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Employment: Focusing on the Comparison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고령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도시와 농촌의 비교를 중심으로

  • Koo, Yangmi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NU, SNU Institute Aging)
  • 구양미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
  • Received : 2016.02.26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employment and especially focused on the factor of their residential areas. This paper perform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micro data of 2014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s. To reveal the influence on the elderly employment, various dependent variables was used such as demographical, health, household, economic, lifelong job, living environment, and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The elderly in rural areas have higher possibility of currently working than those in urban areas. Based on the results, more various and complex factors affected on the employment of the urban elderly. This suggested that differentiated policy supports were needed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특히 도시와 농촌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가구관련 특성, 경제적 특성, 최장기직업 특성, 생활환경 특성, 지역 특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거주 노인에 비해 농촌거주 노인이 현재 일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았다. 도시와 농촌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 고령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더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났다. 고령자의 일자리에 있어서 도시와 농촌의 지역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정책과 지원이 필요함을 도출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양미, 2008a, "개인 행위주체의 네트워크 형성 과정에 대한 공간적 고찰: 고령친화산업의 제도구축 네트워크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3), pp.334-349.
  2. 구양미, 2008b, "고령친화산업 행위주체 네트워크의 구조적, 공간적 특성: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3(4), pp.526-543.
  3. 김경혜.김선자.노은이, 2010, 초고령 사회 서울의 변화 전망과 정책과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 김기승, 2011, "연령세대별 고용형태 변화 연구", 경제연구 29(2), pp.95-110.
  5. 김재용.정준호, 2012, "주택자산이 고령자가구의 재정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pp.534-549.
  6. 김학주.우경숙, 2004, "중.고령자의 재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2), pp.97-110.
  7. 노시학.조창현, 2011, "수도권 노인 통행행태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6(6), pp.781-796.
  8. 박경숙, 2003, "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과정", 노동정책연구 3(1), pp.103-140.
  9. 박삼옥.구양미.진종헌, 2009, "고령친화용품산업의 현황과 특성: 기업 유형별 탐색을 통한 산업 및 공간 정책에의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1), pp.1-18.
  10. 박삼옥.진종헌.구양미, 2008, "서울의 인구고령화와 고령자 고용의 지역적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3(3), pp.337-357.
  11. 방하남, 2010,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과 재취업", 노동리뷰 2010년 6월호, pp.5-20.
  12.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2011년도 노인 실태조사, 정책보고서.
  13.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014년도 노인 실태조사, 정책보고서.
  14. 성지미.안주엽, 2006,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6(1), pp.39-74.
  15. 손승호.한문희, 2010, "고령화의 지역적 전개와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입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1), pp.17-29.
  16. 송경언.박삼옥.김상빈, 2008, "수도권 노인 주거.의료 서비스 시설과 그 이용자 생활의 공간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4), pp.394-417.
  17. 신동균, 2009, "중고령 남성 근로자의 점진적 은퇴행위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9(2), pp.1-41.
  18. 윤형호.황진수.임석, 2007, "서울시 고령재취업자의 직종선택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27(4), pp.721-737.
  19. 이소정, 2009,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분석", 한국인구학 32(1), pp.71-91.
  20. 이철희, 2012, "산업구조의 변화와 고령인력의 고용", 노동경제논집 35(1), pp.55-88.
  21. 이철희.이에스더, 2015, "한국 장년임금근로자들의 퇴직: 사업체 규모별 위험모형분석", 노동경제논집 38(1), pp.31-65.
  22. 이희연.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제2판, 문우사.
  23. 최재헌, 2013, "한국 인구고령화의 지역적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pp.233-246.
  24. 최재헌.윤현위, 2012, "한국 인구고령화의 지역적 전개 양상", 대한지리학회지 47(3), pp.359-374.
  25. 최재헌.윤현위, 2013, "수도권 고령인구의 공간 분포와 주거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8(3), pp.402-416.
  26. 통계청, 2013, 경제활동인구조사(고령자부가조사).
  27. 통계청, 각년도, 경제활동인구조사.
  2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노인빈곤율 완화를 위한 노인복지지출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29. 한주성, 2014, "인구감소 고령화지역의 소매판매활동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3), pp.538-553.
  30. 황희숙.김윤재, 2012, "고령자의 재취업에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22(2), pp.167-187.
  31. Cho, J. and Kim, S., 2005, "On Using mandatory retirement to reduce workforce in Korea",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19, pp.283-303. https://doi.org/10.1080/10168730500080550
  32. Hurd, M. D., 1996, The effect of labor market rigidities on the labor force behaviors of older workers, in Wise, D. W. (ed.), Advances in the Economics of Ag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11-60.
  33. Lee, C. and Lee, J., 2011, "Employment status, quality of matching, and retirement in Korea: evidence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RAND Working Paper, WR-834.
  34. Lee, C., 2007, "Long-term changes in the economic activity of older males in Korea",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56(1), pp.99-24. https://doi.org/10.1086/520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