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ment of special security service

특수경비업무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08.19
  • Accepted : 2016.09.20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evelopment of the special security business plan based on the problem that guards are now aware of special security servic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data after expert survey and interview conducted by seven experts engaged in special security services more than 10 years. The guard who perform special security service proposed a development plan of special security services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for new employees' training is required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ogram of 60 hours in subjects related to special security duties by reorganization. Second, the special security service training for guards also appropriate to switch to 9-hour training program for three months through an educational organization controlled by country. Third, the special security guards should be proceeding the practical programs required in the field and quality education in the different section by competent and professional instructors. Fourth, the retirement age for special security guard stipulated in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that needs to be readjusted upward by considering the social environment. Sixth, there needs to be organized the Special Security Association for development associated with the special security service and to protect the rights of special security guards.

본 연구의 목적은 업무현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는 특수경비원들이 현재 인지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특수경비업무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경비업무에 10년 이상 종사하고 있는 현장전문가 7명에게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수경비업무를 몸소 수행하고 있는 특수경비원들은 특수경비업무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의 특수경비원 신임교육 제도는 특수경비업무 실무와 관련된 교과목으로 재편성하여 60시간 정도의 교육프로그램으로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특수경비원 직무교육도 국가에서 관할하는 교육기관을 통하여 3개월에 9시간의 교육프로그램으로 전환하여 시행하되 교육이수여부관리에 중점을 두는 것이 적합하다. 셋째, 특수경비원들에게는 실무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프로그램과 능력 있고 전문적인 강사진을 통한 분야별 양질의 교육이 진행되어져야 한다. 넷째, 경비업법에 규정되어 있는 특수경비원의 정년은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여 상향조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특수경비업체와 경찰 서로간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여섯째, 특수경비업무와 관련한 발전방안과 특수경비원들의 권익보호를 할 수 있는 특수경비협회의 창설이 요구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태(2012) 민간경비 교육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경찰학논총, 7(2), 223-241.
  2. 김태환.박옥철(2005) 한국 민간경비 실태 및 발전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9, 69-98.
  3. 김학경(2014) 제3의 탈경찰화와 민간경비원의 권한확대 : 영국의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 중심으로. 치안정책연구
  4. 박동균.김태민(2009) 특수경비원 신임교육훈련의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치안행정논집, 6(2), 27-52.
  5. 박동균.김태민(2011) 미국 경찰과 민간경비의 상호협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8, 209-228.
  6. 박옥철.김태환(2011) 초임 특수경비원의 직업사회화 과정 분석. 한국재난정보학회, 7(4), 316-327.
  7. 백승민(2014) 한국 민간경비 제도적 실태와 발전방안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석청호(2010) 협력치안체제구축과 민간경비의 역할.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4, 67-90.
  9. 양미진.이동훈.고홍월.김영하.남현주(2012) 현장전문가가 지각한 다문화청소년 상담의 특성에 대한 질적분석. 상담학연구, 13(3), 1181-1209.
  10. 이상원.박주현(2007) 특수경비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3, 323.
  11. 이인열(2011) 특수경비원과 공항경찰의 상호의존성 지각에 따른 관계결속 및 성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정재극(2012) 북한군 특수부대 테러 대비 특수경비원의 방호능력 발전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1(3), 197-219.
  13. 조민상.오윤성(2015) 국가중요시설 특수경비원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핵 안보시설을 중심으로. 11(2), 275-297.
  14. 최은하.유영재.이상빈(2008) 특수경비원 교육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6, 1-13.
  15. 하정훈(2015) 신변보호업무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4, 199-223.
  16. 경비업법 제14조 제8항
  17. 법률 제6467호
  18. 법률 제1407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