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key terms in consumer and family resource management in South and North Korea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통일 대비 남북한 가정생활 용어 비교 분석: 소비자·가정경영 영역을 중심으로

  • 이연숙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 한영선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 정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 Received : 2016.01.01
  • Accepted : 2016.04.03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study objectively analyzes the understanding of changes in North Koreans' home liv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home life cultures of South and North Korea.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terms related to consumer and family resource management to determine language differences and create a mutual understanding of social convergence unification. First,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North Korean language is not developed in certain areas, such as consumer welfare or consumer patterns related to resolving issues or complaints connected to consumptive lifestyles. In financial management, there were terms that referred to the collapsed North Korean economic conditions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in 1991 and the North Korean famine. Second, terms reflecting North Korea's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s were discovered, and it was found that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s differed from each other with regard to terms about kinship, sports, and art.

Keywords

References

  1. 권순희(2012).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재 개발-초등 과정의 토론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 강동수(2008). 남북한 도로교통 용어 비교. 교통기술과정책, 5(2), 149-150.
  3. 김광수(2009). 남북한 생물학용어의 사용 실태와 통일 방안. 인문노총, 24, 79-107.
  4. 김석향(2012). 1990년 이후 북한주민의 소비생활에 나타나는 추세 현상 연구: 북한이탈주민의 경험담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16(1), 191-216.
  5. 김승철(2006). 북한의 가정환경이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일연구 11(1), 35-56.
  6. 김정률, 최근수(2003). 남북한 지질학 용어의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4(8). 691-703.
  7. 김혜정(2013). 남북한 언어 이질화와 그 극복을 위한 교육 방안-북한의 광고와 뉴스 담화의 화용적 분석 토대로. 한말연구, 33, 137-163.
  8. 김재완(2003). 남북한 중등지리 교과서의 비교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2), 153-168.
  9. 김효정(2006).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중등 수학 교과서의 비교: 수학용어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구성훈(2010). 남북한 초등 지리교육내용 비교 연구: 교과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
  12. 곽미란(2006). 남북한 음악 용어의 비교 분석: 중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길병문, 이재갑(2000). 남북한 수학 교과서 내용 비교 연구 I. -초등학교 6 학년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지, 3(2). 47-58.
  14. 남인숙(1999). 남북한 사회문화에 내재한 가부장성에 관한 연구. 북한연구학회보, 3(1). 173-196.
  15.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small_detail.nhn?docid=31062300&directAnchor=s311973p370089
  16. 네이버 북한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74763&cid=42251&categoryId=51122
  17.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74763&cid=42251&categoryId=51122
  18. 도홍렬(1999). 남북한 주민의 가족의식 비교. 북한연구학회보, 3(2), 83-96
  19. 디지털 한글박물관. http://www.hangeulmuseum.org/sub/future/unification/differ_han03.jsp. 검색일자 2016. 02. 11
  20. 문숙재, 조성은(1996). 남, 북한 가정의 가사노동 사회화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21-31.
  21. 문화체육관광부(2013). 2013 여가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2. 박경숙(2013). 북한의 출산력 변천과 사회적 요인. 한국인구학, 36(1), 125-154.
  23. 박교식, 이경화, 임재훈(2004). 남북한 초등학교 교과서의 분수 도입 방식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14(4), 367-385.
  24. 북한정보포털 사이트 북한용어사전 http://nkinfo.unikorea.go.kr/nkp/term/termDicaryList.do
  25. 안지영(2011). 2000년대 북한 영화 속 일상생활에 나타난 여성상.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기영, 이기춘, 이은영, 이순형, 김대년, 박영숙, 최연실(2000). 탈북인을 통해 본 북한의 시간생활 실태 및 남한과의 차이점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4(2), 57-73.
  27. 이기춘, 나종연(2007). 북한이탈주민의 북한과 남한에서의 소비생활경험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3(2), 101-122.
  28. 이광주(1994). 남북한 국민(인민)학교 산수 교과서 용어에 관한 비교 분석. 숭실대학교 통일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경미(2001). 남북한 한의학 전문용어 비교: 국역 향약집성방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0. 이선자(2006). 초등실과에서의 남북한 실태 비교를 통한 통일교육 전략.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미경(2006). 탈북여성과의 심층면접을 통해서 본 경제난 이후 북한 여성의 지위변화 전망. 가족과 문화, 18(1), 33-55.
  32. 이상혁(2015). 한글간소화방안과 표음주의, 그 국어학사의 굴절-한글 맞춤법 통일안 형태주의와의 대립을 중심으로-한성어문학, 34, 35-58.
  33. 이연숙, 한지수, 한영선, 김하늬(2009).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의 경향 및 발전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207-226.
  34. 이영신(2012). 우리나라와 북한의 생물 교과서 용어 비교 분석: 고등생물 6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지수(2009). 남북한 통계학 용어 비교. 한국품질경영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36. 이현복(1995). 남.북한 언어학 및 음성학 분야학술 용어의 비교 연구. 한글학회, 229, 133-150.
  37. 이호성(2005). 남북한 화학 교과서 비교 분석 및 북한 화학 용어에 대한 이해도 조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임재훈, 이경화, 박경미(2003). 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 개발 연구(II):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구성과 전개방법 비교. 학교수학, 5(1), 43-58.
  39. 왕한석(1990). 북한의 친족용어. 국어학회지, 20, 168-202.
  40. 원호연(1994). 남북한의 표면해부학 용어 비교와 개정시안. 대한체질인류학회지, 7(2), 259-266.
  41. 윤명원(2000). 남.북한 음악용어의 비교. 한국전통음악학, 1, 341-363.
  42. 신성균, 황혜정, 박경미, 강문봉, 박문환(1997). 남북한 초등 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7(1), 159-170.
  43. 신현성(1999).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지, 2(1), 31-41.
  44. 장길환(2001). 남북한 미술용어의 비교 연구.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지, 2(3). 393-404.
  45. 장해광(2004).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2002년 북한 교과서와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전수태(1988). 북한 문화어의 한자어와 외래어. 국어생활, 15, 49-74.
  47. 전형호(2011). 독일통일에 비추어 본 한반도 통일준비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정순화, 임정하(2014). 남북한 가족가치관의 비교고찰. 인간발달연구, 21(4). 97-127.
  49. 정미경(2008). 통일을 대비한 초등실과 가정생활교육 방안 (II).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1), 129-152.
  50. 정미경, 김유정(2008). 통일을 대비한 초등실과 가정생활교육 방안 (III).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2), 157-177.
  51. 정미경, 황희경(2007). 통일을 대비한 초등실과 가정생활교육 방안 (I).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4), 145-170.
  52. 정순희(2007). 소비자학 분야 연구동향과 전망. 한국가정관리학회 창립30주년기념 학술대회자료집.
  53. 조순래(2003). 북한용어 소사전. 서울: 연합뉴스.
  54. 조재수(2008). 남북한비교사전. 경기: 한겨레출판.
  55. 최용기(2001).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 최기호, 김슬옹, 장윤업(2005). 남북간 정보화교육에 활용되는 IT 용어의 비교. 한국어정보학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57. 천용택, 차종환(2002). 달라진 남한말과 북한말. 서울: 예가.
  58. 천현후(2009). 남북한 중등학교 한국지리 용어차이와 통합방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최택영, 김인연(1998). 남북한 수학 교과서의 비교-북한의 고등중학교 (중등반) 기하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37(1), 35-54.
  60. 통일부(2014). 민족공동체 통일방안. 보도자료.
  61. 통일준비위원회(2014a). 사회문화, 정치.법제도분과 공개세미나 보도자료.
  62. 통일준비위원회(2014b). 제3차 전체회의 보도자료.
  63. 통일준비위원회 http://www.pcup.go.kr/main.do
  64. 한겨레(2010.3.23). [북녘말] '꾹돈'과 '모대기다'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411550.html.
  65. 한명기, 김태연, 박기영, 김봉성, 이정주(2007). 남북한 신생아학 용어 비교. 대한주산의학회지, 18(2), 119-124.
  66. 황인영(2007).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 내용 분석: 정치, 경제 교과서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통일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허선(1995). 남북한 의학용어 비교. 아시아문화, (11), 203-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