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만진 (1993). 노래연습장의 뿌리를 찾아서: 부산.경남 편. <노래마당>1권 12호.
- 강신자 (1991). 가라오케와 한국문화. <월간샘터>, 22-1호.
- 강준만 (1996). <고독한 대중>. 서울: 개마고원.
- 권명희 (1993). 오사카의 밤: 축소지향의 국민성이 만들어 낸 가라오케 문화를 찾아서. <노래마당>, 창간호.
- 권창규 (2015).산업으로서의 관광 속 관광기생의 존재 - 1970, 80년대 한국의 섹스관광('기생관광') 산업. <대중서사>, 210-2호.
- 김문겸 (2013). 한국 유흥문화의 대전환과 그 의미. <한국민속학>, 57호.
- 김문겸 (1998). 술집의 사회사: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17.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 김창욱 (2000). <부산 음악의 지평>. 부산: 세종출판사.
- 김혜경 (1995). 노래방의 실태와 여가선용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음악과 민족>, 10호.
- 문지경 외 8명 (1992). 일본문화 침투에 따른 한국문화의 종속과 극복방안. 언론과 사회 대학원생 컨퍼런스 발표문.
- 문지현 (2011).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른 한국 노래방 성장의 사회문화적 의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소진 (2012). 대학생의 노래방 체험. <문화와사회>, 13권. 한국문화사회학회.
- 박재린.이선희 (1981). <부산지역 관광진흥책에 관한 연구>. 부산: 부산상공회의소 부산경제연구센터.
- 박진우 (2012). 방송과 영화의 재매개 과정: 1970년대 라디오 영화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탐색. 한국방송학회 편 (2012). <관점이 있는 한국 방송의 사회문화사>. 서울: 한울아카데미.
- 부산일보사 (1984). <釜日年鑑 1984: 부산.경남 편>. 부산: 부산일보사.
- 부산일보사 (1985). <釜日年鑑 1985: 부산.경남 편>. 부산: 부산일보사.
- 부산일보사 (1989). <釜日年鑑 1989: 부산.경남 편>. 부산: 부산일보사.
- 부산일보사 (1991). <釜日年鑑 1991: 부산.경남 편>. 부산: 부산일보사.
- 사단법인 관광산업연구원 (1986). <관광연감 1986>. 서울: 도서출판 자유문고.
- 사토 타쿠미 (1997). 고도정보공간 가라오케 박스의 성립.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 송도영 (1997/2013). 문화산업의 기술, 공간 그리고 소비양식: 노래방의 사례. 문옥표 외 (1997/2013). <한국인의 소비와 여가생활>(개정판).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왕성옥 (2008). <한국경제발전 과정에서 여성 노동력의 노동현장과 성산업 현장 간의 배치과정에 대한 고찰: 1960-1990년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강희 (1993). 긴급진단, 노래방 2년. <노래마당>, 1권 2호.
- 유경수 (1990). 레이저디스크를 이용한 비디오케. <월간 음반>(1990. 6).
- 유승훈 (2013). <부산은 넓다: 항구의 심장박동 소리와 산동네의 궁핍함을 끌어안은 도시>. 파주: 글항아리.
- 유항무 (2000). <노래방 문화가 청소년의 정서와 음악교육에 미치는 영향: 서귀포 지역의 현장실태 조사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이재현 (1992). 노래방, 혹은 전자 밀실의 가라오케 자판기. <문화과학>, 2호.
- 이현정 (1995). <노래방이 청소년 음악에 미치는 영향: 현장실태 조사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형동 (2007). <노래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강릉지역 고등학생 중심으로>. 강릉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장건섭 (1986). 비디오, 향락산업의 전유물인가: 비디오+오케스트라=비디오께. <비디오>, 20호(1986. 11).
- 장유정 (2006). 현대 대중음악과 공동체 문화의 상관성 연구: 대학생들의 대중음악 향유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2호.
- 장현태 (2011). 노래방 20년과 함께 한 과학기술_목소리 크면 주던 점수, 이젠 정밀 채점. <과학동아>, 26-9호.
- 주연아 (1998). 가라오케 신드롬. <한국논단>, 103-1호.
-
주은우 (2006). 미디어와 역사의 소비.
, 2006년 여름호. - 채백 (2014). 박정희 시대 신문독자의 사회문화사. <언론정보연구>, 51권 2호.
- 최길주 (1993). 최초의 노래방 현지 확인 취재: 하와이 비치 노래연습장. <노래마당>, 1993년 창간호.
- 최준용 (1973).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실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KBS (1990. 8. 14). <현장기록 요즘사람들>(KBS 프로그램). 서울: KBS-TV.
- 한국교회연합회 (1983). <기생관광: 전국 4개 지역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교회여성연합회.
- 한국관광공사 (1987). <관광공사 25년사>. 서울: 한국관광공사.
- 한국관광협회 (1984). <한국관광발전사>. 서울: 한국관광협회.
- 한국여행신문사 특별취재팀 (1999). <한국 관광 50년 비사>. 서울: 한국여행신문사.
- 허재녕 (2000). <부산시 정주공간 구조의 재편과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佐藤卓己 (1993). カラオケ.ボックスのメディア史. 佐藤 毅 編 (1993). <現代のエスプリ No.312: 情報化と大衆文化>.
- 水越 伸 (1999). <デヅタル メディア社會>. 백성수 외 (역) (2000). <디지털미디어 100년 후를 상상한다: 차세대 인터넷 세상을 내다본다>. 고양: 한국학술정보.
- Otake, A., & Hosokawa. S. (1998). Karaoke in East Asia, Mitsui, T. & Hosokawa, S. (1998). Karaoke Around The World. London & New York: Routledge.
- Mitsui, T., & Hosokawa, S. (1998). Karaoke Around The World. London & New York: Routledge.
- Koichi, I. (1995). 'Return to Asia? Japan in the global audiovisual market'. Media International Australia, No.77.
- Winston, B. (1998). Media technology and society: a history : from the telegraph to the Internet. London & New York: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