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민아, 김경아 (2006). 행정학 및 정책학 조사연구에서 결측치 발생과 처리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행정학보, 40(2). 31-52.
- 곽상은, 김춘경 (2013). 애착, 비공식낙인, 공격성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0(1), 77-95.
- 곽수란 (2014). 아동.청소년기 사회적 관계가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4(2), 1-24.
- 권이종, 김용구 (2006). 청소년이해론. 서울: 교육과학사.
- 권지은, 이은정, 노충래 (2013). 청소년이 지각 한 방임과 학대가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교사관계 및 교우관계 매개효과 분석. 한국아동복지학, 42, 29-54.
- 김마리아 (2013). 부모의 교육적 기대수준이 자녀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117-139.
- 김민강 (2002). 부모의 학대가 아동의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민정, 김순석 (2014). 비공식낙인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9(3), 127-147.
- 김민주 (2016).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김보영, 이지혜, 이수정, 김혜자, 이상민 (2015). 청소년의 비공식낙인과 공격성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1(1), 277-295.
- 김선숙, 고미선 (2007).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청소년연구, 18(3), 5-29.
- 김소현 (2010). 다층성장모형(HLM)을 통한 청소년의 비공식적 낙인 변화 추정.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7(-), 7-31.
- 김영숙 (2002). 청소년의 애착유형,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예수, 조붕환 (2009).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개념 및 진로의식성숙과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2(1), 87-103.
- 김유정 (1994).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사업적 접근 방법: 신체적 학대를 중심으로.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자영 (2014). 아동의 정서학대 경험 수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34(3), 286-316.
-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학령, 김정화, 정익중 (2011).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영향력 검증 - 또래영향모델과 개인특성모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36, 261-288.
- 김현주, 이병훈 (2007).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족배경,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의 영향. 한국인구학, 30(1), 125-148.
- 김효수, 김성천, 유서구 (2010). 비공식낙인과 부모애착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인과모형 - 매개효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2(4), 185-206.
- 문영숙, 한진숙 (2003). 지각된 부모-자녀관계가 자녀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건강학회지, 6(2), 93-102.
- 박병선, 배성우 (2012). 대인관계와 학교성적이 학교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학교급별 비교. 청소년복지연구, 14(3), 215-238.
- 박영신, 김의철 (2000). 부모-자녀관계 변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초.중.고.대학생의 성취동기, 생활만족도, 학업성취,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8(2), 109-147.
- 박영신, 김의철 (2003). 연구논문: 한국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토착심리학적 접근. 청소년학연구, 10(1), 139-165.
- 박은미 (1999). 아동기 학대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인기 대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박재현, 강민수, 이진오, 강상조 (2005). 결측치 처리: 어떤 방법이 최선인가?. 한국체육학회지, 44(1). 385-398.
- 박현선, 박지명, 김정은 (2014). 부모의 학대와 자녀의 공격성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빈곤 및 비빈곤 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9, 1-24.
- 박현수, 박성훈, 정혜원 (2009).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0(1), 227-251.
- 박현정, 이진실 (2013).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부모자녀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6(1), 83-106.
- 배현주 (2004). 결측값 대체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배화옥 (2004). 아동학대 재발생 실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아동과권리, 8(4), 611-628.
- 배화옥 (2010).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 아동과 권리, 14(2), 193-217.
- 보건복지부 (2014). 2013년 전국아동학대현황 보고서.
- 보건복지부 (2015). 2014년 전국아동학대현황 보고서.
- 서미경, 김홍석 (2013). 초기 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과 일탈적 자아낙인의 관계-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성별 다집단 분석. 한국아동복지학, 41, 161- 183.
- 서영근 (2002). 학습성격유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전략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서영숙 (2001). 청소년에 대한 가정폭력이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송미령 (2005). 부모의 정서적 방임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송설희 (1994). 가족유형과 지각된 부모의 수용-거부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송인섭 (1998).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서울: 학지사.
- 송인섭 (2001). 자아개념의 多元性과 학업성취간 관계. 사회 교육과학연구, 5(1), 3-17.
- 신승례 (2008). 피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신이나, 손원숙 (2015).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상호효과. 교육심리연구, 29(3), 591-610.
- 안병철 (2007).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학업성취 불균등도 평가. 경제연구, 25(2), 21-38.
- 안형숙 (2014).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85-203.
- 양애경, 조호제 (2009).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논단, 8(3), 61-82.
- 오연희 (2012). 피학대경험이 아동의 비행과 또래관계 소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실천, 11, 95-117.
- 오정석, 김성백, 박찬정 (2014).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계획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과학연구, 16(2), 119-131.
-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 우해봉, 윤인진 (2008). 불완전한 반복측정 자료의 보정방법. 조사연구, 9(2), 1-27.
- 윤태희, 조영일 (2014). 부모-자녀 애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종단적 매개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3), 61-90.
- 이경은, 이주리 (2008). 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을 적용한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 간 종단관계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135-141.
- 이만표 (2012). 중.고등학생의 성장과정 상처와 열등감, 성격장애,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4), 505-532.
- 이명숙 (2008).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개념, 학교적응 및 학교부적응행동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명숙, 이규민 (2009).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개념, 학교적응 및 학교부적응행동 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0(1), 167-193.
- 이성식 (2007). 청소년비행과 비공식낙인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형사정책연구, 71, 1105-1127.
- 이숙정 (2006). 중, 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풍토간의 관계모형 검증. 교육심리연구, 20(1), 197-218.
- 이순형, 이영미 (1993). 아동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불일치. 청소년학연구, 1(1), 59-75.
- 이은아 (2010). 고등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의 의미.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0(12), 917-930.
- 이재연, 홍강의, 조흥식, 이양희, 안동현, 곽영숙, 한지숙 (2000). 한국의 아동학대 실태에 관한 연구 I. 아동과권리, 4(2), 97-112.
- 이정미, 양명숙 (2006). 청소년 전환기 문제행동: 가정 및 학교환경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7(3), 865-883.
- 이종미 (2006). 치료적 음악활동이 피학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태준, 권정혜 (2007). 피학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377-389.
- 이택호, 이석영, 한윤선 (2015). 체육시간과 청소년의 외현화.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 서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131-158.
- 이혜영 (2015).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교정복지연구, 37, 89-119.
- 이호택 (2012).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청소년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논단, 11(1), 25-52.
- 장은비, 최현주, 하규영, 박은혜, 이상민 (2014). 성별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비공식 낙인, 비행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1), 185-205.
- 장화정 (2004). 아동학대와 피해아동의 특성. 아동권리연구, 8(4), 777-792.
- 전현정, 정혜원 (2015). 중학생의 시험불안,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관계-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2(7), 247-274.
- 정미라, 원유미 (2001). 부모의 양육태도 및 의사결정유형이 초등학교 자녀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14(2), 65-85.
- 진혜민, 박병선, 배성우 (2011). 비공식낙인,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2), 121-148.
- 최경숙 (2006). 아동발달심리학. 서울: 교문사.
- 최수미, 조영일 (2013). 부정문항이 포함된 척도의 요인구조 및 방법효과 검증과 남녀 간의 차이 비교: Rosenberg 자기존중감 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3), 571-589.
- 최수형 (2008). 청소년의 반복적 비행과정에서 나타난 비공식낙인의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19(3), 33-55.
- 최유선, 손은령 (2015). 청소년이 지각한 대인관계 양상, 학업성취, 삶의 만족도의 관계-성별, 학교급별 비교. 상담학연구, 16(2), 233-247.
- 추상엽, 임성문 (2007). 연구논문: 가족구조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간의 관계: 부모소득, 학업지원행동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4(3), 135-157.
- 한경혜, 김영희 (1999). 부모의 청소년 자녀에 대한 신체적 폭력실태와 관련요인: 개인과 가족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2), 27-39.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III: 총괄보고서.
- 한상철 (2004). 청소년학: 청소년 이해와 지도. 서울: 학지사.
- 한지숙 (2005). 학대 및 격리보호가 아동의 심리행동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권리, 9(4), 765-787.
- 허 균 (2014). 중학생의 성취가치와 학업성취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 효과분석. 사고개발, 10(2), 113- 126.
-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 홍세희, 박민선, 김원정 (2007). 인터넷 중독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성별간 다집단 분석. 교육심리연구, 21(1), 129-143.
- 홍세희, 박언하, 홍혜영 (2006). 다층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자아개념 변화 추정. 한국청소년연구, 17(2), 241-263.
- 홍세희, 유숙경 (2004).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한 내외통제성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18(1), 381-392.
- 황은수, 성영혜 (2006). 아동의 학대경험이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인식정서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9(2), 73-89.
- 황혜자, 최윤화 (2003).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술저널, 22(1), 285-304.
- Adams, M. S., Robertson, C. T., Gray-Ray, P., & Ray, M. C. (2003). Labeling and delinquency. Adolescence, 38(149), 171-186.
- Agnew, R., & Brezina, T. (2012). Juvenile delinquency: Causes and contro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Akers, R. L., & Sellers, C. S. (2011). 범죄학 이론. (민수홍 외 역). 파주: 나남.
- Arslan, G. (2016). Psychological maltreatmen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and self-esteem. Child Abuse & Neglect, 52(-), 200-209.
- Auslander, W., Sterzing, P., Threlfall, J., Gerke, D., & Edmond, T. (2016). Childhood abuse and aggression in adolescent girls involved in child welfare: the role of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Trauma, Published online before print, 1-10.
- Bartusch, D. J., & Matsueda, R. L. (1996). Gender, reflected appraisals, and labeling: A cross-group test of an interactionist theory of delinquency. Social Forces, 75(1), 145-176.
- Chen, F. F. (2007).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3), 464-504.
- Cheung, G. W., & Rensvold, R. B. (2002).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233-255.
- Cole, D. A., & Maxwell, S. E. (2003). Testing mediational models with longitudinal data: questions and tips in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2(4), 558-577.
- Coohey, C., Renner, L. M., Hua, L., Zhang, Y. J., & Whitney, S. D. (2011). Academic achievement despite child maltreatment: A longitudinal study. Child Abuse & Neglect, 35(9), 688-699.
- Dekovic, M., & Meeus, W. (1997). Peer relations in adolescence: Effects of parenting and adolescents' self-concept. Journal of Adolescence, 20(2), 163-176.
- Iwaniec, D. (2006). The emotionally abused and neglected child: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Chichester: Wiley-Blackwell.
- Kinard, E. (1979).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abuse for the child. Journal of Social Issues, 35(2), 82-100.
- Kline, R. B. (2010).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 (이현숙 외 역). 서울: 학지사.
- Lopez, M. A., & Heffer, R. W. (1998). Self-concept and soci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 victims of childhood physical abuse. Child Abuse & Neglect, 22(3), 183-195.
- Matsueda, R. L. (1992). Reflected appraisals, parental labeling, and delinquency: Specifying a symbolic interactionist theor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7(6), 1577-1611.
- Matsueda, R. L. (2012). The natural history of labeling theory. Labeling Theory: Empirical Tests, 18, 13-41.
- Oyserman, D., & Destin, M. (2010). Identity-based motivation: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8(7), 1001-1043.
- Rice, F. P., & Dolgin, K. G. (2009). 청소년심리학. (정영숙 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 Sandstrom, K. L., Martin, D. D., & Fine, G. A. (2010). Symbols, selves, and social reality: A symbolic interactionist approach to sociology and social psychology. Los Angeles: Roxbury.
- Siegel, L. (2008). 범죄학: 이론과 유형. (이민식 외 역).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 Silverman, A. B., Reinherz, H. Z., & Giaconia, R. M. (1996). The long-term sequelae of child and adolescent abuse: A longitudinal community study. Child Abuse & Neglect, 20(8), 709-723.
- Solomon, C. R., & Serres, F. (1999). Effects of parental verbal aggression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marks. Child Abuse & Neglect, 23(4), 339-351.
- Triplett, R. (1993). The conflict perspective, symbolic interactionism, and the status characteristics hypothesis. Justice Quarterly, 10(4), 541-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