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Analysis of Government Subsidy Fluctuations on Basic Research Outputs: focused on the IT field

정부연구비 지원 변동이 기초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IT 분야를 중심으로

  • 연승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김슬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김재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이병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Received : 2015.12.01
  • Accepted : 2016.01.17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luctuations of a government subsidy and research outputs on the basic research field. An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basic research projects specifically o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filed at university and Individual Research Programs of Korean ministry. Using various project characteristic variables,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was controlled. To summariz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from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fluctuations of a government subsidy and basic research outputs (weighted papers and patents), the resul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The maximum effect of increased research funding projects on research outputs was 8 times greater than an effect of maintained funding projects. Moreover, the maximum effect of decreased research funding projects on research outputs was 4 times greater than an effect of maintained funding projects. Base on this result, we suggested implications from academic and practical aspect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연구분야에서 정부연구비의 변동과 연구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개인연구사업 중 대학에서 수행된 IT 분야의 기초연구과제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러 과제 특성 변수를 활용하여,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통제하였다. 회귀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정부 연구비 증감은 모든 연구성과(가중논문 수, 특허 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구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과제는 연구비가 증액된 과제로, 연구비가 유지된 과제에 비해 최대 8배 정도의 큰 영향력을 보였다. 연구비가 감액된 과제는 연구비가 유지된 과제에 비해 최대 4배 정도의 큰 영향력을 갖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술적 측면, 실무적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미래창조과학부,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2013.
  2. 미래창조과학부, 201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2014.
  3. 송학현, 김태곤, 박종성, 차인식, "연구개발의 혁신과 IT연구개발성과," 한국정보기술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p.393-399, 2007.
  4. 연승민, 김슬기, 김재수, 이병희, "개인 및 집단 기초연구사업의 속성에 따른 연구성과 영향 요인 분석," 2015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657-663, 2015.
  5. S. M. Yeon, B. H. Lee, S. K. Kim, and J. S. Kim, "Relationship between inputs and outputs based on basic R&D project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vergence Content 2015, pp.93-94, 2015.
  6. OECD, Frascati manual, 2002.
  7. 문선영, R&D투입 요소와 성과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의한 연구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 한국과학재단의 특정기초연구사업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2011.
  9. National Science Found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2010.
  10. http://www.stat.go.jp/
  11. 정경택, 기초과학연구의 성과평가지표 적합성 및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2. K. J. Arrow, Economic Welfare and the Allocation of Resources for Innovation, The Rate and Direction of Inventive Activ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2.
  13. K. Pavitt, Academic research, technical change and government policy, in Krige, J. and Pestre, D. ed., Science in the 20th Century, Harwood Academic Publishers, Amsterdam, 1995.
  14. 홍사균, 황정태, 유의선, 백훈, 정부연구개발사업의 추진구조와 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기초연구 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15. 황석원, 김병우, 유승훈, 박규호, 류태규, 추기능, 이민규, 기초연구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16. 장덕희, 강길모, 한동성, 도수관, "지식재산(특허) 생산에 대한 정부연구비 지원의 영향 분석: 우리나라 이공계 전공분야 대학교수들의 연구활동 결 과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4권, 제4호, pp.1-26, 2014.
  17. 교육과학기술부, 2008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2008.
  18. http://www.itstat.go.kr/
  19. 김규남, 김정언, 정현준, 이영수, ICT R&D 투자의 효율성 분석과 중장기 투자방향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2013.
  20. 김용재, 김규남, 정현준, ICT생태계 환경변화에 따른 세부산업별 최적 연구개발(R&D) 규모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
  21. 조현대, 민철구, 성태경, 최태진, 강영주, 권기석, 장용석, 김홍기, 선도형 R&D 전환을 위한 기초 연구사업 지원체계 분석 및 개선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4.
  22. 한국연구재단, 2015년도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시행계획, 2015.
  23. 이민형, 김계수, 기초연구 투자 확대에 따른 기초연구사업 관리체제 발전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24. 최지영,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적 성과창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기계 및 화학 산업 기술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5. P. Stephan and S. Levin, Striking the mother lode in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6. 장금영, "연구개발투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부의 산업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18권, 제1호, pp.75-98, 2010.
  27. 최태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유형별 성과분석을 통한 전략적 연구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8. D. Czarnitzki, B. Ebersberger, and A. Fier, "The relationship between R&D collaboration, subsidies and R&D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from Finland and Germany," J. of applied econometrics, Vol.22, No.7, pp.1347-1366, 2007. https://doi.org/10.1002/jae.992
  29. 권재철, 문종범, 유왕진, 이철규, "대형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85-202, 2012.
  30. 김용정, 이흥권, 기초연구사업 특성과 논문 질의 상관관계 분석 및 시사점 : SCI 논문 저자 서베이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31. 심우중, 김은실,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 정부연구비의 투입 대비 성과의 다각적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27, 2010.
  32. R. Grimaldi and N. V. Tunzelmann, "Sectoral determinants of performance in collaborative R&D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Vol.25, No.8, pp.766-778, 2003. https://doi.org/10.1504/IJTM.2003.003136
  33. 이종욱, 장덕희, "연구자 속성별 연구성과 분포 분석-의약학 분야를 중심으로-," GRI연구논총, 제15권, 제3호, pp.197-216, 2013.
  34. 허정은, 김해도, 조영돈, 조석민, 조순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과학적 성과분석을 위한 새로운 계량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1권, 제3호, pp.376-399, 2008.
  35. 박재현, 배용국, "IT융합 분야의 연구기간에 따른 연구개발 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2015 한국 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pp.230-236, 2015.
  36. 서상혁, 이선영, 이병희, "연구관리자의 국가R&D정보서비스 고객가치 및 업무성과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480-49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480
  37. 박범조, 계량경제학: R활용, 시그마프레스,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