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ed Educational Models of Fashion Educational Curriculum and Field Placement of the School Based Enterprise

패션 전공 교육과정과 학교기업 현장실습 연계 교육모델 개발 연구

  • 한경희 (수원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6.09.08
  • Accepted : 2016.12.05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As the occupational education in junior college is being searched to be connected to practical industrial settings at present, importance of field placement is now being heightened. Industrial field experience shall be developed as the work can be performed in the practical site based on the generally comprehensive contents through the applicable educational course rather than simply independent educational course. Furthermor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ble major shall be reflected in the field placement to be connected to the industrial field experience so that image promotion of the major and other additional value of the major can be effectively operated. However, it is practical situation that most of the field placements are being operated separately from conn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spite of the variety of the industrial field experiences and works in the field sites. Thus, the author of the thesis would analyze practical cases of the industrial field experiences in the past and grasp the problems of them so that we can develop models of the industrial field experiences proper for characteristics of fashion related departments. Especially, through the study the author of the thesis has developed the practical educational model where the fashion majoring educational courses can be connected with the field placement in the school industry in which the practical environment is established as in the applicable industry.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Developed educational models can be realized for subsidiary companies with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partments besides the school based enterprise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종, 이종상. (2003). 전문대학 현장실습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직업교육연구, 22(2), 43-72.
  2. 고순영, 박명자. (2003). 국내외 대학 패션관련학과의 산학연 관련 교육과정 분석.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61.
  3. 권영호. (편). (2016). 2016 학교기업 워크샵: 학교기업 경영과 법률의 이해 -학교기업 및 제주특별자치도 관련 법제와 법의식을 중심으로-.
  4. 김이영, 정은숙. (2005). ITC교육 기반의 사이버 의상디자인 교육과정 설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8(6), 95-102
  5. 나영주 외. (2010). 글로벌 섬유패션 환경 변화에 부응하는 패션전문인 양성을 위한 제언. 한국의류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3-24.
  6. 성백춘. (2014). 학교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산회계학회 정기학술발표회, 127-137.
  7. 박경우, 박익수. (2016). 산업체 현장실습 운영 현황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9(2), 97-98.
  8. 박태용. (2005). 부산 패션디자인 교육의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5), 586-587.
  9. 박현욱, 이종호. (2012). 실무형 인재양성을 위한 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40, 39-50
  10. 안인숙, 이현정. (2014). 미국의 패션 디자인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복구성 교육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5(1), 346-355.
  11. 엄기용, 오창헌. (2014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실천공학교육논문지, 6(1), 57-64. https://doi.org/10.14702/jpee.2014.057
  12. 오창헌 외. (2012). 장기현장실습(IPP) 제도를 위한 학사운영 방안.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지, 4(2), 110-115.
  13. 오창헌. (2013). 장기현장실습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IPP전담교수의 역할. 실천공학교육논문지, 5(2), 129-137. https://doi.org/10.14702/JPEE.2013.129
  14. 이문수 외. (2013). 한국형 듀얼 시스템(K-Dual)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실천공학교육논문지, 5(2), 139-149. https://doi.org/10.14702/JPEE.2013.139
  15. 이상찬, 김종대. (2014). Base camp를 이용한 현장실습 활성화에 대한 연구. 실천공학교육논문지, 6(2), 99-104. https://doi.org/10.14702/JPEE.2014.099
  16. 이일훈 외. (2012). 직무분석에 비교한 현장실습 직무 적절성과 일의 요소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17(4), 345-352.
  17. 이혁진 외. (2004). 전문대학 관광영어 관련 학과의 현장실습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18(1), 211-228.
  18. 임순. (2014). 한국과 중국 패션 전문 교육 현황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64(6), 16-32.
  19. 장남경. (2015).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패션디자인 교육 -지속가능한 패션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5(1), 1-14.
  20. 전희중. (2010). 국내대학 학교기업 운영실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진용주 외. (2013). 청년실업과 학교기업-국내외 성공사례분석-. 사회과학논총, 32(2), 152-165.
  22. 한경순, 이진화. (2016). 한국의 패션전문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6(1), 81-100.
  23. 한국학교기업협회(사). (2016). 한국 학교기업 국회포럼 청년일자리 창출, 학교기업이 답이다!. 한국학교기업국회포럼, 7.
  24.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자료검색일 2016. 08.12, 자료출처 http://www.ncs.go.kr/ncs/page.do?sk=P1A1_PG01_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