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민연금 수급액 차이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의 차이 분석

Difference Analysis of Life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on Difference in National Pension Receipt

  • 유지연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5.10.26
  • 심사 : 2015.11.26
  • 발행 : 2016.04.28

초록

본 연구는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여 국민연금 수급액 차이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그 후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급액의 차이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나 수급액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고, 성공적 노후를 보내고 있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수급액의 차이는 삶의 만족도에선 유의미하였으나, 성공적 노후에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볼 때, 국민연금 수급이 경제적 안정감을 주어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기반이 될 수는 있으나 성공적 노후로 이어지려면 여가선용과 같은 사회적 지지도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국민연금의 수급액의 만족도는 낮은 편이며, 수급액만으론 생활이 불안정하고 느끼고 있기 때문에 차후에 수급액의 만족도를 높이며, 여가선용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 in national pension receipt on life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in people aged 60 or over, and then analyzed influence factors on them. As a result, The difference of receipt affected life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This means a large receipt is related to high life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also showed the difference of receipt was significant in life satisfaction, but wasn't significant in successful aging. National pension receipt can increase life satisfaction by providing financial security, but for successful aging, social supports like good use of spare time are needed. Also, currently satisfaction with national pension receipt was low and receipt wasn't enough to stabilize their lives. Therefore, a political plan for improving receipt satisfaction and living a stable life through good use of spare time will be required in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하춘광, "공적연금 수급노인과 일반노인의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 비교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3집, 제3호, pp. 1-21, 2007.
  2. 석상훈, "공적연금이 노후의 경제적 삶의 미치는 효과," 연금포럼, 제43호, pp. 4-9, 2011.
  3. 이승신, "노후생활비 준비에 따른 연금 수급액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공적연금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0권, 제2호, pp. 137-152, 2012.
  4. 이승신, "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제15권, 제4호, pp. 43-60, 2012.
  5. 권혁창, 이은영, "국민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2호, pp. 61-85, 2012.
  6. 석상훈, 김현수, "중.고령자 은퇴만족도에 대한 연구," 연금연구, 제3권, 제1호, pp. 113-133, 2013.
  7. B. L. Neugarten, R. J. Harvinghurst, and S.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 51, No. 3, pp. 229-239, 1961.
  8.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 "노인의 과거 노후 준비 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58호, pp. 325-352, 2012.
  9. M. G. Chekola, The concept of happines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1974.
  10. L. K. George, "The Happiness syndrome: Methodological and substantive issue in the study of social-psychological well-being in adulthood," Gerontologist, Vol. 19, No. 2, pp. 210-216, 1979. https://doi.org/10.1093/geront/19.2.210
  11. 서말희, 유가효, "대구 근교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7권, 제12호, pp. 29-41, 1999.
  12. 박영례, "노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9권, 제1호, pp. 237-258, 2005.
  13. 홍영준, 이정훈, "노후준비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8권, 제4호, pp. 91-110, 2014.
  14. C. D. Ryff, "Successful aging: A developmental approach," Gerontologist, Vol. 22, pp. 209-214, 1982. https://doi.org/10.1093/geront/22.2.209
  15. 안현선, 김효민, 안진경, 김양희, "중년기 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3권, 제3호, pp. 137-155, 2009.
  16.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eing," Gerontologist, Vol. 37, pp. 433-440, 1997.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17.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eing, Random House, 1998.
  18. 김미혜, 신경림,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5권, 제2호, pp. 35-52, 2005.
  19. E. J. Yeun, "Attitudes of elderly Korean patients toward death and dying: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42, pp. 433-440, 2005.
  20. 김희주, 주경희,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1호, pp. 125-15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