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자녀돌봄지원제도가 미취학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이직의향 및 일-가정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care program in workplace on turnover intention and work-family interaction for married working women

  • 정영금 (가톨릭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 한영선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투고 : 2015.12.30
  • 심사 : 2016.02.24
  • 발행 : 2016.02.29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how having a family care program in the workplace for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affects these women's work and family life. This study employs a panel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support for nursery care is only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urnover of married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Second, the negative effects of work on the family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inancial support for nursery care and maternity leave. Third, financial support for nursery care is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ositive effects of work on the family. In conclusion, a family-friendly care program including financial support for nursery care and maternity leave in the workplace is an important support system for working mothers in raising their childre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선희(2010). 공공조직에서 여성의 일-가정갈등(WFC) 결정요인 분석. 행정논총, 48(1), 171-196.
  2. 김영지(2011). 미취학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 근로자의 일.가족 촉진과 갈등 및 직무 만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영조.이유진(2012)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의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19(3), 71-99.
  4. 김준기.양지숙(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行政論叢, 50(4), 251-280.
  5. 김효선.차운아(2008). 여성관리자의 개인적 상황과 직장상황이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 고용노동부(2015). 고용보험통계연보.
  7. 권혜원.권순원(2013) 일-가정 양립정책이 여성 관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관계연구, 23(3), 89-117.
  8. 민인식.최필선(2009).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서울 : 한국STATA학회.
  9. 박기남(2009).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시간갈등 연구. 한국여성학, 25(2), 37-70.
  10. 안은정.신은종(2010) 일-가정 양립제도가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재무성과와 여성의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산업관계연구, 20(4), 177-216.
  11. 이민우.이영진.한재창(2008). 가족친화제도 도입을 결정하는 선행요인 및 결과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8(4), 183-214.
  12. 이수광(2007). 호텔종업원의 직장-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2(3), 205-218.
  13. 이요행.방묘진.오세진(2005).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산업 및 조직, 18(3), 639-657.
  14. 유계숙(2007). 가족친화 기업정책의 시행 및 이용 여부와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이직의도, 직무성과. 가족과 문화, 19(2), 35-59.
  15. 여성가족패널 http://klowf.kwdi.re.kr/intro.do?method=goIntro
  16. 원숙연(2012). 취업여성의 일-가정 상호작용을 둘러싼 개인-조직-정책의 역학. 정부학연구, 18(3), 267-295.
  17. 원숙연(2015). 기혼 취업여성이 인식하는 일-가정 상호작용과 영향요인의 차별성. 한국정책학회보, 24(2), 309-334.
  18. 송혜림(2014).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균형 실태: 초등학교 저학년생 자녀를 둔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41-59.
  19. 송혜림.유아랑(2013). 돌봄노동의 사회적 지원 정책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 실태에 대한 연구 : 학령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01-125.
  20. 문영주(2013). 기혼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양립에 관한 연구: 일-가족양립의 긍정적 전이, 비대칭성, 차별적 기능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81-102.
  21. 정수인(2006). 기혼직장인의 직장-가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정영금(2012). 기업의 가족친화적 돌봄지원사업의 대안과 방향-지역사회확대와 가족친화 지원센터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93-109
  23. 정영금(2013). 가족친화적 기업문화 정착을 위한 체계적인 변화전략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37-53.
  24. 정영순.어윤경.최인선(2012). 전일제와 시간제 기혼 취업여성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복지정책, 39(3), 91-115.
  25. 조영희(2014).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 서비스 분석과 개선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141-162.
  26. 통계청(2015a). 경제활동인구조사.
  27. 통계청(2015b). 지역별고용조사.
  28. 한영선.이연숙(2014). 조부모에 의한 비공식 자녀돌봄 및 지원이 기혼여성의 추가출산 계획에 미치는 영향 :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63-182.
  29. 한영선.정영금(2014). 유연근무제도가 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1-26.
  30. Aminah, A. & Zoharah. O.(2010) Perceived family-supportive work culture, affectiv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Journal of American Science, 6(12), 839-846.
  31. Alan, L. S., Yuan, T. & Grace, H. S.(2001). Work-family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attitudes of Federal Government employe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1(4), 452–467. https://doi.org/10.1111/0033-3352.00049
  32. Blau, D. M. & Robins, P. K.(1988). Child-care costs and family labor supply.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0(3), 374-381. https://doi.org/10.2307/1926774
  33. Charles, M., Philip, P.K. & Irwin, G.(1992). A structural model of labor supply and child care demand.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27(1), 166-203. https://doi.org/10.2307/145916
  34. Crouter, A. C.(1984). Spillover from family to work: The neglected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ace. Human Relations, 37(6), 425- 441. https://doi.org/10.1177/001872678403700601
  35. Frye, N. K. & Breaugh, J. A.(2004). Familyfriendly policies, supervisor support,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and satisfaction: A Test of a Conceptual Model.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19(2), 197-220. https://doi.org/10.1007/s10869-004-0548-4
  36. Hill, E. J.(2005). Work-family facilitation and conflict, working fathers and mothers, work-family stressors and support. Journal of Family Issues, 26(6), 793-819. https://doi.org/10.1177/0192513X05277542
  37. Jennifer, G. & Valerie, C.(1992). Gender, parenthood, and job-family compatibilit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8(1), 131-151. https://doi.org/10.1086/229971
  38. Jennifer, W. & Phyllis, J.(1995). The impact of workplace support on work-family role stra in. Family Relations, 44(2), 163-169. https://doi.org/10.2307/584803
  39. Kimmel, J.(1998). Child care costs as a barrier to employment for single and married mother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0(2), 287-299. https://doi.org/10.1162/003465398557384
  40. Marni, E. & Melissa, D.(1996). Balancing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Flextime and child care in the federal government. Public Adm inistration Review, 56(2), 174-179. https://doi.org/10.2307/977205
  41. OECD(2014). Female employment rate www.oecd.org/social/family/database.
  42. Sandra, H. & Nancy, C.(2000) Child care and employment turnover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19(4), 357-395. https://doi.org/10.1023/A:1026575709022
  43. Voydanoff, P.(2004). The effects of work demands and resources on work-to-family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2), 398-412.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4.00028.x
  44. Voydanoff, P.(1988) Work role characteristics, family structure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0(3), 749-761. https://doi.org/10.2307/352644
  45. Wayne, J. H., Musisca, N. & Fleeson, W.(2004) Considering the role of personality in the work-family experience : Relationships of the big five to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4(1), 108-130. https://doi.org/10.1016/S0001-8791(03)000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