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Mental Health,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투고 : 2015.10.28
  • 심사 : 2015.12.01
  • 발행 : 2016.04.28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에서 190명의 대학생(남: 95명, 여: 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과 일반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MMPI-2의 임상척도는 건강염려증, 우울증, 반사회성, 강박증, 정신분열증, 내향성이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과 일반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임상척도는 건강염려증, 편집증, 강박증, 정신분열증이었다. 셋째, 임상척도 중 강박증과 내향성이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임상척도 중 강박증만이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의 감소를 위한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clinical scale of MMPI-2,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Participants were 190 college students(male: 95, female: 95) in an university in Seoul. Data were processed SPSS 22.0, using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MMPI-2 clinical scale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 higher risk group of internet addiction and a non-higher risk group as follows: Hs, D, Pd, Pt, Sc, Si. Second, MMPI-2 clinical scale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 higher risk group of smartphone addiction and a non-higher risk group as follows: Hs, Pa, Pt, Sc. Thir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s and Si among clinical scales of MMPI-2 were associated with internet addiction. Firth, Hs and Si among clinical scales of MMPI-2 were associ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importances of mental health are discussed for reducing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일, 이윤희, 이주영, 김명찬, 금창민, 남지은, 강은비, 정여주, "미디어 이용 대체 보완과 중독 :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형태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제20권, 제1호, pp. 71-88, 2012.
  2. 김동일, 이윤희, 강민철, 정여주, "정신건강 문제와 인터넷 중독: 다층메타분석을 통한 효과크기 검증," 상담학연구, 제14권, 제1호, pp. 285-303, 2013.
  3. 남문희, 김정미,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건강행동, 성행동,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4호, pp. 367-378, 2014.
  4. 오현이, 심미정, 오효숙, "농촌지역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우울정도 및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農村醫學․地域保健學會誌, 제5권, 제2호, pp. 124-133, 2010.
  5. 이상준, "고등학생의 인터넷 관련 중독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0권, pp. 154-181, 2005.
  6. 정미영, 조옥희,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위험 정도에 따른 사회 심리적 건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 366-37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366
  7. 김소연, 이동훈, "중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 행동이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불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8권, 제2호, pp. 257-277, 2013.
  8. 노석준, 이동훈, 김인숙, 송연주, "전문계열 고등학생의 ADHD, 우울, 불안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pp. 25-53, 2011.
  9. 최은미, 신점란, 배재홍, 김명식, "대학생의 우울, 불안, 충동성, 공격성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 329-34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329
  10. 한은영, 김경신, "중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스마트폰중독경향성의 관계 : 불안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pp. 275-275, 2015.
  11. 김종범, 한종철, "인터넷 중독 하위 집단의 특성 연구: 자존감, 공격성, 외로움,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3권, 제2호, pp. 207-219, 2001.
  12. 김경희, "IT환경에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사회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 1671-1679, 2015. https://doi.org/10.6109/jkiice.2015.19.7.1671
  13.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 208-21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208
  14. 서부덕, 최은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자아존중감과 외로움," 성인간호학회지, 제18권, 제4호, pp. 653-659, 2006.
  15. 도금혜, 이지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공격성간의 관계구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3호, pp. 59-69, 2011.
  16. 박은경, 이준,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자기 효능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174-174, 2007.
  17. 안세근, 조정희,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 통제력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논단, 제6권, 제2호, pp. 87-103, 2007.
  18. 이지숙, 고기숙,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성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53권, pp. 401-424, 2015.
  19. M. O. Yu, S. J. Ju, and J. H. Kim, "A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Mental health and Impulsiveness For High School Students at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4, pp. 409-418, 2014.
  20. 한경희, 김중술,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다면적 인성검사 II 매뉴얼 개정판, 서울: (주)마음사랑, 2011.
  21. 고영삼, "청소년 인터넷중독 상담 내담자의 사회 심리적 특성 분석," 인문학논총, 제25권, pp. 51-79, 2011.
  22. 이훈진, 문혜신, 박현진, 유성진, 김지영, MMPI-2 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제4판),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1.
  23.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 진단척도 고도화 (3차) 연구, 2011.
  24.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2011.
  25.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 365-37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65
  26. J. Morahan-Martin and P. Schumacherm, "Loneliness and Social Uses of the Internet," Computers and Human Behaviors, Vol. 19, No. 6, pp. 659-671, 2003. https://doi.org/10.1016/S0747-5632(03)00040-2
  27. 한주리, 허경호, "휴대전화 중독 척도 개발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6호, pp. 138-165, 2004.
  28. 황하성, 손승혜, 최윤정, "이용자 속성 및 기능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2호, pp. 277-313, 2011.
  29. 박상희, 이수영, "질병태도와 인터넷에서의 건강 정보추구행태에 기반한 건강정보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4호, pp. 105-133, 2011.

피인용 문헌

  1. Influence of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Competence on Smartphone and Internet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vol.27, pp.1, 2018, https://doi.org/10.12934/jkpmhn.2018.27.1.74
  2. Christian Spirituality and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A Comparison of High-Risk, Potential-Risk, and Normal Control Groups pp.1573-6571, 2019, https://doi.org/10.1007/s10943-018-007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