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술영재 판별을 위한 관찰 평가 도구에 관한 초·중학교 미술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The Visual Art Teachers' Perceptions on the Observational Evaluation System for the Artistic Giftednes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 투고 : 2016.02.15
  • 심사 : 2016.03.29
  • 발행 : 2016.03.31

초록

본 연구는 초 중학교에 재직 중인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미술영재의 관찰 평가 도구 개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이다. 조사 결과, 현장의 초 중학교 미술교사들 사이에는 교사의 관찰 평가에 의한 선발 방식이 미술영재성을 보다 적절히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하고도 유용한 방안으로서 폭넓게 인식되고 있으며, 미술 분야에서 교사 관찰 평가 도구를 활용할 경우 평소 선호하는 학생에게 더 유리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관찰 평가 도구와 관련된 현장 교사의 연수가 매우 미진하지만, 미술영재의 행동특성 체크리스트와 미술영재의 과제수행 과정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미술영재 과제수행 검사를 가장 중요한 도구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영재성 판별의 타당도를 제고하고 평가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미술 분야에서도 미술영재의 행동특성과 미술영재의 과제수행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검사 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arched the perception of observational evaluation system in visual art whic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have in mind. As results, observational evaluation system in visual art is widely accepted as important and efficient to diagnose the artistic giftedness. At the same time, subjectiveness of the system might be advantageous for student for whom teacher get favor and in-service program related to observational evaluation system is insufficient comparing to the demand from field. In spite of this, the scale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visual art and the test for artistic task performance are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nd needed tools for evaluating artistic giftedness. Following the results, in order to raise up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valuation in visual art, the scales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visual art and the test for artistic task performance should be developed first and foremos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병직(2010). 미술영재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4(2), 1-43.
  2. 강병직(2011). 미술영재의 잠재성 평가 방안 연구. 미술교육논총, 11(1), 25-56.
  3. 교육통계연보(2014). 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 http://kess.kedi.re.kr/index. (검색일: 2015.11.4.)
  4. 김건희 (2012). 문화예술교육정책 안에서 미술영재의 선발현황과 개선방향. 문화정책논총, 26(2), 152-173.
  5. 서울시 교육청(2012), 2012년 영재교육 세부추진 계획.
  6. 신보미(2010). 수학 영재 관찰.추천 도구의 개발과 모의 적용 사례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31-59.
  7. 이미경, 강병직(2010). 예술영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이지현(2013). 미술영재교육대상자 선발 방법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9. 한국교육개발원(2015). GED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 https://ged.kedi.re.kr (검색일: 2015.11.4.)
  10. 한기순, 이정용(2011). 영재교사들이 지각하는 관찰.추천 영재 판별 시스템의 방향, 중요도, 실행수준 분석: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영재교육연구, 21(1).
  11. Clark, G. & Zimmerman, A. (1984). Educating artistically talented students. Syracuse, NY: Syracus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