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ehavior and perception characteristics on the isolated students and the bystanders in physical education

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의 교우관계 소외자와 방관자 행동 특성 및 인식 탐색

  • Received : 2016.10.07
  • Accepted : 2016.10.28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nature and recognition of the isolated students and bystanders in respect of friendship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achieve these objectives, we analyzed statistical material through PQR and inductive category by completing open questionnaires for 360 students bullied in public middle school in a large city. According the results, first, damages defender of participant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70.2%. There were bystanders(12.3), the alienated(7.4) inflictor(5.5), contributor(4.6) in descending order.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ductive analysis regarding the nature and recognition of bystanders in physical education, the biggest reason for not helping their colleagues in need is as following: ① improper friendship(32.8), ② lack of moral and emotional empathy(28.1), ③ lack of exercise ability(15.6), ④ psychological burden(12.5), ⑤ improper class attitude(10.9). In numerical order, improper friendship can be the biggest problem that.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소외자와 방관자의 특성 및 인식을 파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을 분석을 통하여 집단 특성과 그 차이를 알아보고, 개방형 설문 분석을 통해 체육수업에서 소외자를 돕지 않는 방관자의 인식과 이와 관련한 소외자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대도시 소재 공립중학교(남여혼성)의 360명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에서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질문지(PQR)와 개방형 문항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교차분석, 귀납적 범주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또래 괴롭힘 참여역할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피해방어자(70.2%)역할이 가장 높았게 나타났으며 방관자(12.3%), 소외자(7.4%), 가해자(5.5%), 가해동조자(4.6%)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성별 및 학년에 따른 또래 괴롭힘 참여역할의 공통점은 모두 '피해방어자' 역할, '방관자' 역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에서 방관자적 태도를 취하는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개방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진술문을 토대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수행한 결과 체육수업 중 따돌림이나 소외 상황을 포함하여 어려운 상황에 있는 학급 내 동료를 도와주지 않는 이유를 ①부적절한 교우관계(32.8%), ②도덕적·정서적 공감 결여(28.1%), ③운동능력부족(15.6%), ④심리적 부담(12.5%), ⑤부적절한 수업태도(10.9%)의 순으로 범주화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