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bile Phone Use Pattern and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Symptom Experience in Female Adolescents

여자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사용행태와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경험

  • Received : 2016.02.16
  • Accepted : 2016.04.06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symptom experience in female students from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convenience sample consisted of 349 female students in four schoo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in 2013 using VDTS Subjective Symptom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21.0. Almost all (96.3%) female students use mobile phone. Among them, 87.7% of the subjects experienced more than one VDTS symptom and the average score was $.39{\pm}.41$ in VDTS symptom experience. Eye related symptom was most experienced and musculoskeletal symptom was the highest in severity among five subdomain of VDTS sympto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DTS symptom scores in accordance with posture, hours of use, and break type during mobile phone u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ould be necessary, and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would be useful for adolescents to check themselves.

본 연구는 여자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사용행태와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3년 5월 6일부터 6월 3일까지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VDT 증후군 자각증상 조사표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96.3%가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을 하나 이상 경험한 비율은 87.7%였으며, 증상경험 점수는 $.39{\pm}.41$점이었다. 눈 관련 증상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으며, 근골격계 증상의 정도가 가장 심하였다.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경험은 휴대전화 사용자세, 사용시간, 사용 중 휴식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휴대전화 사용 시 바른 자세로 사용하고, 사용 중에는 휴식 시간을 갖는 것이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경험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여자 청소년들이 자신의 휴대전화 이용 상태를 객관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 이용 상태 진단 도구의 개발과 주기적인 점검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휴대전화 중독 위험집단에게는 중재 프로그램 또는 예방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미래창조과학부, 2015년 10월 ICT 주요품목 동향조사, 미래창조과학부, 2015.
  2. 이애경, 최형도, 이형수, "휴대전화의 인체영향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16권, 제3호, pp. 32-38, 2001. https://doi.org/10.22648/ETRI.2001.J.160304
  3. M. Maier, "Brains and mobile phones," BMJ, Vol. 332, No. 15, pp. 864-865, 2006. https://doi.org/10.1136/bmj.332.7546.864
  4. MTHR Programme Management Committee, Mobile Telecommunications and Health Research Programme Report 2007, MTHR Programme Management Committee, 2007.
  5. K. K. Kesari, M. H. Siddiqui, R. Meena, H. N. Verma, and S. Kumar, "Cell phone radiation exposure on brain and associated biological systems," India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51, pp. 187-200, 2013.
  6. V. Kumar, A. Sharma, A. Kumar, M. Ahmad, and G. K. Gupta, “Interaction of mobile phone waves with tissues of skeletal muscles and bone of human beings,” Journal of Pharmacy and Biological sciences, Vol. 1, No. 6, pp. 6-16, 2012.
  7. 김태희, 강문설, "스마트폰 이용의 부작용 유형 분석 및 대응 방안,"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 2984-2994, 2012.
  8.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 365-37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65
  9. World Health Organization, Update on visual display terminals and workers'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10. M. Sandstrom, J. Wilen, G. Oftedal, and K. Hansson Mild, "Mobile phone use and subjective symptoms. comparison of symptoms experienced by users of analogue and digital mobile phones," Occupational medicine, Vol. 51, No. 1, pp. 25-35, 2001. https://doi.org/10.1093/occmed/51.1.25
  11. G. Oftedal, J. Wilen, M. Sandstrom, and K. H. Mild, "Symptoms experienced in connection with mobile phone use," Occupational medicine, Vol. 50, No. 4, pp. 237-245, 2000. https://doi.org/10.1093/occmed/50.4.237
  12. 정승희, 박인순, "중.고등학생들의 컴퓨터 사용실 태와 VDT 자각증상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23-35, 2003.
  13. 서문경애, 김은영,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초등학생의 VDT 증후군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 141-148,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141
  14. 김진이, 조결자, "컴퓨터 중독과 비중독 청소년의 컴퓨터 단말기(VDT) 자각증상 비교연구," 아동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 159-166, 2005.
  15. R. Santini, M. Seigne, L. Bonhomme-Faivre, S. Bouffet, E. Defrasne, and M. Sage, "Symptoms experienced by users of digital cellular phones: a study of a french engineering school," Electromagnetic Biology and Medicine, Vol. 21, No. 1, pp. 81-88, 2002. https://doi.org/10.1081/JBC-120003113
  16. K. Ko, H. S. Kim, and J. H. Woo, "The study of muscle fatigue and risks of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s from text inputting on a smartphone,"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 32, No. 3, pp. 273-278, 2013. https://doi.org/10.5143/JESK.2013.32.3.273
  17. I. K. Kee, J. S. Byun, J. K. Jung, and J. K. Choi, "The presence of altered craniocervical posture and mobility in smartphone-addicted teenager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 25, pp. 339-346, 2016.
  18. 최준영, "청소년기 학생의 스마트폰 이용과 VDT 증후군 자각증상의 관련성 분석," 보건과 복지, 제15권, pp. 97-115, 2013.
  19. S. Park and J. W. Choi, "Subjective symptom of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and state anxiety in adolescent smartphone use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 11, No. 4, pp. 31-37, 2015. https://doi.org/10.5392/IJOC.2015.11.4.031
  20.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21. 배상률, 김형주, 성은모, 2013 청소년 매체이용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3.
  22. F. Soderqvist, M. Carlberg, and L. Hardell, "Use of wireless telephones and self-reported health symptoms : a population-based study among Swedish adolescents aged 15-19 years," Environmental Health, Vol. 21, pp. 7-18, 2008.
  23. K. Ikeda and K. Nakamura, "Association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depressed mood in Japanese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study,"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Vol. 19, No. 3, pp. 187-193, 2014. https://doi.org/10.1007/s12199-013-0373-3
  24. 어기준, "청소년의 컴퓨터중독유형과 문제점," 청소년의 PC중독, 한국청소년상담원, pp. 8-29, 2000.
  25. 문재동, 이민철, 김병우, "VDT증후군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제24권, 제3호, pp. 373-389, 1991.
  26. 한상연, 마은정, 홍대순, 김은영, 박주현, 이인성, 김진우, "SNS사용을 통한 자기표현이 대인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 개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22권, 제1호, pp. 29-64, 2013.
  27.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 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 289-29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289
  28. 윤태형, 차태현, 황상희, "고등학생들의 컴퓨터 작업환경, 휴식과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 3037-3047,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7.3037
  29. H. J. Kim and J. S.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subjec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 27, No. 3, pp. 575-579, 2015. https://doi.org/10.1589/jpts.27.575
  30. 이동욱, "일부지역 중고등학교 남학생들에서 개인용 컴퓨터 사용이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 : 근막동통증후군을 중심으로," 가정의학회지, 제23권, 제6호, pp. 760-768, 2002.
  31. L. M. Straker, P. B. O'Sullivan, A. Smith, and M. Perry, "Computer use and habitual spinal posture in Australian adolescents," Public health reports, Vol. 122, No. 5, pp. 634-643, 2007. https://doi.org/10.1177/003335490712200511
  32. S. Wimalasundera, "Computer vision syndrome," Galle Medical Journal, Vol. 11, No. 1, pp. 25-29,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