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electing Factors of Manufacturing and Logistic Hub in Far Eastern Area

극동지역 제조 및 물류거점 선정요인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09.25
  • Accepted : 2016.12.26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As geopolitical, archaeological and strategic interests on cooperation with countries in the Far Eastern Area is gradually increased, countries are competing to attract or install a logistics or manufacturing hub in their countr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on the main three and nine detailed criteria from the domestic and overseas experts on Far Eastern Area.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priority importance of factors was derived.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economic factor. In detail, industrial complex creation was the highest factor and the institutional guarantees for the investment on policy and transportation network was second highest factor. Based on analysis result, specific competitiveness level in the 10 region of Far East was follows. Hunchun, Vladivostok, Yanji, Tumen, Rajin, Hassan, Ussuriysk, Cheongjin, Mihaylov Skiing, Nije Jeuchinski were showed in order. Hunchun showed the highest competitive level in location, topography, compliance to the around cities, transportation network, industrial complex, excellence in logistics facilities, long-term investment plans, institutional guarantees for investment, customs efficiency and political stability. However, in other factors such as population and number of households, public facilities, potential demand and resource utilization, Vladivostok showed the highest level.

극동지역 국가들의 협력이 지정학적, 지경학적, 지전략적 이익이 시간이 갈수록 점차 증가하면서 각국별로 핵심거점을 유치 혹은 설치하기 위해 각축을 벌이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극동지역 국내외 전문가를 대상으로 주 기준 3가지 요인과, 세부기준 9가지 요인에 대해 상대적 중요도를 조사하였으며, AHP 분석으로 중요도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극동지역 제조 물류거점 선택 요인별 중요도 분석 결과, 주 기준인 지리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정책적 요인에서 가장 중요도가 높은 요인은 경제적 요인으로 세부기준으로도 경제적 요인의 산업단지 조성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정책적 요인의 투자에 대한 제도적 보장, 지리사회적 요인의 연계교통망 순으로 나타났다. 총체적 중요도 우선순위는 산업단지 조성, 투자에 대한 제도적 보장, 연계 교통망, 물류시설 우수성, 통관효율성 및 안정성, 자원 활용 용이성, 입지 지형 주변도시, 인구 세대수, 공공시설 잠재수요, 장기적 투자 계획 순으로 도출되었다. 선택요인별 중요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극동의 10개 지역의 경쟁력 수준을 파악해 본 결과 훈춘, 블라디보스토크, 연길, 투먼, 나진, 하산, 우수리스크, 청진, 미하일로프스키, 니제즈친스키 순으로 나타났으며, 훈춘은 입지 지형 주변도시의 적합성, 연계교통망, 산업단지조성, 물류시설 우수성, 장기적 투자계획, 투자에 대한 제도적 보장, 통관 효율성 및 정치적 안정성에서 가장 높은 경쟁력 수준을 나타냈으며, 그 외 항목 인구 및 세대수, 공공시설, 잠재수요, 자원 활용 용이성에서는 블라디보스토크가 높게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홍배(1997), "계층분석에 의한 기술단지 입지선정", '경제학논집', 제6권 제2호, 49-67.
  2. 문준서, 장원규(2008), "모바일 산업 클러스터 구축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3권 제3호, 159-164.
  3. 배주억, 정석재, 김경섭(2008), "구성계층 분석법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물류창고 입지 선정",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917-924.
  4. 서상범, 편재범(2005), "수도권 남부 물류기지 조성을 위한 입지선정 및 경제적 타당성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5. 안승범, 김의준, 변의석(2003), "계층분석방법을 이용한 화물터미널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IE Interface', 제16권 제1호, 대한산업공학회, 34-43.
  6. 양광모(2011), "AHP를 활용한 물류센터 입지 선정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3권 제2호, 129-135.
  7. 오상봉(2014), "북한산업의 현황과 남북한 산업협력", 산업연구원, 13
  8. 이주호(2014), "중국 동북부 물류시장 진출전략수립 중국-북한과의 국제협력의 활용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9. 이충효, 정태원(2013), "경인 아라뱃길 김포고촌물류단지 입지선택요인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제29권 제2호, 255-273.
  10. 정봉민 외(2007), "남북한 물류체계 통합 및 활용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 한재진(2015), "13차 5개년 계획으로 본 중국 경제의 향방", 현대경제연구원
  12. 러시아 통계청
  13. 중국 국가통계국, CE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