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crease of Aflatoxin M1 Level in Raw Cow’s Milk using the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HACCP) System

HACCP 제도에 의한 우유의 아플라톡신 M1의 저감화

  • Kim, Ki-Hwan (Namyang Dairy Products Company, Sejong) ;
  • Nam, Myoung Soo (Laboratory of Milk Food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기환 (남양유업(주) 세종공장) ;
  • 남명수 (충남대학교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 Received : 2015.10.06
  • Accepted : 2015.11.18
  • Published : 2016.02.25

Abstract

Aflatoxin M1 can be produced in cow’s milk when cows eat contaminated produce. Milk is a major source of food for infants and for children who have a weak level of immunity, and the detection of Aflatoxin M1 for risk assessment is necessary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it in milk. In this study, the Aflatoxin M1 level was monitored for one year in raw milk samples obtained from Chungnam Province, Korea. The milk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milk samples from a standard general farm, 2. milk samples from a HACCP controlled farm, and 3. milk samples from the supply of Aflatoxin M1 reduced fodder.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Aflatoxin M1 in milk were 0.023±0.005 ug/l for the standard general farm, 0.017±0.004 ug/l for the HACCP controlled farm, and 0.013±0.003 ug/l for the supply of Aflatoxin M1 reduction fodder. Milk collected from the supply of Aflatoxin M1 reduction fodder had the lowest level of Aflatoxin M1. However, when efficiency and economic aspects are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way of reducting Aflatoxin M1, could be taking milk from the HACCP controlled farm and implementing good feed management.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careful management of dairy farming, and a strict farm sanitation program are required in order to lower the level of Aflatoxin M1 in milk.

원유중의 아플라톡신 M1의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일부 지역 원유 중, 일반수준으로 관리한 지역의 집합유, HACCP으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농가의 집합유, 아플라톡신 M1 저감화 배합사료를 제공한 지역의 집합유를 검체로 하여 1년간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을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인 관리를 통해 집유된 집합유의 평균검출농도는 0.023±0.005 μg/l, HACCP 지정관리를 통해 집유된 집합유의 평균검출농도는 0.017±0.004 μg/l 그리고 저감화배합사료 제공을 통해 집유된 집합유의 평균검출농도는 0.013±0.003 μg/l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3개 지역 모두 한국이나 미국 그리고 유럽에서 정한 아플라톡신 M1의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저감화 배합사료를 제공한 농가의 아플라톡신 M1수준이 가장 적게 검출되었다. 아플라톡신 M1의 특성으로서 사료공급상태에 따른 평균검출농도가 계절별로 차이가 나는 경향을 보이며, 3가지 실험군에서 공통적으로 여름철에 비해 겨울철 아플라톡신 M1 수준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이는 겨울철 사료의 관리미흡과 더불어 사료 보관기간이 늘어나며 일반배합사료의 섭취량이 증가되고 장기화됨에 따라, 젖소에서의 아플라톡신 B1의 양이 농축되어 결과적으로 아플라톡신 M1 수준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을 낮출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는 곰팡이 독소를 흡착하게 하는 배합사료를 공급하여 원유로 아플라톡신 M1이 전이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일반수준으로 관리한 농가의 집합유에 비해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을 낮출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HACCP 지정관리를 통한 농가 및 사료의 관리라 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실질적인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제도적인 지원과 낙농업계의 관리 및 농가의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서 론

최근, FTA 등 국제교역의 활성화와 국민식생활향상으로 인해 식품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생물학적 요인인 미생물 오염은 미생물 자체 오염뿐만 아니라 미생물 대사작용에 의해 생성되어 배출되는 특정성분, 즉 곰팡이 독소와 같은 성분이 사람과 가축에게 급성 또는 만성질환을 일으키며, 경우에 따라 죽음에 이르게 하는 등 광범위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2]. 아플라톡신의 형태는 B1, B2, G1, G2, M1, 그리고 M2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독성이 강한 독소는 아플라톡신 B1으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는 인체 발암성물질인 Group 1으로 규정하고 있다[9, 19]. 아플라톡신 B1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에게 간암을 유발시키는 물질로서 알려져 있으며[1, 4], 아플라톡신 B1이 체내로 유입되면 간에서 cytochrome P450 효소에 의해 대사되고 일부는 수산화기가 첨가된 형태인 아플라톡신 M1으로 전환된다(Fig. 1) [8].

Fig. 1.Major metabolites of aflatoxin B1. (IARC, 2002).

젖소를 포함한 동물의 유즙(milk)에서 발견되는 아플라톡신 M1은 Aspergillus flavus나 Aspergillus parasiticus에 오염된 농작물이나 사료를 섭취하였을 때 대사과정 중 생성되는 아플라톡신 B1의 대사산물이다. 아플라톡신 M1은 아플라톡신 B1이 흡수되면 12~24시간 이후에 검출되며, 수일이 지난 후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된다. 반면에 아플라톡신 B1의 흡수가 중단되면 72 시간 이후 아플라톡신 M1이 불검출수준으로 매우 낮게 검출된다[16]. 아플라톡신 M1의 독성은 아플라톡신 B1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고 발암성은 아플라톡신 B1의 2~10% 수준이다[18]. 국제암연구소(IARC)에 의하면 아플라톡신 M1은 간독소나 발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7]. 또한, 아플라톡신 M1은 초기에 독성에 대한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인체발암 가능물질인 Group 2B로 분류되었으나, 추후 여러 연구를 통하여 유전독성과 발암성이 증명되면서 Group 2B에서 Group 1 (인체 발암성물질)으로 변경되었다[14].

현재 많은 국가에서 아플라톡신 M1의 법적 기준설정, 분석법 마련 및 오염도 실태 조사를 통해 자국의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우유나 유제품은 인간에게 중요한 영양식품이기 때문에 아플라톡신 M1의 검출은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연구대상이 되어왔다. CODEX와 미국에서는 우유 중 아플라톡신 M1 기준을 0.5 μg/kg으로 설정하여 운용하고 있고[3, 20], 유럽연합은 0.05 μg/kg으로 설정하고 있으며[6], 한국은 국제기준과의 조화를 위해 가공직전의 원유 및 우유류에 0.5 μg/kg으로 설정하여 운용하고 있다[15].

아플라톡신 M1 함량에 대한 연구는 살균우유, 유아식, 분유 그리고 요구르트에 대한 아플라톡신 M1의 현황을 각각 76%, 85%, 75% 그리고 83% 수치가 ELISA로 검출되었다고 보고하였고[13], 오염된 모든 샘플에서 아플라톡신 M1의 함량은 국내의 아플라톡신 M1의 규정보다 낮은 수치지만 분자구조의 특성상 열에 대해 안정적이기 때문에 제조과정, 농축과정에서 감소되거나 소멸되지 않고 농축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12]. 또한 아플라톡신 M1으로 오염된 우유제품은 매우 다양한 연령대에서 대량으로 소비될 수 있으며, 특히 위해 영향에 민감한 영유아들의 주요식품이므로 아플라톡신 M1의 엄격한 관리와 함께 원유 중 아플라톡신 M1의 위해성이 어느 정도인지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속적인 안전성이 요구됨에 따라, 우유에서 아플라톡신 M1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플라톡신 M1저감화 배합사료가 개발되었다[10]. 이러한 배합사료의 제조는 탄수화물공급원, 지방공급원, 단백질공급원, 비타민 및 미네랄 공급원 조성물로 이루어진 사료를 선별, 저장, 분쇄한 후, 여기에 곰팡이 독소의 바인더(binder) 역할을 하는 곰팡이독소 흡착제인 알루미노 규산염(alumino silica salt) 또는 벤토나이트(bentonite) 및 만노스 올리고당(mannose oligosaccharides)을 조합하여 배합사료 조성물로 제조한 후, 성형가공 및 저장과정을 거치면서 배합사료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원유(raw milk)내 아플라톡신 M1의 저감화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로, 현재 판매 및 공급되어 사용되고 있다[10].

우리나라의 축산물 HACCP 적용은 1998년 가공분야를 시작으로 2004년 7월에 집유와 판매·유통분야, 2005년 1월에는 사료분야, 2006년에는 농장에 적용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일부 지역 중에서 일반적인 수준으로 관리되는 지역농가(HACCP 비지정)의 집합유, HACCP으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지역농가의 집합유, 그리고 아플라톡신 M1 저감화 배합사료를 제공한 지역농가의 집합유를 가지고 1년 동안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원유 중에 존재하는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을 조사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서 향후 원유 품질향상에 있어서의 기초자료 및 실질적인 관리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공시 재료

충청남도 일부 지역 농가를 대상으로 1년에 걸쳐서 집합유 샘플을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목장에서 착유한 원유는 농가의 저유탱크에 5℃로 냉각되어 보관되며, 3~5개 농가의 저유탱크에 보관중인 원유를 집유차량을 이용하여 통합 집유한 것으로 집합유의 샘플은 지역별, 차량별로 채취를 진행하였다. 각 지역별로 주 1회씩 매달 8개의 집합유 샘플을 각각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저감화 방법 도출을 위한 집합유의 구분

아플라톡신 M1의 저감화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서 농가관리 방법에 따라 아플라톡신 M1 함량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알아보기 위해 3종류의 집합유로 구분하였다. 즉, 일반적 관리수준의 농가 집합유(HACCP 비지정농가 집합유), HACCP 지정농가 집합유, 아플라톡신 M1 저감화 배합사료(TMR)를 공급한 농가 집합유로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약 및 표준물질

실험에 사용한 아플라톡신 M1의 표준물질은 Sigma (St. Louis, Mo, USA)사에서 구입하였으며, 추출과 분석에 사용되는 acetonitrile과 methanol은 HPLC용 특급(Budick & Jackson, Muskegon, MI, USA)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용액의 조제

각 집합유의 시료 100 ml을 40℃로 가온 한 후, 5 min 동안 균질기 ULTRA-TURRAX® T 18 basic (IKA, Staufen, Germany)를 이용하여 균질하였다. 균질 후 원심분리기 SORVALL ST 16R (Thermo Fisher Scientific, IL, USA)를 이용하여 4℃, 4,000 rpm에서 20 min 동안 원심분리 하였고, 상층의 지방층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지 Whatman No. 4 (WhatmanTM Maidtone, Kent, UK)로 여과하였다. 여과액 50 ml을 아플라톡신 M1에 특이한 항체를 가지고 있는 면역친화성 컬럼(IAC, Immunoaffinity column)인 AflaM1TMHPLC (VICAM, Milford, Ma, USA)을 이용하여 1 drop/sec을 낙하시키면서 정제하였다. 여과액이 완전히 빠지면 증류수 20 ml를 가하여 세척하고, acetonitrile과 methanol을 3:2 비율로 제조한 용액 1.5 ml을 주입하여 아플라톡신 M1을 용출시켰다. 정제시료를 질소 건조한 후 25% acetonitrile 1 ml로 용해시켰다. 이 용매를 0.2 μm filter (PALL Life Sciences, Fajardo, Puerto Rico)로 여과한 후 갈색 vial에 담은 것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15].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분석

아플라톡신 M1을 분석하기 위해 HPLC system (Waters alliance 2690, Milford, MA, USA)을 사용하였고, 컬럼은 SHISEIDO (Tokyo, JAPAN)사의 CAPCELL PAK C18 UG120 5 μm (4.6 mm I.D ×250 mm)를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acetonitrile과 water를 1:3(v/v)으로 제조한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검출기는 fluorescence detector (Ex. wavelength 365 nm, Em. wavelength 435 nm)를 사용하였다.

유효성검증

시험법 검증을 위해 의약품 등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7]에 준하여 시험방법이 목적에 적합한 시험방법임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유효성검증의 파라미터로는 특이성,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방법검출한계, 직선성, 범위 등을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및 고찰

원유의 일반성분

원유의 일반성분은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농가(HACCP 비인증)는 유지방 3.98±0.25%, 유단백질 3.16±0.06%, 유당 4.66±0.08% 및 총고형분 12.50±0.39% 이며, HACCP 인증농가는 3.99±0.26%, 유단백질 3.18±0.06%, 유당 4.66±0.08%, 총고형분 12.53±0.39% 이며, 저감화 배합사료를 제공한 농가는 유지방 3.97±0.25%, 유단백질 3.17±0.06%, 유당 4.67±0.08% 및 총고형분 12.51±0.39%로 각각 나타났다. 이와 같이 3종류의 집합유 성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1.Results : mean ± S.D (p value : <0.05)

분석법 검증

아플라톡신 B1의 주요대사산물[8]은 Fig. 1에 나타내었다. 수집한 원유샘플의 검량선 작성을 위하여 각각 4개의 농도로 제조된 표준용액들을 분석하여 아플라톡신 M1의 독소량에 대한 peak의 면적으로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Fig.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검량선은 Y=9420X-17.1이었고, 상관계수(R2)는 0.9999 이상으로써 각 농도의 범위에서 매우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플라톡신 M1은 약 9 min 경에 검출되었으며, 주변에 정량을 방해할만한 peak는 검출되지 않았다. 시험법 검증을 위해 의약품 등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11]에 준하여 시험방법이 목적에 적합한 시험방법임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유효성 검증의 파라미터로는 특이성,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방법검출한계, 직선성, 범위 등을 선정하여 각각의 파라미터를 평가하였다.

Fig. 2.Analysis of HPLC chromatogram on aflatoxin M1. A : aflatoxin M1 standard. B : aflatoxin M1 specificity in sample. C : aflatoxin M1 specificity in blank. D : aflatoxin M1 linearity.

특이성(specificity)

특이성이란 불순물, 분해물 등의 혼재상태에서 분석대상물질을 선택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이다. Fig. 2 (A~C)는 분석대상물질인 아플라톡신 M1의 특이성을 검증하기 위한 HPLC의 크로마토그램으로 다른 물질의 피크와 겹치지 않으며, baseline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등 간섭물질이 없음을 확인하여 특이성을 확보하였다.

정확성(Accuracy)

정확성이란 측정값을 이미 알고 있는 참값이나 표준 값에 근접한 정도를 말한다. 이플라톡신 M1의 정확성 검증을 위해 whole milk powder (ERM®-BD284, European Reference Materials)를 사용하여 ‘Certificate of Analysis’에 수록된 인증값(certified value 0.44 μg/kg, uncertainty 0.06 μg/kg)을 기준으로 회수율을 계산하여 확인하였다(Table 2).

Table 2.Verification of aflatoxin M1 accuracy

정밀성(Precision)

정밀성은 균일한 검체에서 여러 번 채취하여 얻은 검체를 정해진 조건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각각의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 즉, 분산 정도를 말한다. 아플라톡신 M1의 정밀성 검증을 위해 ERM의 whole milk powder BD284를 사용하여 ‘Certificate of Analysis’에 수록된 인증 값을 기준으로 인증범위 내에 시험결과 값이 들어가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반복성(Repeatability)

반복성은 동일 검체에 대해 시험절차에 따라 조제된 검액들을 분석하여 정밀성을 평가하며, 표준편차 또는 상대표준편차로 평가하여 Table 3에 나타내었다.

Table 3.Verification of aflatoxin M1 repeatability

실험실내 정밀성(Intermediate Precision)

실험실내 정밀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시험일, 시험자, 시험장비 등으로 서로 다른 시험자가 분석한 결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Table 4.Verification of aflatoxin M1 intermediate precision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및 방법 검출한계(Method of Detection Limit)

검출한계(LOD, Limit of Detection)란 검체 중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물질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을 말하며, 정량한계(LOQ, Limit of Quantification)는 적절한 정밀성과 정확성을 가진 정량값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검체 중 분석대상물질의 최소량을 말한다. 아플라톡신 M1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신호대 잡음비(S/N비; signal-to-noise)를 측정하여 S/N 비가 3:1 일 때 LOD, 10:1 일때 LOQ로 설정하였다. 방법 검출한계(MDL, Method of Detection Limit)는 전처리 또는 기기분석과정을 포함한 분석대상물질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을 말하며, 본 연구는 아플라톡신 M1정량분석을 위한 계산식 중 검량선에 의한 농도 값에 LOQ 값을 대입하여 산출된 결과 값을 MDL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Table 5에 나타내었다.

Table 5.aLOD : Limit of DetectionbLOQ : Limit of QuantificationcMDL : Method of Detection LimitdS/N : Signal-to-Noise

직진성(Linearity)과 범위(Range)

직진성(Linearity)이란 검체 중 분석대상물질의 양 또는 농도에 비례하여 일정 범위 내에 직선적인 측정값을 얻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범위(Range)란 적절한 정밀성, 정확성 및 직선성을 제시할 수 있는 검체 중 분석대상물질의 양 또는 농도의 하한 및 상한 값 사이의 영역을 말한다. 두 가지 유효성 검증을 위해 아플라톡신 M1 표준물질을 10 μg/l가 되도록 stock standard solution을 제조한 후, 분석할 때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working standard solution으로 사용하였다. 희석된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각 농도 별로 intensity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Fig. 2D에 나타내었으며, 직선성이 나타나는 최적의 농도 범위를 Table 6에 나타내었다.

Table 6.Verification of aflatoxin M1 range

아플라톡신 M1 검출결과

Table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충청남도 지역을 대상으로 일반관리수준의 2개 지역 집합유, HACCP 지정관리농가 2개 지역 집합유 그리고 저감화 배합사료를 제공한 농가 2개 지역 집합유, 총 6개 집합유에 대해서 아플라톡신 M1의 오염도를 각각 조사한 결과, 일반적인 수준으로 관리되어 집유된 집합유의 평균검출농도는 0.023±0.005 μg/l, HACCP 지정관리를 통해 집유된 집합유의 평균검출농도는 0.017±0.004 μg/l 그리고 저감화 배합사료제공을 통해 집유된 집합유의 평균검출농도는 0.013±0.003 μg/l으로 나타났다.

Table 7.aEight raw milk samples acquired each monthbStandard DeviationcMethod of Detection Limit = 0.0008 μg/l

연구결과, 3개 지역 모두 한국(0.5 μg/kg)이나 미국(0.5 μg/kg) 그리고 유럽(0.05 μg/kg)에서 정한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우유와 원유에 대하여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을 검출한 결과, 시료의 5%에서 총 0.005 μg/kg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시료의 90%에서 0.005~0.05 μg/kg의 범위에서 아플라톡신 M1이 검출되었으며 평균 검출농도는 0.029 μg/kg로 보고하였다[17]. 이는 3개 지역 평균 검출농도가 0.02 μg/kg 수준으로 검출된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HACCP 지정 유무에 따른 농가 집합유의 아플라톡신 M1 검출 특성

Table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연구실험을 통해 나타난 특징중의 하나는, HACCP 지정농가의 집합유가 일반농가의 집합유에 비해 아플라톡신 M1의 검출수준이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HACCP 지정농가에서 특별히 아플라톡신 M1의 저감화를 위해 노력한 것 보다는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사료조 청소 및 오염된 사료의 폐기처분 그리고 사료보관창고 환경 등을 제대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HACCP 지정관리의 결과라고 사료된다. IARC는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이나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으로 관리된 농가에서의 아플라톡신 M1의 검출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7]. 아플라톡신 M1이 증가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아플라톡신 B1의 생성조건과 연관된다. 아플라톡신 B1을 생성하는 A. flavus와 A. parasiticus는 사료 중에 13~18%의 수분함량과 외부습도가 50~60%일 때 쉽게 성장한다고 알려져 있다[9]. 따라서 안전한 원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농가에서의 관리방법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HACCP 단계의 관리가 요구된다.

저감화 배합사료(TMR)를 사용한 농가 집합유의 아플라톡신 M1 검출 특성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또 하나의 특징은, Table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감화 배합사료를 제공한 농가의 집합유에서 아플라톡신 M1의 검출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3가지 실험군 중 아플라톡신 M1저감화에 있어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아플라톡신 M1의 감소효과를 극대화하고자 곰팡이 독소의 흡착제인 벤토나이트와 만노스 올리고당을 사용한 배합사료(TMR)를 통해 곰팡이 독소를 흡착하게 함으로써 아플라톡신 M1이 원유로 전이되지 못하도록 한 결과이다.

농가 집합유의 계절별 아플라톡신 M1 검출 특성

Table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아플라톡신 M1의 특성으로서 평균 검출농도가 계절별로 차이가 나는 경향을 보였다. 3가지 실험군을 비교한 결과, 공통적으로 여름철인 7월의 아플라톡신 M1수준이 가장 낮게 검출되었고(0.013±0.001 μg/l), 겨울철인 1, 2월의 아플라톡신 M1수준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0.023±0.002 μg/l). 이러한 결과는 여름철에는 고온다습한 환경 때문에 사료원료를 저장할 때 비닐 같은 덮개를 사용하지 않고 개방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사료원료에 곰팡이 서식이 잘 되지 않지만, 겨울철에는 사료원료를 비닐 같은 덮개로 덮어 보관하기 때문에 습도가 높아 사료에 곰팡이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한편 중국 양쯔강 주변의 원유에 대한 아플라톡신 M1의 평균 검출수준은 겨울이 0.1236±0.101 μg/l 으로 가장 높았고, 봄에는 0.0291±0.0226 μg/l, 가을에는 0.0319±0.0267 μg/l, 여름에는 0.0316±0.0253 μg/l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낮게 검출되었다고 보고하였다[21]. 또한, 원유의 아플라톡신 M1수준이 0.503±0.092 μg/l으로 겨울철인 1월에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여름철인 8월에는 0.199±0.099 μg/l로 가장 낮게 검출되었다고 보고하였다[6]. 본 연구결과 3가지 실험군에서 나타난 아플라톡신 M1의 계절별 특성은 이 2가지 연구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아플라톡신 M1의 평균 검출수준은 낮은 농도로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부환경은 사료에 존재하는 아플라톡신 B1의 수준에 변화를 주고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에 영향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안전한 원유 공급을 위한 아플라톡신 M1의 효율적 저감화 방안

우유는 인류의 태고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유제품의 원료로써,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은 식품이다. 특히 영유아들의 주요식품원인 분유는 원유를 가지고 만들어지며, 아플라톡신 M1의 관리가 미흡하다면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들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가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아플라톡신 M1의 저감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원유의 아플라톡신 M1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일환으로서 젖소의 방목은 광범위한 토지 및 비용을 소모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아플라톡신 M1 감소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저감화 배합사료의 공급은 사료가격의 인상을 통한 원유의 유대증가로 이어짐으로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인 아플라톡신 M1의 저감화 방안을 위해서는 낙농가 HACCP 지정 등 제도적으로 적극적 위생관리를 통한 방안이 보다 현실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실질적인 유지관리 및 안전한 원유공급을 위해서 유가공장의 담당자와 정부의 적극적인 관리지원 및 낙농업자들의 철저한 위생관리가 중요하며, 사료나 축산물 그리고 식품 등 단계별 모니터링과 연구를 통한 아플라톡신의 추적시스템을 구축하여 보다 체계적이면서 효과적인 아플라톡신 M1의 대응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References

  1. Carvajal, M., Rojo, F., Méndez, I. and Bolaños, A. 2003. Aflatoxin B1 and its interconverting metabolite aflatoxicol in milk: the situation in Mexico. Food Addit. Contam. 20, 1077-1086. https://doi.org/10.1080/02652030310001594478
  2. Choi, S. M., Kim, G. Y., Lee, S. D., Moon, J. H. and Om, A. S. 2013. Development of rapid detection kit for aflatoxin B1 in Cereals. Food Eng. Prog. 17, 271-275. https://doi.org/10.13050/foodengprog.2013.17.3.271
  3. Comments submitted on the draft maximum level for aflatoxin M1 in milk. 2001. Codex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pp. 19-20, 33rd ed., Hague, Netherlands.
  4. Cupid, B. C., Lightfoot, T. J., Russel, D., Grant, S. J., Turmer, P. C., Dingley, K. H., Curtis, K. D., Leveson, S. H., Turteltaub, K. W. and Garner, R. C. 2004. The formation of AFB1-macromolecular adducts in rats and humans at dietary levels of exposure. Food Chem. Toxicol. 42, 559-569. https://doi.org/10.1016/j.fct.2003.10.015
  5. European Commission. 2006. Commission regulation (EC) No 1881/2006 of 19 December. pp. 16-17, Official J. European Union.
  6. Hussain, I. and Anwar, J. 2008. A study on contamination of aflatoxin M1 in raw milk in the Punjab province of Pakistan. Food Control 19, 393-395. https://doi.org/10.1016/j.foodcont.2007.04.019
  7.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02. Monograph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 to humans, 82, 171-274.
  8.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1993. Monograph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 to humans, 56, 215-396.
  9. Jay, J. M. 1992. Modern food microbiology, pp. 1-701, 4th ed., Chapman & Hall. NY, USA.
  10. Jea-il holdings Co., and Namyang Dairy Products Co., Ltd. 2010. Feed composition for reducing aflatoxin M1 in raw milk, and a producing method of mixed feed using thereof. Korea patent 10-1202160.
  11. KFDA, Drug etc. 2012. Test method Validation Guidelines, pp. 1-22.
  12. Kang, Y. W., Song, J. E., Suh, J. H., Park, S. K. and Kim, M. H. 2013.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of aflatoxin M1 in infant formula. Kor. J. Food Sci. Technol. 45, 235-240. https://doi.org/10.9721/KJFST.2013.45.2.235
  13. Kim, E. K., Shon, D. H., Ryu, D., Park, J. W., Hwang, H. J. and Kim, Y. B. 2000. Occurrence of aflatoxin M1 in Korean dairy product determined by ELISA and HPLC. Food Addit. Contam. 17, 59-64. https://doi.org/10.1080/026520300283595
  14. Kim, Y. D., Kwon, H. J., Moon, S. I., Eom, S. Y., Park, J. D., Choi, B. S., Sohn, S. J., Hong, Y. S., Kim, H., Kwon, H. J., Lim, J. A., Yoon, H. J., Kim, G. J. and Kim, H. 2012. The level of urinary aflatoxin M1 in Korean adults. J. Biomed. Res. 13, 255-258. https://doi.org/10.12729/jbr.2012.13.3.255
  15. Korean Food Standards Codex. 2012. pp. 821-823.
  16. Mahdiyeh, L. R. 2013. Determination of aflatoxin M1 levels in raw milk samples in Gilan, Iran. Adv. Studies Biol. 5, 151-156. https://doi.org/10.12988/asb.2013.13013
  17. Park, S. K., Kang, Y. W., Kwon, K. S., Lee, G. H. and Kim, M. H. 2012. Analysis and monitoring of aflatoxin M1 in milks. Kor. J. Food Sci. Technol. 44, 247-250. https://doi.org/10.9721/KJFST.2012.44.2.247
  18. Sun, C. A. and Chen, C. J. 2003. Aflatoxin-induced hepatocarcinogenesis : epidemiological evidence and mechanistic considerations. J. Medicine Sci. 23, 311-318.
  19. Sweeney, M. J. and Dobson, A. D. 1998. Myco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Fusarium and Penicillium species. Int. J. Food Microbiol. 43, 141-158. https://doi.org/10.1016/S0168-1605(98)00112-3
  20. Van, E. HP. 1989. Aflatoxin M1 : Occurrence, toxicity, regulation. Pp. 11-15, In : Mycotoxins in Dairy Products. Hans P. van Egmond ed., Elsevier Applied Science, NY, USA.
  21. Xiong, J. L., Wang, Y. M., Mac, M. R. and Liu, J. X. 2013. Seasonal variation of aflatoxin M1 in raw milk from the Yangtze River Delta region of China. Food Control 34, 703-706. https://doi.org/10.1016/j.foodcont.2013.06.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