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정화, 도종훈(2007). 200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수학-(연구보고 RRE 2007-3-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고정화.도종훈.송미영(2008).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성별 차이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8(2), 179-200.
- 고호경, 고상숙(2008). 중학교 함수의 수학화 과정에서의 성차 연구. 수학교육, 47(3), 273-297.
- 권오남, 박경미(1995). 수학 성취도에 있어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한국여성학, 11, 202-232.
- 권점례, 이창훈, 정은영, 고은성(2010).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수학-(연구보고 RRE 2010-6-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경희, 김완수, 최인봉, 상경아, 김희경, 신진아, 김준엽, 손원숙(201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력 향상의 특성 분석(연구보고 RRE 2011-2-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동영, 김도남, 김영란, 김현정, 이정우, 서민철, 조윤동, 이광상, 이인호, 심재호, 배주경, 정기문, 최원호, 박영신(2013).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연구(연구보고 RRE 2013-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선희(2007). 남녀 학생의 수학 기초학력과 배경 변인의 분석. 수학교육, 46(1), 33-52.
- 김수진, 박지현, 김현정, 진의남, 이명진(2012).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 연구: TIMSS 2011 결과보고서(연구보고 RRE 2012-4-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희경, 김부미(2014).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업성취 결과 분석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5(2), 289-314.
- 노국향, 김신영(2000). 문항의 형태에 따른 피험자의 인지적.정의적 반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평가연구, 13(1), 181-194.
- 노언경, 김진호, 김수진(2010). PISA 2003 문제해결력 영역에 대한 성별 차별기능문항 추출. 교육방법연구, 22(4), 165-194.
- 박경미, 최승현(2002).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에 나타난 수학적 소양의 성별 차이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 41(3), 319-328.
- 박도순(2007). 교육평가-이해와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 송미영, 김성숙, 구자옥, 임해미, 박혜영, 한정아, 임현정(2014).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의 남녀 및 성취수준별 학생 특성 분석(연구보고 RRE 2014-4-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양길석, 송미영, 최인봉, 김희경, 유진은(2008).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추이(2003년-2007년)-중학교 3학년-(연구보고 RRE-4-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봉주(2009).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산도에서 성차추이 분석-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9(2), 273-288.
- 이봉주, 권점례(2009). 200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수학-(연구보고 RRE 2009-9-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소영(2008). 문장제에서 수학 문제해결력과 언어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성별에 따른 차이-.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은정, 이경화(2009). PISA 2003에서 한국과 호주의 학생들이 나타낸 수학 성취도의 성차 분석. 교육연구와 실천, 74, 31-63.
- 이은정, 이경화(2011). PISA 수학 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성차 추이의 배경 요인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1(4), 313-326.
- 이창훈, 남민우, 남가영, 박은아, 김혜숙, 권점례, 고은성, 최원호, 이인호, 김미경, 송민영, 정은영, 박재근, 신명경, 최준채(2010). 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방안 연구(연구보고 RRE 2010-6-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정구향, 김경의 김재철, 반재천, 민경석, 오희숙, 권재기(2004).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총론-(연구보고 RRE 2004-1-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정은영, 최인봉, 김희경, 김소영, 유진은, 남민우, 김도남, 김혜숙, 박가나, 이봉주, 권점례, 최원호, 이인호, 조보경, 송민영(2009).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추이(2003년-2008년)-고등학교 1학년(연구보고 RRE 2009-8-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진수정, 성태제(2004). MH 방법과 SIBTEST 방법을 이용한 문항 유형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의 탐색. 교육평가연구, 17(2), 215-235.
- 최유주(2006). 수학 과목에서 성별에 따른 내용 영역별, 문항 유형별 차별기능문항 탐색 -Mantel -Haenszel 방법과 다집단 일반화 부분점수 모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ltenhof, J. C. (1984). Influence of item characteristics on male and female performance on SAT-Math. Doctoral dissertation, City University of New York..
- Barnes, M. (1997). Classroom views of gender differences. In Doig, B. & Lokan, J. (Eds.). Learning from children: Mathematics from a classroom perspective (pp. 41-61). Melbourne: ACER.
- Ben-Shakhar, G. & Sinai, Y. (1991). Gender differences in multiple-choice tests: The role of differential guessing tendencie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28(1), 22-35.
- Bolt, D. M. (2000). A SIBTEST approach to testing DIF hypotheses using experimentally designed test item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7(4), 307-327. https://doi.org/10.1111/j.1745-3984.2000.tb01089.x
- Donlon, T. F. (1973). Content factors in sex differences on test questions. (Research Memorandum 73-28).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 Lane, S., Wang, N., & Magone, M. (1996). Gender-Relate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on a Middle-School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pp. 21-27.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 神永正博(2015). 수학 사고력을 키우는 20가지 이야기. (조윤동, 이유진 역). 서울: 윤출판. (원본은 2014년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