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Photosynthetic Responses in Heracleum moellendorffii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in Relation to Atmosphere-Leaf Vapor Pressure Deficit

대기-엽 수증기압차(VPD)에 의한 어수리와 눈개승마의 광합성 반응 비교

  • Lee, K.C.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 Kwon, Y.H.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Lee, K.M.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Han, S.K.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Published : 2016.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tmosphere-leaf vapor pressure deficit (VPD) in Heracleum moellendorffii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The VPD was rapid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decreasing relative humidity. Taken as a whole, the stomatal transpiration reaction was slightly late with increasing of VPD. Maximum photosynthetic rate at high-VPD condition was 6.49 µmol CO2·m-2·s-1 in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which was a little lower than 5.57 µmol CO2·m-2·s-1 in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respectively. After 2 p.m, stomatal transpiration of Heracleum moellendorffii at the high VPD condition was rapidly decrea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ysiological activities in Heracleum moellendorffii are more limited from high VPD conditions.

산채의 일종으로 현재 임업농가에서 활발히 재배되고 있는 눈개승마와 어수리의 수증기압차(vapor pressure deficit; VPD)에 따른 순광합성 속도 등 생리반응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생산과 재배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건조한 High-VPD 환경에서 눈개승마가 어수리에 비해 증산량을 줄이면서 수분이용효율을 높이는 기작을 통해 높은 순광합성 속도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어수리에 비해 눈개승마는 엽의 수분 퍼텐셜의 감소가 비교적 크지 않고, 엽의 수분 불포화도 역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건조한 대기 환경에 따른 수분스트레스의 적응력이 비교적 양호한 종임을 알 수 있었다. 어수리는 VPD가 3.0kPa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는 건조한 대기상태가 되면 순광합성 속도의 감소가 뚜렷히 나타나고 수분 퍼텐셜의 급속한 저하 및 엽의 수분 불포화도가 10배 이상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건조한 대기 환경에서 생육하기 어려운 종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재배지의 환경조건이 VPD 3.0kPa 이상의 건조한 환경이 자주 형성되는 곳은 어수리의 생육에 불리할 수 있으며, 눈개승마의 경우 어수리 보다 다소 건조한 대기환경에 더 높은 적응력을 지닌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명, 고석찬, 김준철, 문병용, 박민철, 박훤범, 박인호, 이영숙, 이일하, 이준상, 이진범, 이춘환, 전방욱, 조성호, 홍주봉. 2003. 최신식물생리학. 아카데미서적. 서울. PP.429
  2. 산림청. 2015. 임업통계연보(제45호). P.299
  3. 성낙윤, 안은주, 박원종, 박우용, 변의홍. 2016.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및 취나물(Aster scaber)이 첨가된 된장의 면역증강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5:445-451.
  4. 윤진숙, 신승용, 우용시앙, 황주영, 조재호, 하용근, 김진기, 박민정, 이선호, 김태훈, 김태완. 2012. 눈개승마 추출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393-399.
  5. 이경철, 김선희, 박완근, 김영설. 2014. 수분스트레스가 땃두릅나무의 광합성 능력 및 광계 II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2:38-45.
  6. 이경철, 김하선, 노희선, 김종환, 한상섭. 2012. 대기-엽 수증기압차에 의한 산마늘과 울릉산마늘의 광합성 반응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171-176.
  7. Caemmerer, S., and G.D. Farquhar. 1981.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 biochemistry of photosynthesis and the gas exchange of leaves. Planta. 153:376-387.
  8. Ham, S.S., S.Y. Lee, D.H. Oh, S.W. Jung, S.H. Kim, C.K. Jeong, and I.J. Kang 1998. Cytotoxicity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7:745-750.
  9. Lee, K.C., H.S. Kim, and S.S. Han. 2011. Water relations parameters in the leaves of Allium ochotense and Allium microdictyon. Journal of Forest Science. 27:33-37.
  10. Lim, J.H., S.Y. Woo, M.J. Kwon, J.H. Chun, and J.H. Shin. 2006. Pho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y and declining •orean fir in Mt. Hall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705-710.
  11. Park, S.A., Y.J. Mun., W.H. Woo and K.S. Ko. 2015.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Heracleum moellendorffii on Hypopigmentation Activit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439-445
  12. Sim, J. S., and S. S. Han. 2003.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ciduous oak species(III)-photosynthetic responses of leaves to change of light intens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208-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