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of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Clothing Fit -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Journals of 2000~2016year -

의복관련 맞음새 평가에 관한 연구동향 - 2000~2016년 국내학회지를 중심으로 -

  • Lee, Jin-Hee (Dept. of Fashion Design and Appare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
  • Kim, Yun-Hee (Dept. of Fashion and Shoes Design Industry,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 이진희 (원광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학과) ;
  • 김윤희 (원광대학교대학원 패션디자인.슈즈산업학과)
  • Received : 2016.11.15
  • Accepted : 2016.12.16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research the trend of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clothing fit using the domestic research journals. clothing fit has long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customers in clothing appearance. Understanding fit from a consumer's perspective is complex. 85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academic sites (KISS, DBpia, KiSTi). Many clothing fit articles published on the 2011-2016 year. In research target, young women were more than other age groups. On the evaluation of clothing fit, method of clothing fit classified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wearing test. Many articles were used the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57.7%. The other articles were used wearing test with professional analyst and objective evaluation tool. Objective evaluation was used 3D virtual wearing systems (i-designer, DC suit, CLO et al). In the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wearing test using the objective evaluation, jacket and pants were researched on the clothing items mainly. Many young women put on the jacket and pants to active energetically. In the future, researches related clothing fit need to develop the objective and accuracy evaluation tool of clothing fit.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최혜선, 김소라 (2015). 20대 남성을 위한 슬림 재킷패턴 비교분석 연구. 디자인지식저널, 33, 191-207.
  2. 강미정, 권영아. (2013). 3차원 하반신 스캔데이터를 이용한 승마바지의 맞음새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6), 1000-1009. https://doi.org/10.5805/SFTI.2013.15.6.1000
  3. 강여선 (2012). 남성셔츠 실루엣에 따른 대상자들의 연령별, 호칭별 분포특성과 신체치수 분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2(4), 81-100.
  4. 강여선 , 최혜선 (2005). 보문 : 남성복 재킷의 선호여유량과 맞음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 91-102.
  5. 강여선; 최혜선 (2004). 남성 맞춤 정장 재킷의 여유량을 결정짓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12), 1605-1616.
  6. 강연경, 손희준 (2008). 중국 성인여성의 테일러드수트 착용신패 및 맞음새에 관한 연구 -상해지역 25-34세 거주자를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2(2), 17-133.
  7. 김경아 (2004) 만(滿)12-14세(歲) 트윈 세대(世代) 남학생(男學生)의 의복(衣服) 착용실태(着用實態) 및 맞음새 연구(硏究). 패션비즈니스, 8(5), 85-99.
  8. 김경희 (2013). 여성 골프 바지 업체 패턴의 맞음새 비교 연구 : 40세 이후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16(2), 141-152.
  9. 김경희 (2014). 골프 스키니 팬츠 패턴의 맞음새 연구. 한복문화, 17(2), 73-86.
  10. 김경희 (2015). 여성 골프 티셔츠 패턴의 맞음새 비교 연구 : 40세 이후를 중심으로. 패션과 니트, 13(1), 1-9.
  11. 김경희, 김미영 (2009). TV홈쇼핑 브랜드 브래지어의 맞음새 및 패턴 비교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2(2), 103-117.
  12. 김경희, 김미영, 김희선 (2009). 브랜드별 브래지어 착용 맞음새와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패션과 니트, 7(1), 16-28.
  13. 김덕하, 김경화 (2013). 20대 여성의 팬티스타킹 착용실태 및 신체치수에 따른 맞음새 만족도 차이.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3), 119-134.
  14. 김도경, 천종숙 (2016). 3차원 가상 착의 시스템을 이용한 여자 청소년용 길 원형 맞음새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4(3), 279-292.
  15. 김미영 (2012). 홈쇼핑 브랜드 팬티의 착용 맞음새 및 패턴 분석 연구. 한복문화, 15(2), 143-153.
  16. 김민경, 남윤자, 김경선. (2015). 3차원 가상착의 시스템의 Mass Customization 적용가능성을 위한 맞음새 비교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6(6), 77-87.
  17. 김민경, 남윤자. (2015). 선호 여유량 유형에 따른 팬츠 맞음새 예측 회귀모형 개발. 기초조형학연구, 16(4), 43-56.
  18. 김선영, 남윤자 (2012). 슬랙스 맞음새 평가 도구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3). 454-464. https://doi.org/10.5805/KSCI.2012.14.3.454
  19. 김선영, 남윤자. (2016). 연구논문 : 슬랙스 동작 적합성 평가의 정량적 평가 기준 설정.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8(1), 80-90. https://doi.org/10.5805/SFTI.2016.18.1.80
  20. 김양원 (2001). 우리나라 대학생의 기성복 맞음새 정도와 불만족 실태. 한국생활과학회지, 10(1), 93-100.
  21. 김영희, 박진아 (2016). 여성용 테일러드 칼라 베스트 브레이크라인 맞음새 연구. 복식, 66(4), 146-165. https://doi.org/10.7233/jksc.2016.66.4.146
  22. 김은경, 최혜선, 이경미 (2003). 중년여성 기성복 하의의 착용실태 및 맞음새에 관한 연구 -만 34세에서 59세까지-.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3), 1-15.
  23. 김인미, 김소라 (2009). 20대 전반 여성의 자세 및 기성복 맞음새 조사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8(2), 451-463. https://doi.org/10.5934/KJHE.2009.18.2.451
  24. 김지연, 손희순. (2000). 유아복 제품치수 인지도 및 맞음새 조사. 복식문화학회, 8(2), 272-281.
  25. 김진선, 권수애 (2008) 간병사 유니폼의 착용만족도와 개선요구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7(1), 127-139. https://doi.org/10.5934/KJHE.2008.17.1.127
  26. 김현아, 천종숙 (2011). 20대 여성을 위한 청바지 패턴의 맞음새 비교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5(2), 136-145. https://doi.org/10.5850/JKSCT.2011.35.2.136
  27. 김현아, 천종숙. (2004). 20대 여성의 기성복 바지맞음새와 하반신 체형 인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2(4), 638-647.
  28. 김희숙 (2004). 여성복의 사이즈체계에 관한 연구 - 미국인 성인여성의 신체만족도 및 기성복 맞음새 만족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5), 655-659.
  29. 남영란, 최혜선, 김은경 (2013). 40대와 50대 중년여성의 의복 착용 실태 및 맞음새 비교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3), 137-156.
  30. 남윤자; 최인순 (2002). 노년여성을 위한 재킷원형설계. 대한가정학회지, 40(10), 177-189.
  31. 노영, 박재옥 (2011). 중,노년층 여성들의 의복 구매행동과 맞음새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9(1), 214-229.
  32. 도월희 (2012). 3차원 의상 모델링 시스템을 이용한 여성용 테일러드 재킷의 맞음새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36(9), 40-951.
  33. 도월희, 박현정 (2010). 3차원 가상 착장 시스템을 이용한 체형별 니트 재킷의 맞음새 연구 -30-40대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4(10), 1632-1646. https://doi.org/10.5850/JKSCT.2010.34.10.1632
  34. 박선미, 안은정 (20140. 맞음새 관련 요인과 의복평가기준이 의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체형, 치수중요성, 활동중요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5(3), 373-382. https://doi.org/10.7856/kjcls.2014.25.3.373
  35. 박우미 (2013). 성인 여성의 팬츠원형 제도법 차이에 따른 패턴분석과 맞음새 비교. 한국과학예술포럼, 12(0), 74-84.
  36. 박은영, 최혜선 (2007). 남자 운동선수의 체형분석과 상의 맞음새 향상을 위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1), 44-56.
  37. 박진영, 손희순. (2001). 성인 남성의 신사복 구매행동과 맞음새에 관한 조사 연구. 복식문화연구, 9(1), 45-60.
  38. 서미아, 김명옥 (2011). 30대 남성 소비자의 수트 스타일에 따른 구매 및 맞음새 조사. 복식문화연구, 19(1), 191-199.
  39. 서미아, 이보나. (2011). 남자 운동선수의 기성복 재킷의 맞음새와 만족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19(1), 31-41.
  40. 서완석, 김숙진 (2014). 국내 여성복 브랜드재킷의 맞음새 평가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2), 15-29.
  41. 서추연 (2002).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복 재킷의 패턴 사이즈에 따른 착의평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 390-401.
  42. 석혜정 (2010). 연령과 비만에 따른 성인 여성의 기성복 맞음새 정도의 선호 조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2(4), 75-88.
  43. 석혜정, 김인숙 (2003). 성인 여성의 연령 비만도에 따른 기성복 맞음새 선호 경향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41(9), 17-29.
  44. 석혜정, 김인숙 (2006). 중국 기성복의 호칭과 맞음 새 관련 소비자 만족도 조사 - 북경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지, 30(1), 125-136.
  45. 석혜정, 김인숙 (2007). 연령과 체형에 따른 성인 남성의 기성복 맞음새 만족도 조사. 한국의류학회지. 31(2), 308-318.
  46. 석혜정, 김인숙. (2006). 연령과 체형에 따른 성인 남성의 기성복 맞음새 정도 선호도. 대한가정학회지, 44(8). 13-21.
  47. 석혜정, 김인숙. (2007). 중국 진출 한국 여성복 정장 업체의 치수 규격 현황 및 적합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7), 1148-1156. https://doi.org/10.5850/JKSCT.2007.31.7.1148
  48. 석혜정. (2006). 중국 시장 내 한국과 중국 여성복정장의 맞음새 관련 소비자 만족도 비교 연구 - 북경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4(6), 121-127.
  49. 손희순, 임순, 김효숙, 손희정, 김영숙, 장희경, 임호선 (2000). 한국(韓國)과 중국녀대생(中國女大生)의 의복(衣服) 맞음새 선호도(選好度) 및 의복행동(衣服行動)
  50. 신새미, 천종숙, 최은아. (2012). 여자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복재킷 브랜드 선호 및 맞음새 실태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0(3), 319-329.
  51. 오송윤, 최혜선(2007). 브래지어의 맞음새 향상을 위한 패턴개발 연구 -1924세대용 언더웨어 브랜드 시판제품과의 비교분석- 한국의류학회지, 31(5), 729-741.
  52. 이미성, 김소라. (2011). 노년여성을 위한 재킷패턴개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1(1), 37-55.
  53. 이영주, 김점해 (2007). 노인여성의 의복행동과 기성복 맞음새.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123-135. https://doi.org/10.5934/KJHE.2007.16.1.123
  54. 이예진, 이병철 (2012). 가상 착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래글런 소매 패턴 변화에 따른 착의 시 정량적 분석 가능성 모색. 한국생활과학회지 21(2), 299-314. https://doi.org/10.5934/KJHE.2012.21.2.299
  55. 이은지, 남윤자 (2014). 연구논문 : 유아발레복의 착용 실태 및 치수 맞음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6(5), 766-775. https://doi.org/10.5805/SFTI.2014.16.5.766
  56. 이정임 (2011). 18-59세 키 작은 여성의 체형특징, 신체인식과 신체만족도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35(11), 1346-1361.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1.1346
  57. 이정임 (2013). 18-59세 여성의 키에 따른 기성복선호스타일과 착용적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5), 821-833. https://doi.org/10.5805/KSCI.2012.14.5.821
  58. 이정임, 주소영 (2005). 노년 여성 기성복 치수분석 및 체형별 맞음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8), 1092-1101.
  59. 이진숙, 이정란 (2008). 20-30대 여성의 체형별 기성복 만족도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12(4), 88-98.
  60. 이진숙, 이정란 (2013). 3차원 가상착의와 실제착의를 통한 비만여성의 바지 맞음새 비교. 패션비즈니스. 17(2), 33-45. https://doi.org/10.12940/jfb.2013.17.2.33
  61. 이진희 ,최혜선, 도월희 (2002). 하의용 시판 신축성소재의 물리적 특성과 맞음새에 관한 연구 - 스커트를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지. 26(9,10), 1467-1477.
  62. 이진희, 도월희 (2012).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선호 청바지형태 및 맞음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2), 378-385.
  63. 이현화, 남윤자, 최영림 (2009). 티셔츠 제품의 관광문화상품화를 위한 맞음새 만족도 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4), 614-620.
  64. 이혜주 (2006). 남자 중, 고등학생의 교복 치수 맞음새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복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4(1), 48-63.
  65. 장희경, 손희순, 임순, 김영숙 (2001). 중국(中國) 여대생(女大生) 대상(對象) 한국의류제품(韓國衣類製品)의 맞음새 평가(評價) - 테일러드 재킷과 슬랙스를 중심(中心)으로-. 패션비즈니스. 5(1), 145-156.
  66. 정재철 (2016).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생산 실태조사와 맞음새 향상을 위한 연구 -국내 30대 여성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8(2), 216-224. https://doi.org/10.5805/SFTI.2016.18.2.216
  67. 정재철, 권순교, 박선경 (2012.) 30대 여성의 체형에 따른 다트매니플래이션의 심미성연구 -상의 원형 중심으로- 복식. 62(5), 73-87. https://doi.org/10.7233/jksc.2012.62.5.073
  68. 정재철, 박선경, 어미경 (2015). 여성복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의 맞음새 향상을 위한 패턴
  69. 조신현, 김미숙 (2013). 3차원 인체 측정을 이용한 40대 여성의 상반신 체형을 고려한 브래지어 패턴 개발. 복식문화연구. 16(3), 502-517.
  70. 주재은, 정찬진, 정명선 (2001). 중년여성의 신체지각과 이상적 연령에 따른 기성복 맞음새 만족도. 복식문화연구. 9(5), 723-733.
  71. 차수정, 강연경 (2013).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성인여성용 길 원형 비교 연구 -DC Suite Program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7(2)0, 63-81. https://doi.org/10.12940/jfb.2013.17.2.63
  72. 차수정, 강연경 (2013).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성인여성용 팬츠 원형 비교 연구 -DC Suite Program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7(4), 1-21. https://doi.org/10.12940/jfb.2013.17.4.1
  73. 최미성 (2002). 보문 : 의복원형의 외관과 맞음새를 위한 관능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1), 1627-1637.
  74. 최미화, 손미영. (2012). 중,고등학생의 교복변형행동과 교복치수 맞음새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7), 37-48.
  75. 최선윤, 천종숙. (2010). 미국 직수입 의류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구매 행동과 맞음새 만족도 조사 -20대 한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복식문화연구. 18(6), 27-1137.
  76. 최진, 도월희 (2008). 부츠 컷(Boots-cut) 청바지 착용실태 및 맞음새에 관한 연구 -20-30대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2), 271-283. https://doi.org/10.5850/JKSCT.2008.32.2.271
  77. 최진영, 손부현, 권수애 (2013). 유방 및 브래지어유형에 따른 인체치수 변화 및 맞음새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7(2), 138-150. https://doi.org/10.5850/JKSCT.2013.37.2.138
  78. 한승희, 김덕하, 석혜정 (2006). 임부용(姙婦用) 속옷의 착용(着用) 실태(實態) 및 맞음새 선호(選好) 경향(傾向) 연구(硏究). 패션비즈니스. 10(4), 45-54.
  79. 홍은희, 어미경, 김경아 (2015). 3차원 가상착의에 의한 남성 Jean Pants 패턴 비교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2), 223-237.
  80. 황송이, 최혜선, 이진희 (2013). 20-30대 여성의 재킷 착용실태 및 맞음새 만족도 연구-환편니트재킷과 우븐 재킷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4)권, 596-605. https://doi.org/10.5805/SFTI.2013.15.4.596
  81. 황수정, 이진희 (2009). 미국 Y세대의 청바지 구매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7(5), 8-885.
  82. 황수정, 김희정. (2013). 미국과 한국 아동복에 대한 표준사이즈 체계 적합성 연구. 패션과 니트. 11(3), 21-32.
  83. 패션큰사전. 자료검색일 2016. 11. 2., 자료출처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17XX48909488
  84. J. Fan, W. Yu & L. Hunter(2004) Clothing appearance and fit: Science and technology. Cambridge: Woodhead Publishing Limited.
  85. Siddiqui Umair Ahmed, Eunkyung Jeon (2016) Trend in Research Addressing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 An Analysis of Quantitative Information on CTRJ, IJCST and JKSCT -. 한국의류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