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Perception Change in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Mentoring

대학생의 다문화 멘토링 활동 경험을 통한 다문화 인식 변화

  • Oh, Sekyung (Dept. The Convergence Institute for Asian Multicultural Studies, Researcher Inha Univ.) ;
  • Kim, Misoon (Dept. Multicultural education, Inha Univ.)
  • Received : 2016.07.21
  • Accepted : 2016.08.11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perception change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mentoring. From May to December of the year 2015, the researcher conducted continuous e-mail interviews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with mentors who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mentoring at I university.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done.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perception change of mentors were discovered to be change in stereotypes, prejudice and ideas on multiculture, difference detection and social desire. They realized that stereotypes and prejudice were the errors of generalization due to their ideas on multiculture which were developed through media. Through mentoring activities the mentors reflected on the inherent negative ideas on multiculture, thus changing their ideas and thoughts. Also, the difference detection acknowledged cultural diversity along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environment of mentees. Social desire expressed their wish for the change of perception in the cultures of others along with the positive change of multicultural perception through mentees. Thus, it was discovered that multicultural mentoring activities are sufficient prerequisites to change the social perception of multiculture from personal interes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멘토링에 참여한 멘토의 다문화 인식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2015년 5월부터 12월까지 I 대학교 다문화 멘토링에 참여한 멘토 6명에게 Email 인터뷰와 심층인터뷰 실시 후 전사를 통해 반복적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멘토의 다문화 인식 변화 과정은 다문화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생각의 전환, 차이발견, 사회적 바람으로 나타났다. 고정관념과 편견은 다문화를 바라보는 자신의 생각이 미디어를 통해 형성 되었으며 일반화의 오류였음을 인식하였다. 멘토는 멘토링 활동을 통해 다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내재되었음을 반성하면서 생각이 전환되었다. 또한, 차이발견은 멘티의 문화적 환경을 이해함과 더불어 문화다양성을 인정하였다. 사회적 바람은 멘티를 통해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면서 타인의 다문화 인식도 변화되길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이는 다문화 멘토링 활동이 개인의 관심에서 사회내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변화 시킬 수 있는 요건이 충분 하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