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Contexts and Media-Historical Meaning of the Early 'Noraebang' Culture in Busa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raebang and Karaoke Culture in 1980s

초기 부산 노래방 문화 형성의 사회적 맥락과 매체사적 의미 1980년대 가라오케 문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YOON, Sangkil (Dep.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hinhan University) ;
  • CHANG, Il (Dep. of Media Arts and Science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윤상길 (신한대학교 언론학과) ;
  • 장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 Received : 2016.03.31
  • Accepted : 2016.05.20
  • Published : 2016.06.15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socio-economical contexts of Japan's Karaoke inflow in Busan of the 1980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araoke culture of the 1980s and 'Noraebang' culture of the early 1990s in Bus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OT(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theory. By the end of 1970s, Japan's Karaoke was introduced under the contexts of structural transformations of a geisha tourism in the East Asian regions. Karaoke culture in Busan of the 1970s and 1980s has formulated social recognitions of the novelty of Noraebang culture in the 1990s, although it has done so through the ways of misunderstandings and Nationalism.

본고의 연구 목적은 일본산 가라오케가 부산에 유입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검토하고, 1980년대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번졌던 가라오케 문화가 1990년대 노래방 문화의 태동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를 기술의 사회적 구성주의론이라는 시각에서 해명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1980년대 가라오케의 부산 유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회경제적 배경에는 1970년대 동아시아 기생관광산업의 구조 변동 속에서 정부의 관광객 유치 정책에 의해 부산을 방문하는 일본인 관광객이 늘어났다는 요인이 자리를 잡고 있지만, 1982년 정부의 국제여행 알선업체의 등록제 전환과 그에 따른 여행업체와 가라오케 업소 간의 사업적 제휴, 가라오케 업소 간의 일본인 관광객 유치 경쟁 또한 부산 지역 가라오케의 증가를 가져온 요인이었음이 밝혀졌다. 한편, 1980년대 부산의 노래방 문화 형성이 가라오케 문화와 맺는 관련성을 매체사적인 시각에서 살펴본 결과, 초창기 직접적으로 노래방기계를 접했던 부산 지역의 사람들은 노래방의 '새로움'을 주로 전자오락기와의 비교를 통해 인지했었던 데 반해, 가라오케와 노래방을 비슷한 것으로 잘못 인식해 노래방을 '왜색 문화'라고 비판했던 언론은 비록 부정적 방식이긴 하더라도 노래방의 사회적 인지 확대에 매우 큰 역할을 담당했음이 밝혀졌고, 그런 점에서 1980년대 부산의 가라오케 문화는 노래방의 사회적 인지 획득 과정에 연관되어 있음이 드러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진 (1993). 노래연습장의 뿌리를 찾아서: 부산.경남 편. <노래마당>1권 12호.
  2. 강신자 (1991). 가라오케와 한국문화. <월간샘터>, 22-1호.
  3. 강준만 (1996). <고독한 대중>. 서울: 개마고원.
  4. 권명희 (1993). 오사카의 밤: 축소지향의 국민성이 만들어 낸 가라오케 문화를 찾아서. <노래마당>, 창간호.
  5. 권창규 (2015).산업으로서의 관광 속 관광기생의 존재 - 1970, 80년대 한국의 섹스관광('기생관광') 산업. <대중서사>, 210-2호.
  6. 김문겸 (2013). 한국 유흥문화의 대전환과 그 의미. <한국민속학>, 57호.
  7. 김문겸 (1998). 술집의 사회사: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17.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8. 김창욱 (2000). <부산 음악의 지평>. 부산: 세종출판사.
  9. 김혜경 (1995). 노래방의 실태와 여가선용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음악과 민족>, 10호.
  10. 문지경 외 8명 (1992). 일본문화 침투에 따른 한국문화의 종속과 극복방안. 언론과 사회 대학원생 컨퍼런스 발표문.
  11. 문지현 (2011).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른 한국 노래방 성장의 사회문화적 의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소진 (2012). 대학생의 노래방 체험. <문화와사회>, 13권. 한국문화사회학회.
  13. 박재린.이선희 (1981). <부산지역 관광진흥책에 관한 연구>. 부산: 부산상공회의소 부산경제연구센터.
  14. 박진우 (2012). 방송과 영화의 재매개 과정: 1970년대 라디오 영화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탐색. 한국방송학회 편 (2012). <관점이 있는 한국 방송의 사회문화사>. 서울: 한울아카데미.
  15. 부산일보사 (1984). <釜日年鑑 1984: 부산.경남 편>. 부산: 부산일보사.
  16. 부산일보사 (1985). <釜日年鑑 1985: 부산.경남 편>. 부산: 부산일보사.
  17. 부산일보사 (1989). <釜日年鑑 1989: 부산.경남 편>. 부산: 부산일보사.
  18. 부산일보사 (1991). <釜日年鑑 1991: 부산.경남 편>. 부산: 부산일보사.
  19. 사단법인 관광산업연구원 (1986). <관광연감 1986>. 서울: 도서출판 자유문고.
  20. 사토 타쿠미 (1997). 고도정보공간 가라오케 박스의 성립.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21. 송도영 (1997/2013). 문화산업의 기술, 공간 그리고 소비양식: 노래방의 사례. 문옥표 외 (1997/2013). <한국인의 소비와 여가생활>(개정판).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2. 왕성옥 (2008). <한국경제발전 과정에서 여성 노동력의 노동현장과 성산업 현장 간의 배치과정에 대한 고찰: 1960-1990년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유강희 (1993). 긴급진단, 노래방 2년. <노래마당>, 1권 2호.
  24. 유경수 (1990). 레이저디스크를 이용한 비디오케. <월간 음반>(1990. 6).
  25. 유승훈 (2013). <부산은 넓다: 항구의 심장박동 소리와 산동네의 궁핍함을 끌어안은 도시>. 파주: 글항아리.
  26. 유항무 (2000). <노래방 문화가 청소년의 정서와 음악교육에 미치는 영향: 서귀포 지역의 현장실태 조사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이재현 (1992). 노래방, 혹은 전자 밀실의 가라오케 자판기. <문화과학>, 2호.
  28. 이현정 (1995). <노래방이 청소년 음악에 미치는 영향: 현장실태 조사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이형동 (2007). <노래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강릉지역 고등학생 중심으로>. 강릉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0. 장건섭 (1986). 비디오, 향락산업의 전유물인가: 비디오+오케스트라=비디오께. <비디오>, 20호(1986. 11).
  31. 장유정 (2006). 현대 대중음악과 공동체 문화의 상관성 연구: 대학생들의 대중음악 향유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2호.
  32. 장현태 (2011). 노래방 20년과 함께 한 과학기술_목소리 크면 주던 점수, 이젠 정밀 채점. <과학동아>, 26-9호.
  33. 주연아 (1998). 가라오케 신드롬. <한국논단>, 103-1호.
  34. 주은우 (2006). 미디어와 역사의 소비. , 2006년 여름호.
  35. 채백 (2014). 박정희 시대 신문독자의 사회문화사. <언론정보연구>, 51권 2호.
  36. 최길주 (1993). 최초의 노래방 현지 확인 취재: 하와이 비치 노래연습장. <노래마당>, 1993년 창간호.
  37. 최준용 (1973).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실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KBS (1990. 8. 14). <현장기록 요즘사람들>(KBS 프로그램). 서울: KBS-TV.
  39. 한국교회연합회 (1983). <기생관광: 전국 4개 지역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교회여성연합회.
  40. 한국관광공사 (1987). <관광공사 25년사>. 서울: 한국관광공사.
  41. 한국관광협회 (1984). <한국관광발전사>. 서울: 한국관광협회.
  42. 한국여행신문사 특별취재팀 (1999). <한국 관광 50년 비사>. 서울: 한국여행신문사.
  43. 허재녕 (2000). <부산시 정주공간 구조의 재편과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4. 佐藤卓己 (1993). カラオケ.ボックスのメディア史. 佐藤 毅 編 (1993). <現代のエスプリ No.312: 情報化と大衆文化>.
  45. 水越 伸 (1999). <デヅタル メディア社會>. 백성수 외 (역) (2000). <디지털미디어 100년 후를 상상한다: 차세대 인터넷 세상을 내다본다>. 고양: 한국학술정보.
  46. Otake, A., & Hosokawa. S. (1998). Karaoke in East Asia, Mitsui, T. & Hosokawa, S. (1998). Karaoke Around The World. London & New York: Routledge.
  47. Mitsui, T., & Hosokawa, S. (1998). Karaoke Around The World. London & New York: Routledge.
  48. Koichi, I. (1995). 'Return to Asia? Japan in the global audiovisual market'. Media International Australia, No.77.
  49. Winston, B. (1998). Media technology and society: a history : from the telegraph to the Internet. London & New York: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