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jective Well-being and Attitude toward Minority Group Members: A longitudinal analysis

주관적 안녕감과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 종단 분석

  • Jaisun Koo (Chung-Ang University) ;
  • Eunkook M. Suh (Yonsei University)
  • 구재선 (중앙대학교 교양학부대학) ;
  • 서은국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16.01.19
  • Accepted : 2016.04.18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ubjective well-being on attitude towards minority group members. In a cross-sectional data, the higher subjective well-being predicted more positive cognitive beliefs, affective feeling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s foreign laborers and children of international couples. The causal link from subjective well-being to greater tolerance for cultural diversity was found again in a large longitudinal sample. The rate of life satisfaction increase from Time 1 to Time 2 significantly predicted multicultural receptiveness at Time 2. Overall, the findings suggest that subjective well-being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favorable attitude towards minority group members.

주관적 안녕감이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의 측면에서 어떠한 결과를 산출하는지 검토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주관적 안녕감과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의 횡단적 관계를 검토하는 예비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청소년은 외국인 노동자나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들에 대해서 우호적인 생각과 느낌,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자료를 활용하여 주관적 안녕감과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의 종단적 관계를 검토했다. 그 결과, 주관적 안녕감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2년 후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를 예측했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5학년 시기에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청소년은 동일시기(초5) 뿐 아니라 2년 후 중1이 되었을 때에도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가 우호적이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주관적 안녕감은 감소하는 추세였으며, 주관적 안녕감이 적게 감소한 청소년들이 중1이 되었을 때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이 긍정적인 다문화 태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 행복을 통해 미래 한국 사회의 특징이 예측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영, 서은국 (2007). 행복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믿음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1-19.
  2. 구재선 (2009). 행복은 심리적 자원을 형성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65-179.
  3. 구재선, 서은국 (2012). 행복은 4년 후 학업성취를 예측한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2), 35-50.
  4. 구재선, 서은국 (2013). 행복이 미래 수입과 직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7(2), 17-36.
  5. 구재선, 이아롱, 서은국 (2009). 행복의 사회적 기능: 행복한 사람이 인기가 있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29-47.
  6. 김경미, 류승아, 최인철 (2014). 행복과 학업성취: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4), 329-346.
  7. 김신영, 임지연, 김상욱, 박승호, 유성렬, 최지영, 이가영 (2006). 청소년발달지표조사1, 결과부분 측정지표 검증.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8.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9. 박종일, 박찬웅, 서효정, 염유식 (2010).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연구와 국제비교. 한국사회학, 44, 121-154.
  10. 박주희, 정진경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395-432.
  11. 박주희, 정진경 (2008). 타문화에 대한 태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21.
  12. 박준성, 최영진, 정태연 (2015).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4), 719-738.
  13. 박준성, 허성호, 전미연, 정태연 (2015). 남한에서 조선족 직장여성의 문화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1), 21-43.
  14. 신지은, 최혜원, 서은국, 구재선 (2013). 행복한 청소년은 좋은 시민이 되는가? 긍정 정서와 친사회적 가치관 및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7(3), 1-21.
  15. 양계민 (2009).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59-79.
  16. 양계민 (2010). 현실갈등인식과 지각된 경제수준이 이주노동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안녕감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1), 111-128.
  17. 양계민, 정진경 (2008).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교육 활성화방안연구. (연구보고 08-R07).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연합뉴스 (2015. 8. 20). 한국 다문화 수용성 우려수준, 10년간 제자리.
  19. 이은경 (2005). 신경증과 외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긍정적 정서의 중요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 장휘숙 (2004). 청년심리학. 서울: 박영사.
  21. 행정자치부 (2015). 2015년 외국인주민 현황. 행정자치부.
  22. Baron, R. A. (1990). Environmentally induced positive affect: Its impact on self-efficacy, task performance, negotiation, and conflict.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 368-384.
  23. Baron, R. A., Fortin, S. P., Frei, R. L., Hauver, L. A., & Shack, M. L. (1990). Reducing organizational conflict: The role of socially-induced positive a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1, 133-152.
  24. Berry, D. S., & Hansen, J. S. (1996).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796-809.
  25. Cunningham, M. R. (1988). Does happiness mean friendliness? Induced mood and heterosexual self-disclosur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4, 283-297.
  26. Danner, D. D., Snowdon, D. A., & Friesen, W. V. (2001). Positive emotions in early life and longevity: Finding from the nun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804-813.
  27.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93, 542-575.
  28. Diener, E., Emmons, R. S.,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29. Diener, E., Scollon, C. N. & Lucas, R. E. (2003). The evolving concept of subjective well-be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happiness. Advances in Cell Aging and Gerontology, 13, 187-219.
  30. Diener, E., Smith, H., & Fujita, F. (1995). The personality structure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 130-141.
  31. Diener, E., & Suh, E. M. (1999). National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In D. Kahneman, E. Diener, & N. Schwarz (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pp. 434-450). NY: Russell Sage Foundation.
  32. Diener, E., & Suh, E. M. (2000).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Cambridge, MA: MIT Press.
  33. Diener, E., Suh, E. M., Kim-Prieto, C., Biswas-Diener, R., & Tay, L. S. (2010). Unhappiness in South Korea: Why it is high and what might be done about it.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pp. 1-23.
  34. Dovidio, J. F., Gaertner, S. L., Isen, A. M., & Lowrance, R. (1995). Group representations and intergroup bias: Positive affect, similarity, and group siz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856-865.
  35. Erwin, P. (2006). 태도와 설득[Attitude and persuasion](고은경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1년에 출판).
  36. Fredrickson, B. L. (1998).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 300-319.
  37.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6, 218-226.
  38. Fredrickson, B. L., & Branigan, C. (2005). Positive emotions broaden the scope of attention and thought-action repertoires. Cognition and Emotion, 19, 313-332..
  39. Fredrickson, B. L., Tugade, M. M., Waugh, C. E., & Larkin, G. R. (2003).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in crises? A prospective study of resilience and emotions following the terrorist attacks o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1th, 2001.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365-376.
  40. Harker, L., & Keltner, D. (2001). Expressions of positive emotion in women's college yearbook pictu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ersonality and life outcomes across adult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112-124.
  41. Judge, T. A., & Higgins, C. A. (1998). Affective disposition and the letter of referen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75, 207-221.
  42.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Guilford Press.
  43.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 803-855.
  44. Lyubomirsky, S., & Tucker, K. L. (1998). Implication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ubjective happiness for perceiving, interpreting, and thinking about life events. Motivation and Emotion, 22, 155-186.
  45. Manucia, G. K., Baumann, D. J., & Cialdini, R. B. (1984). Mood influences on helping: Direct effects or side effec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357-364.
  46.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47. Oishi, S. (2012). The psychological wealth of nations: Do happy people make a happy society? Hoboken, NJ: Wiley-Blackwell.
  48. Oishi, S., & Koo, M. (2008). Two new questions about happiness. In M. Eid & R. J. Larsen (Eds.).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pp. 290-306). NY: The Guilford Press.
  49. Strahan, R., & Gerbasi, K. C. (1972). Short homogenous version of the Marlowe-Crown Social Desirability Sca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 191-193.
  50. Urada, D., & Miller, N. (2000). The impact of positive mood and category importance on crossed categorization effec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 417-433.
  51. Veenhoven, R. (1988). The utility of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 333-354.
  52. Veenhoven, R. (Eds.) (1989). How harmful is happiness? consequences of enjoying life or not? Rotterdam, The Netherlands: University Press Rotterdam.
  53. Waugh, C. E., & Fredrickson, B. L. (2006). Nice to know you: Positive emotions, self-other overlap, and complex understanding in the formation of a new relationship.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 93-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