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Camera as a Medical Radiation Detector

의료 방사선 검출기로써 스마트폰 카메라의 특성에 관한 연구

  • Kang, Han Gyu (Department of Senior Healthcare,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
  • Kim, Ho Chul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Eulji University)
  • 강한규 (을지대학교 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학과) ;
  • 김호철 (을지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6.04.19
  • Accepted : 2016.05.08
  • Published : 2016.05.25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timal algorithm to extract medical radiation induced pixel signal from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sensors of smartphones camera. The pixel intensity and pixel number of smartphone camera were measured as the X-ray dose was increased. The front camera of the smartphone camera has low noise property and excellent dose response as compared to the back camera of the smartphone. The indirect method which uses scintillation crystal in front of the smartphone camera, couldn't improve the X-ray detection efficiency as compared to the direct method which does not use any scintillator in front of the smartphone camera. When we used the algorithm which employing threshold level on the pixel intensity and pixel number, the dose linearity was more higher for the pixel intensity rather for the pixel number. The use of pixel intensity of Y color component which represents the grey scale, would be efficient in terms of the radiation detection efficiency and reducing the complexity of the image processing. We expect that the radiation dose monitoring can be managed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by using the proposed radiation detection algorithm, thus eventually will contribute to the public healthcare.

본 연구의 목적은 별도의 방사선 외부 검출장치 없이 스마트폰 자체의 CMOS 반도체 소자만을 활용하여 의료용 방사선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을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과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내장된 CMOS 반도체 소자에 X-선의 선량을 증가시켜가면서 CMOS 영상 센서에서 반응하는 픽셀의 개수 및 밝기 등을 측정하였다. 스마트폰의 전면 카메라가 후면 카메라보다 노이즈가 적고 X-선과 같은 방사선에 대한 반응 특성이 우수하였다. 섬광결정을 사용한 간접 검출방식에 보다 CMOS 자체에 X-선을 반응시키는 직접 검출방식이 더 적은 선량까지 정확하게 검출이 가능하였다. 또한 X-선에 대한 선량의존성은 역치값을 넘어가는 픽셀의 개수를 계산한 Pixel number에 비해 개별 반응한 픽셀의 밝기까지 이용한 Pixel intensity가 더욱 선형적으로 나타났다. 컬러모델에 의한 실험에서는 스마트폰의 컬러모델인 YUV 컬러모델의 값 중 픽셀의 밝기값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Y값을 활용하면 방사선 검출에 있어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이와 같은 방사선 검출을 위한 최적의 조건들과 효율적 검출 알고리즘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방사선 선량의 관리가 효율적이며 체계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국민보건건강에 일조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G. A. Drukier, E.P. Rubenstien, P.R. Solomon, M.A. Wojtowicz, M.A. Serio, "Low cost, pervasive detection of radiation threats," Proceedings of the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2011. pp. 365-371,
  2. D. Igoe, A. Parisi, and B. Carter, "Characterization of a smartphone camera's response to ultraviolet A radiation," Photochem Photobiol, vol. 89, no. 1, pp. 215-218, Feb, 2013. https://doi.org/10.1111/j.1751-1097.2012.01216.x
  3. F. Wang, M-Y. Wang, Y. -F. Liu, C. -W. MA, L. Chang, "Obtaining low energy $\gamma$ dose with CMOS sensors," Nuclear Science and Techniques, vol. 25, no. 060401, pp. 1-4, Dec, 2014.
  4. H.Hartmann, V. Hietschold, R.Freudenberg, J. Kotzerke, Dresden, "Smartphones now even smarter - possibility of using a "dose warner"," RoFo, vol. 185. 1, pp. 558-562, May, 2013. https://doi.org/10.1055/s-0032-1330705
  5. Olivier Van Hoey, Alexia Salavrakos et al, "Radiation dosimetry properties of smartphone CMOS sensors",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vol. 163, no. 3, pp. 1-8, May, 2015. https://doi.org/10.1093/rpd/ncu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