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평화적 공존을 위한 신뢰구축 방안

Confidence-building measures for peaceful coexistence on the DMZ

  • 이성춘 (송원대학교 국방공무원학과)
  • 투고 : 2016.04.28
  • 심사 : 2016.05.30
  • 발행 : 2016.05.30

초록

비무장지대에 대하여 정전협정 문헌적 고찰을 실시한 후 군사비밀에 문제점이 없는 범위에서 현재까지 집중되어 있는 군사력 배치 현황을 언급하였으며, 이러한 강력한 군사력은 한반도의 평화적인 통일에 있어서 저해요소로 판단하였다. 향후 한반도 통일시대를 대비하여 중무장된 비무장지대를 비무장화하기 위한 군사력 감축방안을 정치 및 경제적인 현상과 연계하여 제시하였다. 남북한의 군사적 긴장완화의 필요성은 평화통일 기반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남북은 이제부터라도 그동안의 교류협력 사항을 점검하고 다시 한번 재도약의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평화적 공존을 위한 비무장지대 군사적 신뢰구축 방안은 정치 및 경제적인 현상을 고려하여야 한다. 우선적으로 비무장지대의 군사적 신뢰구축 방안으로 비무장지대의 경계는 첨단화, 과학화하여 병력을 최소화 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남북 직통전화 수도 최대한 늘려서 우발상황 발생시 긴장완화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정치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북한의 이익 등을 보장하면서 군사적인 불안감을 주지 않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status of military force on the DMZ(demilitarized zone) without any confidential problems after literature reviewing on a ceasefire agreement and these powerful military force is judged to be a very serious setback to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lso it suggests the ways to reduce inter-korean military force based 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phenomenon to preparing for an era of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easing of tension on the inter-korean military force is an essential element in building infrastructure of peaceful reunification. From now on, both Seoul and Pyongyang might check inter-Korea exchange cooperation Project and reconcile their differences. Primarily, The troops of DMZ would be minimized by Modernization for Military confidence-building. Increasing North-South hotline as possible further, it could contributes to ease of tension in case of emergency. Political and economic plans should be presented that do not arise the military tension simultaneously with ensuring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in the North Korea's regim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인영.김재한, DMZ 발전적 이용과 해체, 도서출판 소화, 1999, p.68.
  2. 육군본부, 군사용어사전, 육군본부, 2012, p. 492.
  3.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92, p. 205.
  4. 사회과학출판사, 국제법사전, 2002, p. 324. p. 340.
  5. 세계지식, 중국세계지식출판사, 1951. p.15.
  6. 이영우.김윤태, 남북한 군사력 비교평가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1991, p. 31.
  7.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 통일한국 , 평화문제연구소, 2005, pp. 38-40.
  8. 국방부, 2014 국방백서, 국방부, 2014년, p. 10.
  9. 국방연구원, 2010 동북아 군사력과 전력동향, 국방연구원, 2011, pp. 166-167.
  10. 통일원, 비무장지대 평화적 이용방안 관련 주요 제의 : 실무보고 자료, 통일원, 1987, p. 2.
  11. 통일원, 1990 통일백서, 통일원, 1990, pp. 39-41.
  12. 통일원, 1990 통일백서, pp. 40-41.
  13. 국토통일원,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 기본해설자료, 국토통일원, 1989, pp. 27-28.
  14. 통일원, 남북기본합의서 해설(II): 합의과정에서의 쌍방 주장, 통일원, 1992, pp. 119-120.
  15. 동아일보,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전문, 2013. 6. 26
  16. 손기웅 외, 접경지역의 평화지대 조성을 통한 남북교류 활성화 방안(I):접경지역 평화적 이용을 위한 이론적 검토와 사례연구, 통일연구원, 2009.
  17. 제성호, '정전협정과 남북교류협력', 한반도군비통제, 제38호, 국방부, 2005.
  18. 고경빈, 'DMZ 평화지대화와 남북관계', 북한학연구 제3권 2호, 2007.
  19. 박광득, '정전협정의 주요내용과 쟁점분석', 통일전략 제14권 2호, 2014.
  20. 이장희, '세계화와 비무장지대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법적 기본문제;, 사회과학논총 제10집,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