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광역지방자치단체 단위과제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of Business Transaction in Regional Local Government

  • 정상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관리학과)
  • 투고 : 2016.07.08
  • 심사 : 2016.07.22
  • 발행 : 2016.07.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광역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위과제 운영상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능분류체계의 최하위 단위이자 보존기간 책정 단위인 단위과제의 신설부터, 단위과제 보존기간 책정, 단위과제카드 생성, 기록물 편철까지 일련의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사례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기록물 관리를 위하여 단위과제 운영에 있어 개선되거나 고려해 봐야할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sis the problems in managing 'Business Transaction(Danwi-gwaje)' of regional local government, and propose implications. The study points out the problems emerged in the operation process of Business Transaction including creating of Business Transaction and Business Transaction Profile, setting retention period and filing records, and gives concrete example of them. It concludes with presenting improvements and considerations in managing Business Transaction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records manag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정. 2013. 행정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모델 분석 : 2006년 기록관리시스템 혁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4, 153-190.
  2. 재인용: 설문원. 2013b. 기록 분류를 위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적용 구조 및 운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23-51.
  3. 국가기록원. 2009. 기록관리기준표 작성 및 관리절차(NAK/S 4: 2009(v2.0)). 대전: 국가기록원.
  4. 국가기록원. 2009. 기록관리기준표 작성 및 관리절차(NAK/S 4:2012(v2.1)). 대전: 국가기록원.
  5. 국가기록원. 2014.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기준표 표준. 성남: 국가기록원.
  6. 국가기록원. 2016. 기록관리업무>처리과>기록관리기준표. 검색일자: 2016.5.17. http://www.archives.go.kr/next/manager/archiveStandard.do
  7. 김화경, 김은주. 2014. BRM 운영을 위한 단위과제 정비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99-219.
  8. 나선경, 박민. 2013. 행정 관련 법령상 등록과 신고의 개념적 유형화. 공법연구, 41(3), 341-364.
  9. 류한조. 2012. 업무관리시스템의 기록관리 기능평가.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79-94.
  10. 설문원. 2006. 공공업무의 체계적 기록화를 위한 보유일정표 설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199-219.
  11. 설문원. 2012.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203-232.
  12. 설문원. 2013a.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231-254.
  13. 설문원. 2013b. 기록분류를 위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적용 구조 및 운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23-51.
  14. 한국기록전문가협회. 2015. KARMA, 2, 서울: 한국기록전문가협회.
  15. 한국기록학회 (편). 2008.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16. 한국기록학회. 2016. 제110회 월례발표회 토론. 발표일자: 2016. 5. 21.
  17. 행정안전부. 2009. 지방자치단체 BRM시스템 교육교재. 서울: 행정안전부.
  18. 행정자치부. 2006.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교육자료 : 관리자용. 서울: 행정차지부.
  19. 행정자치부. 2015. 지방자치단체 BRM시스템 사용 매뉴얼. 서울: 행정차지부.
  20. Alberts, Inge, Jen Schellinck, Craig Eby' Yves Marleau. 2010. Bringing together Functional Classification and Business Process Analysis: Growing Trends in Records Management. Gatineau(Quebec): Cogniva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http://www.cais-acsi.ca/proceedings/2010/CAIS075_Albertsetal_Final.pdf. 재인용: 설문원. 2012.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203-232.
  21.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2003. Overview of Classification Tools for Records Management. 재인용 한국기록관리학회(편). 2013. 기록관리론. 서울: 아세아문화사

피인용 문헌

  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 개정을 위한 면담 연구 vol.51,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7.51.279
  2. 정부산하공공기관의 분류체계관리시스템 기능 설계 연구 vol.53,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7.53.201
  3. 학교 기록물 분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학교 기록관리기준표 분석을 중심으로 vol.58,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8.58.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