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가치평가 모델의 탐색 잠금해제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Exploration of Economic Valuation Model for the UX Design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Focusing on the Screen Unlock Interfaces

  • 이진성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UX트랙) ;
  • 조광수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UX트랙) ;
  • 최준호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UX트랙)
  • 투고 : 2015.09.09
  • 심사 : 2015.12.10
  • 발행 : 2016.05.31

초록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UX)에 대한 경제적 가치 평가 모델을 탐색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스마트폰 잠금해제 UX를 대상으로 터치형, 지문인식, 홍채인식에 대해 조건부 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적용하였다. 경제적 가치를 산출하기 위한 가치추정법 중에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선택한 이유는 잠금해제와 같은 인터페이스 요소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할 때 중요한 사용자 경험적 가치이지만 시장에서 별개로 거래되지 않는 비 시장 재화이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잠금해제를 조건부 가치측정법 중 이중 양분선택형 방식(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으로 설문조사하여 로짓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터치형 잠금해제 인터페이스는 529원, 지문인식 잠금해제는 4,214원, 홍채인식 잠금해제는 1,376원으로 경제적 가치가 나타났다. 즉, 지문인식 잠금해제가 가장 높은 경제적 가치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홍채인식, 터치형 순이었다. 이 연구의 주요 기여점은 UX 디자인에 대해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론적 시도를 수행하였고, 체계적이고 신뢰도 있는 결과를 산출하였다는 점이다.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conomic value of the UX design and applied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o the three smartphone screen unlock interface types: touch, fingerprint, and iris recognition.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 chosen from various economic valuation approaches because the interface components such as the screen unlock are important user experience values but non-market goods which are not traded independently. Using the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approach of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e survey results of the logit model showed that the economic value of touch unlock interface was 529 won, fingerprint was 4,214 won, and iris recognition was 1,316 won. That is, the fingerprint interface had the highest economic value, followed by iris recognition and touch interface.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we examined a method for economic valuation of the UX design and generated systematic and credible result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향은. 스마트 제품 영역에서의 UX디자인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연구. 디자인지식저널, 30. pp. 289-299. 2014.
  2. 두경일. 사용자 태도에 근거한 가치공학적 UX/UI 디자인 평가모형 연구. 디자인지식저널, 21. pp. 1-10. 2012.
  3. 김진우. 경험디자인. 안그래픽스. 2015.
  4. Mantei, M. M. and Teorey, T. J. Cost/benefit analysis for incorporating human factors in the software lifecycle. Communications of the ACM, 31(4). pp. 428-439. 1988. https://doi.org/10.1145/42404.42408
  5. Lund, A. M. Another approach to justifying the cost of usability. Interaction, May/June. pp. 49-56. 1997.
  6. Herman, J. A process for creating the business case for user experience projects. CHI'04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1413-1416. 2004.
  7. Dray, S. M., Karat, C. M., Rosenberg, D., Siegel, D. and Wixon, D. Is ROI an effective approach for persuading decision-makers of the value of user-centered design. CHI'05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1168-1169. 2005.
  8. 권용, 이건표. 사용성 개선의 성과측정을 위한 ROI 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004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252-253. 2004.
  9. 이동원, 김재정, 이강욱, 이호원. UX를 고려한 기술가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HCI학회 2011 학술대회. pp. 1146-1149. 2011.
  10. 김병준, 최준호, 안민서. 애플 UX 디자인의 가치는 얼마인가. 한국 HCI 학회 2013 학술대회. pp. 409-412. 2013.
  11. 박현, 유경준, 김석영, 곽승준. 문화.과학시설의 가치 추정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4.
  12. 고태호. 공공재의 가치: 공공재의 가치측정과 비용 편익 분석.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0.
  13. Ciriacy-Wantrup, S. V. Capital returns from soil-conservation practices. Journal of Farm Economics. 29(4). pp. 1181-1196. 1947. https://doi.org/10.2307/1232747
  14. Hanemann, W. M. Valuing the environment through contingent valuation. Th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8(4). pp. 19-43. 1994. https://doi.org/10.1257/jep.8.4.19
  15. Paul, R. P. The contingent valuation debate: Why economist should car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8(4). pp. 3-17. 1994. https://doi.org/10.1257/jep.8.4.3
  16. 신영철. 환경자원의 조건부가치 측정. 파주: 한국 학술정보. 2000.
  17. 이영범, 고태호, 홍근석, 지현정. 공공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특허청의 청구항별 심사제도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8(3), pp. 171-193. 2008.
  18. Arrow, et al. Report of the NOAA panel on contingent valuation. Federal Register. 58. pp. 4601-4614. 1993.
  19. 김진희.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한강르네상스프로젝트의 가치평가.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한민국: 서울. 2007.
  20. Mitchell, R. and Carson, R. Using surveys to value public good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hington D.C. 1989.
  21. 김재홍. 환경자원의 경제적 가치와 환경오염의 사회적 비용. 서울: 집문당. 2006.
  22. Rowe, R. D., d'Arge, R. C. and Brookshire, D. S. An experiment on the economic value of visibi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7. pp. 1-19. 1980. https://doi.org/10.1016/0095-0696(80)90018-2
  23. 김학용. 조건부시장가치법(CVM)을 이용한 문화유산자원의 경제적 편익추정.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한민국: 서울. 2002.
  24. 김장욱, 강순양, 김경태, 강영균.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보행환경개선사업에 대한 편익 추정.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0(4). pp. 7-19. 2012. https://doi.org/10.7470/jkst.2012.30.4.007
  25. 이충기. 2단계 CVM 접근방법을 통한 생태관광자원의 가치평가. 한국호텔경영학연구, 15(3). pp. 175-18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