
  7. Susan Roxanne Jett, Death on the High Seas Act - Defining DOHSA's Applicability to Noncommercial Aircraft Accidents, 77 J. Air L. & Com. 203 2012
  8. Thomas J. Schoenbaum, Admiralty and Maritime Law (Fifth Edition)
  9. William A. Bianco, The Economic Loss Rule: Some Practical Consequences of the Distinction Between Contractual Duties and Other Legal Duties, Produced by URS' Claims and Dispute Resolution (Group Spring 2007)
  10. Lily Kurland, A Trying Balance: Determining the Trier of Fact in Hybrid Admiralty-Civil Cases, Washington University Law Review, Volume 90 Issue 4 (2013) at 1293.
  11. 김영주, "국제해상운송과 항해과실면책", 한국해법학회지 제33권 제1호(2011)
  12. 김인현, "선박압류/가압류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한국해법학회지 제36권 제2호(2014)
  13. 송상현.김현, 해상법원론(제4판) (박영사, 2008)
  14. 이창재, "단일기업집단 이론에 따른 법인격 부인", 성균관법학 제27권 제2호 (2015)
  15. 이창재, "미국 선원재해소송의 주요내용과 최근동향 - Manderson 사건의 이중배상원칙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해법학회지 제35권 제1호(2013)
  16. 이창재, "미국 연방법규상 항공여객보호제도에 관한 연구",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3)
  17. 정채윤.김정민, "미국 불법행위법에서의 순수 경제적 손해",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집> 11권 2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