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만형 위암에서 임상병리학적 인자와 Hsp70, BAG1과 Raf-1 발현간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Clinicopathology and Expression of HSP70, BAG1 and Raf-1 in Human Diffuse Type Gastric Carcinoma

  • 정상봉 (동의과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 이현욱 (성균관대학교 창원삼성병원 병리과) ;
  • 정경태 (동의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Jung, Sang Bong (Department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Dong-Eui Institute of Technology) ;
  • Lee, Hyoun Wook (Department of Pathology, Samsung Changwon Hospital,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Chung, Kyung Tae (Department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Dong-Eui University)
  • Received : 2015.12.08
  • Accepted : 2016.01.25
  • Published : 2016.01.3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미만형 위암조직에서의 임상병리학적 인자와 HSP70, BAG1, Raf-1의 발현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Hsp70은 열충격단백질(heat shock protein)의 환경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분자생물학적 chaperone으로 작용하는 것뿐 아니라 anti-apoptotic 작용을 통하여 암세포의 생존과 전이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oto-oncogene의 일종인 Raf는 사람을 포함한 진핵세포의 생장에 관여하는 중요한 신호전달경로인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경로의 중심인자로서 다양한 암에서 그 발현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Bcl-2에 결합하여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것으로 처음 보고된 Bcl-2-associated athanogene-1 (BAG-1)은 다양한 암에서 그 발현이 증가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BAG-1은 HSP70과 상호작용하여 Raf-1-ERK signal pathway와 cell growth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Hsp70의 발현은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 24례(64.9%)에서 양성, 13례(35.1%)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경우 6례(26.1%)에서 양성, 17례(73.9%)에서 음성을 보여 임파절의 전이가 있는 경우가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007). N-stage에 따른 발현은 N-stage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6). BAG1의발현은 전체 대상 환자 중 43례(71.7%)에서 양성, 17례(28.3%)에서 음성소견을 보였으며, 65세 미만에서 65세 이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035). RAF1의 경우 전체 대상 환자 중 45례(75.0%)에서 양성, 15례(25.0%)에서 음성소견을 보였으며, BAG1 양성환자에서 RAF1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021). 본연구 결과 Hsp70은 종양의 진행과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BAG1과 Raf-1은 미만형위 암의 진단적 마커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70 (HSP70), Raf-1 and Bcl-2-associated athanogene-1 (BAG1) protein in diffuse type gastric carcinoma and examine association of HSP70, Raf-1 and BAG1 expression with various clinic-pathological factors and survival. Heat shock protein70 is induced in the cells in response to various stress conditions, including carcinogens. Over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70 has been observed in many types of cancer. The proto-oncoprotein Raf is pivotal for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and its aberrant activation has been implicated in multiple human cancers. Overexpression of BAG1 protein has been documented in some type of human cancer. BAG1 has been reported to interact with protein involved with a variety of signal pathway, and regulation of cell differentiation, survival and apoptosis. These interaction partners include HSP70 and Raf-1. The percentage of tumors exhibiting HSP70 positivity was significantly in cases of positive lymph node metastasis (64.9%) compared to cases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35.1%, p=0.007). HS70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pathological N-stage (p=0.006). Expression of BAG1 was detected in the majority of diffuse type gastric carcinoma tissues (71.7%), especially in younger patients (80% vs 52.6%, p=0.035). Furthermore BAG1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tumor size (p=0.020). Raf-1 expres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umor size (p=0.005). The result indicate that HSP70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progression of diffuse type gastric cancer. Expression of BAG1 and Raf-1 may be used as diagnostic markers for gastric carcinoma.

Keywords

서 론

위암은 전 세계적으로 4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악성 종양이며[12], 암 사망률 2위를 차지하는 질환이다[1]. 우리나라에서 위암의 발생률은 14.5%로 갑상선 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고, 사망률은 폐암과 간암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23]. 병리조직 분석에서는 위암을 Lauren의 분류법에 따라 장형(intestinal type)과 미만형(diffuse type)으로 분류된다[17]. 장형은 adenoma-carcinoma sequence를 따르는 발암기전을 통해 발생하며, 미만형에 비해 식습관과 환경에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만형보다 좋은 예후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16, 10]. 이에 반해 미만형은 젊은 환자에게서 호발하며, 전층 침윤성의 경향성이 높아 장형에 비해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암종의 원인과 진행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종양 억제 유전자의 돌연변이, 원종유전자(protooncogene)의 돌연변이 및 과발현 등이 중요한 인자로서 분석되어져 왔으나, 이들 유전자 만으로는 암 진행의 예후를 예측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으로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새로운 biomarker의 필요성이 요구 되었다. 새롭게 조명 받는 예후 biomarker로는 EGFR, CD133, Ki-67, Hsp70, HER2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임상에서도 활용되고 있다[14, 26, 28, 35]

Hsp70은 열충격단백질(heat shock protein)의 환경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분자생물학적 chaperone으로 작용하는 것뿐 아니라 anti-apoptotic 작용을 통하여 암세포의 생존과 전이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또한, Bcl-2에 결합하여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것으로 처음 보고된 Bcl-2-associated athanogene-1 (BAG-1)은 추가적인 연구에서 Hsp70의 ATPase domain에 결합하여 in vivo와 in vitro에서 Hsp70 chaperone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24]. BAG-1은 HSP70과 상호작용하여 Raf-1-ERK signal pathway와 cell growth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9].

Raf-1은 세포의 증식과 발달의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위의 tyrosine kinase와 하위의 serine/threonine kinase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중요한 원종양 유전자인 Rb를 인산화시켜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21].

세포증식과 암세포의 생존 및 전이에 관련된 Hsp70, BAG1, Raf-1의 발현의 증감이 암의 예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미만형 위암에서는 아직 이들의 연계성이 보고된 것이 없다. 따라서, 암 사망률 2위의 위암에서 Hsp70, BAG1, Raf-1 분자와 임상병리학적인 다른 예후인자들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이들이 미만형 위암의 예후 biomarker로서의 임상적 의의 규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성균관대학교 창원 삼성병원에서 위암으로 수술을 받았던 환자의 조직 표본 중 보관상태가 양호한 60례를 대상으로 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성균관대학교 창원 삼성병원의 IRB 심의(심의번호 2011-scmc-033-00)를 거쳐 승인을 획득하였다. 환자의 군 연령은 58.3세였으며, 남자가 35명, 여자가 25명이였다. T-stage, N-stage를 이용한 임상적 병기는 미국 암협회 분류(AJC classification)에 따라 분류하였다. T-stage는 T1 18례, T2 7례, T3 14례, T4 21례였으며, N-stage는 N0 19례, N1 17례, N2 9례, N3 15례였다.

면역조직염색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제작한 위암조직 파라핀 블록을 4μm 두께로 잘라서 Probe-On 슬라이드(Fisher, USA)에 부착시켜 60℃에서 2시간 건조시켰다. 파라핀 절편이 부착된 슬라이드를 xylene에서 10분간 4회의 탈파라핀 과정을 거치고 10분 동안 100% alcohol 2회, 95%alcohol 3회의 함수 과정을 거친 후 증류수에 5분간 함수시켰다. Microwave에 citric acid buffer (pH 6.0)를 먼저 10분간 끓인 후 슬라이드를 넣고 10분간 더 끓이고 15분간 냉각시킨 후 Tris buffer로 3회 세척하였다. Protein blocker (DO-7, Dako, USA)로 5분간 처리 후 세척하지 않고 바로 일차 항체(DO-7, Dako, USA)를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ris buffer로 3회 세척한 후 universal secondary antibody(DO-7, Dako, USA)로 10분간 반응시키고 Tris buffer로 3회 세척하였다. Streptavidin HRP detection system (DO-7, Dako, USA)으로 10분간 처리하고 Tris buffer 로 3회 세척한 후 DAB (DO-7, Dako, USA)로 20초간 발색시켰다. 증류수로 세척한 후에 Meyer's Hematoxyline (Research genetics, USA)으로 1분간 대비 염색하고 증류수를 거쳐 95%와 100% alcohol로 탈수한 후, xylene으로 청명 과정을 거쳐서 Malinol로 봉입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면역조직염색 결과의 판독

염색 결과의 판정은 두 명의 서로 다른 병리 전문의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역조직염색의 DAB 발색(갈색)이 나타났을 경우 양성으로 판독하였고, DAB 발색(갈색)이 나타나지 않았을 경우 음성으로 판독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benign 조직을 사용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환자의 임상 자료 및 조직학적 자료들을 BAG1, HSP70과 RAF1의 발현여부에 따라 비교분석 하였다. 통계분석은 개인용 컴퓨터 통계 프로그램인 SPSS for Windows (ver 18.0, SPSS Inc., Chicago)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로 검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0.05일때로 하였다.

 

결 과

미만형 위암에서 BAG1의 발현

미만형 위암의 조직학적 판독 기준에 사용한 표준 시료는 Fig. 1에 나타내었다. 장형은 궤양을 잘 형성하며 점착력 있는 종양세포들이 모여 특징적인 관상구조를 이루고 있는 미만형은 종양세포의 점착력이 낮아서 명확한 종괴의 형성 없이 개별 세포들이 위벽을 침윤하는 유형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에 사용된 모든 검체 중 미만형 위암으로 판독된 것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Fig. 1.Comparison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 and diffuse-type gastric cancer (B) by H&E staining.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is composed of irregularly shaped tubules lined by columnar tumor cells, whereas diffuse-type gastric cancer is composed of tumor cells that are isolated or arranged in small aggregates with little or no tubule formation.

일반적인 임상병리학적인 인자와 함께 Hsp70, BAG-1, Raf-1에 대한 면역조직학적인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Correlation of BAG1, HSP70 and RAF1 expression with clinicopathologic factors in 6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BAG1의 면역조직학적인 결과 해석은 Fig. 2에서처럼 분석하여 명확히 판독이 가능하였으며, 전체 대상 환자 중 43례(71.7%)에서 양성, 17례(28.3%)에서 음성소견을 보였다(Table 1). 연령별로는 65세 미만에서 33례(80.5%)에서 양성, 8례(19.5%)에서 음성소견을 보였으며, 65세 이상에서는 10례(52.6%)에서 양성, 9례(47.4%)에서 음성을 보여, 65세미만에서 65세이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035).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에서 27례(77.1%)에서 양성, 8례(22.9%)에서 음성소견을 보였으며, 여성에서는 16례(64.0%)에서 양성, 9례(36.0%)에서 음성을 보여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발현율을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384). 종양의 크기에 따른 분류에서는 5cm미만에서 30례(83.3%)에서 양성, 6례 (16.7%)에서 음성소견을 보였으며, 5cm이상에서는 13례(54.2%)에서 양성, 11례(45.8%)에서 음성을 보여 5cm미만에서 5cm이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020).

Fig. 2.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BAG1.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was performed using DAB (brown) and nuclei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blue). Brown color indicates positive reaction. (A) Gastric tumor cells represent negative staining for BAG1. (B) Gastric tumor cells show strong nuclear and weak cytoplasmic expression of BAG1.

원발암 종양의 크기에 따른(T-stage) 발현은 T1, T2, T3와 T4에서 각각 13례(72.2%), 5례(71.4%), 11례(78.6%)와 14례(66.7%)의 양성반응을 보였지만 T-stage에 따른 BAG1의 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934). 림프절 전이 개수(N-stage)에 따른 발현은 N0, N1, N2와 N3에서 각각 14례(73.7%), 13례(76.5%), 8레(88.9%)와 8례(33.3%)의 양성반응을 보였지만 N-stage에 따른 BAG1의 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312). 임파절의 전이에 따른 BAG1의 발현은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 28례(75.7%),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경우 15례(65.2%)에서 양성을 보여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가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경우에 비해 높은 발현율을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396). BAG1의 발현에 따른 생존율은 BAG1 양성환자의 사망율는 7례(63.6%), BAG1 음성환자의 사망율은 4례(36.4%)로 BAG1 양성환자에서 음성환자에 비해 높은 사망률을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712).

미만형 위암에서 HSP70의 발현

Hsp70의 경우(Fig. 3), 전체 대상 환자 중 양성과 음성소견이 각각 30례(50.0%)로 동일하게 나타났다(Table 1). 연령별로는 65세 미만에서 21례(51.2%)에서 양성, 65세 이상에서는 9례(47.4%)에서 양성을 보여, 나이에 따른 발현율의 차이는 없었으며(p=1.000),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에서 19례(54.3%)에서 양성, 16례(45.7%)에서 음성소견을 보였으며, 여성에서는 11례(44.0%)에서 양성, 16례(56.0%)에서 음성을 보여 성별에 따른 발현율의 차이는 없었다(p=0.601). 종양의 크기에 따른 분류에서는 5cm미만에서 16례(44.4%)에서 양성, 20례(55.6%)에서 음성소견을 보였으며, 5cm 이상에서는 14례(58.3%)에서 양성, 10례(41.7%)에서 음성을 보여 종양의 크기에 따른 발현율의 차이는 없었다(p=0.119).

Fig. 3.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Hsp70.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was performed using DAB (brown) and nuclei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blue). Brown color indicates positive reaction. (A) Gastric tumor cells represent negative staining for Hsp70. (B) Gastric tumor cells show strong nuclear and weak cytoplasmic expression of Hsp70.

종양의 T-stage에 따른 발현은 T1에서 5례(27.8%), T2에서 3례(42.9%), T3에서 9례(64.3%), T4에서 13례(61.9%)로 stage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이 증가되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19). N-stage에 따른 발현은 N0에서 4례(21.1%)에서 양성, 15례(78.9%)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N1에서 13례(76.5%)에서 양성, 4례(23.5%)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N2에서 6례(66.7%)에서 양성, 3례(33.3%)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N3에서 7례(46.7%)에서 양성, 8례(53.3%)에서 음성을 N-stage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6).

임파절의 전이에 따른 Hsp70의 발현은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 24례(64.9%)에서 양성, 13례(35.1%)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경우 6례(26.1%)에서 양성, 17례(73.9%)에서 음성을 보여 임파절의 전이가 있는 경우가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007).

Hsp70의 발현에 따른 생존율은 양성환자의 사망율은 8례(72.7%), 음성환자의 사망율은 3례(27.3%)로 양성환자에서 음성환자에 비해 높은 사망률을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81).

미만형 위암에서 RAF1의 발현

RAF1의 경우(Table1), 전체 대상 환자 중 45례(75.0%)에서 양성, 15례(25.0%)에서 음성소견을 보였다(Fig. 4). 연령별로는 65세 미만에서 31례(75.6%)에서 양성, 10례(24.4%)에서 음성소견을 보였으며, 65세 이상에서는 14례(73.7%)에서 양성, 5례(26.3%)에서 음성을 보여, 나이에 따른 발현율의 차이는 없었다(p=1.000).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에서 28례(80.0%)에서 양성, 여성에서는 17례(68.0%)에서 양성을 보여, 성별에 따른 발현율의 차이는 없었다(p=0.369). 종양의 크기에 따른 분류에서는 5cm미만에서 32례(88.9%)에서 양성, 4례(11.1%)에서 음성소견을 보였으며, 5cm이상에서는 13례(54.2%)에서 양성, 11례(45.8%)에서 음성을 보여 5cm미만에서 5cm이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005).

Fig. 4.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Raf-1.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was performed using DAB (brown) and nuclei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blue). Brown color indicates positive reaction. (A) Gastric tumor cells represent negative staining for Raf-1. (B) Gastric tumor cells show strong nuclear and weak cytoplasmic expression of Raf-1.

종양의 T-stage에 따른 발현은 T1, T2, T3와 T4에서 각각 16례(84.2%), 11례(64.7%), 7례(77.8%)와 11례(73.3%)의 양성발현을 보여 T-stage에 따른 RAF1의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p=0.624). N-stage에 따른 발현은 N0, N1, N2와 N3에서 각각 16례(84.2%), 11례(64.7%), 7례(77.8%)와 11례(73.9%)의 양성반응을 보여, N-stage에 따른 RAF1의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p=0.624).

임파절의 전이에 따른 RAF1의 발현은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 28례(75.7%),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경우 17례(73.9%)에서 양성을 보여 임파절 전이에 따른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p=1.000).

RAF1의 발현에 따른 생존율은 양성환자의 사망율는 8례(72.7%), 음성환자의 사망율은 3례(27.3%)로 RAF1 양성환자에서 음성환자에 비해 높은 사망률을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1.000).

미만형 위암에서 BAG1과 Hsp70의 발현관계

BAG1의 발현에 따른 Hsp70의 발현율은(Table1), BAG1 양성을 보인 43례 중 24례(55.8%)에서 Hsp70양성을 보였으며, 19례(44.2%)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BAG1음성을 보인 17례 중 6례(35.3%)에서 Hsp70양성을 보였으며, 11례(64.7%)에서 음성을 보여 BAG1 양성환자에서 Hsp70의 발현이 증가 하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252).

미만형 위암에서 BAG1과 RAF1의 발현관계

BAG1의 발현에 따른 RAF1의 발현율은(Table 1), BAG1 양성을 보인 43례 중 36례(83.7%)에서 RAF1양성을 보였으며, 7례(16.3%)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BAG1음성을 보인 17례 중 9례(52.9%)에서 RAF1양성을 보였으며, 8례(47.1%)에서 음성을 보여 BAG1 양성환자에서 RAF1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21).

미만형 위암에서 Hsp70과 RAF1의 발현관계

Hsp70의 발현에 따른 RAF1의 발현율은(Table1), Hsp70 양성을 보인 30례 중 21례(70.0%)에서 RAF1양성을 보였으며, 9례(30.0%)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Hsp70음성을 보인 30례 중 24례(80.0%)에서 RAF1양성을 보였으며, 6례(20.0%)에서 음성을 보여 Hsp70발현에 따른 RAF1의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p=0.552).

 

고 찰

위암은 Lauren의 분류법에 따라 미만형과 장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17], 발병률은 장형이 54%, 미만형이 32%, 혼합형이 15%로 미만형이 장형에 비해 낮은 발병율을 보이지만, 미만형은 젊은 환자에게서 호발하며, 장형에 비해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그러므로 미만형 위암에서의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Hsp70은 정상세포 내에서 세포대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에 의하여 그 합성이 증가하는 스트레스단백질의 일종으로 다양한 암에서 발현이 증가되고, 발현의 증가는 종양의 분화도, 림프절전이, 생존률등 다양한 임상병리학적 인자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7, 13, 15, 25, 30].

이전연구에서 HSP70의 발현은 위암에서 종양의 크기, 림프절전이, TNM stage에 따라 발현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2, 11, 18, 19]. 두경부암에서도 Hsp70은 71.3%의 발현을 보이며, 림프절 전이와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보고되었다[3]. 본 연구에서도 종양의 N-stage (p=0.006), 림프절전이(p=0.007)에 따라 Hsp70의 발현율이 증가하여 이전 연구결과와 동일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Hsp70이 위암의 진행에 관여를 하거나 악성종양 세포가 증식함에 따라 주위의 환경으로부터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위암에서의 Hsp70의 발현은 종양세포의 진행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cl-2-associated athanogene-1 (BAG-1)은 anti-apoptotic 기능을 가지는 Bcl-2에 결합하여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것으로 처음 보고되었고[31], 이러한 anti-apoptotic 기능을 통해 복막전이를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38]. anti-apoptotic 기능은 다양한 암종의 발생과 함께 암 증식의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어진다. 이전연구에서 다양한 암에서 BAG1의 발현이 증가되고 유방암, 폐암과 후두암에서 환자의 생존률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었다[27, 33, 34, 36, 37, 38, 39]. 또한 위암세포에서 BAG1의 발현은 위암세포의 이동을 증진 시킨다고 보고되었다[22].

본 연구에서 BAG1은 위암조직에서 71.1%의 발현을 보였으며, 환자의 림프절의 전이, 생존률과의 상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지만 환자의 나이(p=0.035), 종양의 크기(p=0.020)와 상관 관계를 나타내어 폐암에서 BAG1의 발현을 연구한 이전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36].

BAG1의 발현이 젊은 나이와 종양의 크기가 작을 때 더 높은 발현을 나타내는 것은 BAG1이 조기 종양의 생성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 되어지며, 젊은층에 호발하는 미만형 위암의 진단에 좋은 임상적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분석 검체의 28.3%가 음성으로 나타났음으로 단일지표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Hsp70는 Hsc70의 유도형으로 열충격과 세포 외부로부터의 같은 스트레스 인자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어 세포보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여러 암세포에서도 발현이 증강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본 연구 대상 위암조직에서 Hsp70의 발현이 면역조직화학법에 의해 약 50% 양성으로 나타났으나, 음성으로 나타난 50% 조직에 대해서는 real time-PCR과 같은 추가적인 검출방법이 적용되어 재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과 같은 유전체 분석장치 등이 도입되고 있어 향후 DNA 또는 RNA의 임상적 분석 결과가 제시 될 것으로 예상된다.

BAG1은 Hsp70의 ATPase 영역에 결합하여 ADP 유리를 증가시켜 HSP70의 억제로서의 기능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32], 또한, Bcl2와 결합하여 세포사멸을 억제한다[31]. HSP70 발현 역시 세포사멸 억제기능과 연계되어 있다. 암세포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세포증식 속도의 증가와 세포사멸 억제 기능의 증가이다. 따라서, 위암세포에서도 세포사멸 억제분자인 BAG1과 Hsp70이 동시에 발현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BAG1 양성 조직 중 Hsp70 양성을 보인 경우는 55.8%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Hsp70 단일 양성 결과가 50%로 나타난 것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며, 앞서 제시한 Hsp70의 검출 한계인지 또는 실험대상자의 수가 적었기 때문인지는 연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roto-oncogene의 일종인 Raf-1은 세포의 증식과 발달의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 있어서 upstream의 tyrosine kinase와 downstream 의 serine/threonine kinase을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매우 잘 알려져 있다[21]. Raf signaling pathway의 조절장애는 종양세포 성장과 분화 그리고 악성화에 관여하는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9, 20]. 자궁암과 간암에서 Raf-1의 발현의 증가는 환자의 생존률을 감소시키고, 췌장암에서의 발현 또한 증가된다고 보고되었다[4, 5, 6].

본 연구에서도 위암조직의 75%에서 Raf-1의 발현이 관찰되어 이전연구와 동일한 결과 나타내었으며, 종양의 크기가 작을수록 발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5). 또한, BAG1 양성 중 RAF1 양성이 83.7%로 나타나 BAG1과 RAF1의 연관성은 위암에서 유의적이라고 판단된다. 이들 두 인자의 발현검사는 위암의 조기 진단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Hsp70, BAG1과 Raf-1의 발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Hsp70과 BAG1과의 상관관계는 관찰할 수 없었지만, BAG1/Raf-1의 발현과 RAF1/Hsp70의 발현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Hsp70의 양성발현이 음성발현과 동일한 결과에서 RAF1/Hsp70의 발현 연관성은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전이단계의 암과는 Hsp70이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나타나 위암 진행의 평가에 중요한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반면에 미만형 위암의 조기진단에는 BAG1과 Raf-1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Antonioli, D. A. 1990. Gastric carcinoma and its precursors. Monogr. Pathol. 31, 144-180.
  2. Canoz, O., Belenli, O. and Patiroglu, T, E. 2002. General features of gastric carcinomas and comparison of HSP70 and NK cell immunoreactivity with prognostic factors. Pathol. Oncol. Res. 8, 262-269. https://doi.org/10.1007/BF03036742
  3. Choi, H, G., Kim, J, S., Kim, K, H., Kim, K, H., Sung, M, W., Choe, J, Y., Kim, J, E. and Jung, Y, H. 2000. Expression of hypoxic signaling marker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Oncology 58, 144-151. https://doi.org/10.1159/000012091
  4. Chen, L., Shi, Y, C., Jiang, C, Y., Wei, L, X., Wang, Y, L. and Dai, G, H. 2011. Expression and prognostic role of pan-Ras, Raf-1, pMEK1 and pERK1/2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Eur. J. surg. Oncol. 37, 513-520. https://doi.org/10.1016/j.ejso.2011.01.023
  5. David, H., Berger, L, A., Jardines, H, C. and Bruce, R. 1997. Activation of Raf-1 in human pancreatic adenocarcinoma. J. Surg. Res. 69, 199-204. https://doi.org/10.1006/jsre.1997.5022
  6. Fiona, M., Peter, M., Kenneth, G. M., Jane, M. S., Brett, P. M., David, A, C., John, F, S. and Simon, P. L. 2006. Raf-1 is the predominant Raf isoform that mediates growth factor-stimulated growth in ovarian cancer cells. Carcinogenesis 27, 729-739. https://doi.org/10.1093/carcin/bgi289
  7. Garrido, C., Brunet, M., Didelot, C., Zermati, Y., Schmitt, E. and Kroemer, G. 2006. Heat shock proteins 27 and 70: anti-apoptotic proteins with tumorigenic properties. Cell. Cycle. 5, 2592-2601. https://doi.org/10.4161/cc.5.22.3448
  8. Garrido, C., Gurbusani, S., Ravagnan, L. and Kroemer, G. 2001. Heat shock proteins: endogenous modulators of apoptotic cell death. Bio. Chem. Biophys. Res. Commun. 286, 433-442. https://doi.org/10.1006/bbrc.2001.5427
  9. Hilger, R, A., Scheulen, M, E. and Strumberg, D. 2002. The Ras Raf-MEK-ERK pathway in the treatment of cancer. Oncologie 25, 511-518. https://doi.org/10.1159/000068621
  10. Ishigami, S., Natsugoe, S., Sanihara, T., Hokita, S., Tokushige, M., Watanabe, T., Iwaschige, H. and AIkou, T. 1997.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s of early gastric cancer in elderly patients. Hepatogastroenterology 44, 1164-1168.
  11. Isomoto, H., Oka, M., Yano, Y., Kanazawa, Y., Soda, H., Terada, R., Yasutake, T., Nakayama, T., Shikuwa, S., Takeshima, F., Udono, H., Murata, I., Ohtsuka, K. and Kohno, S. 2003.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Hsp) 70 and Hsp 40 in gastric cancer. Cancer Lett. 198, 219-228. https://doi.org/10.1016/S0304-3835(03)00305-7
  12. Jemal, A., Bray, F., Center, M. M., Ferlay, J., Ward, E. and Forman, D. 2011. Global cancer statistics. CA. Cancer J. Clin. 61, 69-90. https://doi.org/10.3322/caac.20107
  13. Joly, A, L., Wettstein, G., Mignot, G., Ghiringhelli, F. and Garrido, C. 2010. Dual role of heat shock proteins as regulators of apoptosis and innate immunity. J. Innate. Immun. 2, 238-247. https://doi.org/10.1159/000296508
  14. Kang, Y., Jung, W, Y., Lee, H., Jung, W., Lee, E., Shin, B, K., Kim, A., Kim, H, K. and Kim, B, H. 2013. Prognostic significance of heat shock protein 70 expression in early gastric carcinoma. Kor. J. Pathol. 3, 219-226.
  15. Kaur, J., Srivastava, A. and Ralhan, R. 1998. Expression of 70-kDa heat shock protein in oral lesions: Marker of biological stress or pathogenicity. Oral. Oncol. 34, 496-501. https://doi.org/10.1016/S1368-8375(98)00064-5
  16. Kitamura, K., Yamaguchi, T., Tanighchi, H., Hagiwara, A., Yamane, T. and Sawai, K. 1996.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stric cancer in the elderly. Br. J. Cancer 73, 798-802, https://doi.org/10.1038/bjc.1996.139
  17. Lauren, P. 1965. The two histological main types of gastric carcinoma: diffuseand so-called intestinal-type carcinoma. an attempt at a histo-clinicalclassification. Acta. Pathol. Microbiol. Scand. 64, 31-49. https://doi.org/10.1111/apm.1965.64.1.31
  18. Lee, J, S., Bae, S, H. and Kim, J, R. 1998. Heat-shock protein 70 and p53 protein expression in gastric carcinomas. Kor. Surg. Soc. 54, 192-200
  19. Maehara, Y, 1., Oki, E., Abe, T., Tokunaga, E., Shibahara, K., Kakeji, Y. and Sugimachi, K. 2015. Overexpression of the heat shock protein HSP70 family and p53 protein and prognosis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Eur. Arch. Otorhinol. 272, 219-228. https://doi.org/10.1007/s00405-014-2954-1
  20. McCubrey, J. A., Steelman, L. S., Chappell, W. H., Abrams, S. L., Wong, E. W., Chang, F., Lehmann, B., Terrian, D. M., Milella, M., Tafuri, A., Stivala, F., Libra, M., Basecke, J., Evangelisti, C., Martelli, A, M. and Franklin, R. A. 2007. Roles of the Raf/MEK/ERK pathway in cell growth, malignant transformation and drug resistance. Biochim. Biophys. Acta1. 773, 1263-1284
  21. Morrison, D, K. and Cutler, R, E. 1997. The complexity of Raf-1regulation. Curr. Opin. Cell. Bio. 19,174-179.
  22. Naishiro, Y., Adachi, M., Okuda, H., Yawata, A., Mitaka, T., Takayama, S., Reed, J, C., Hinoda, Y. and Imai, K. 1999. BAG1 accelerates cell motility of human gastric cancer cells. Oncogene 18, 3244-3251. https://doi.org/10.1038/sj.onc.1202661
  23.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Statistics in Korea. http://www.cancer.go.kr/
  24. Nollen, E. A., Kabakov, A. E., Brunsting J. F., Kanon, B., Hohfeld, J. and Kampinga, H. H. 2001. Modulation of in Vivo HSP70 Chaperone activity by Hip and Bag-1. J. Biol. Chem. 276, 4677-4682. https://doi.org/10.1074/jbc.M009745200
  25. Park, T, S., Kim, H, R., Koh, J, S., Jang, S, H., Hwang, Y, I., Yoon, H, I., Chung, J, H., Kim, C, H., Kim, S, S., Kim, W, S., Jo, J., Lee, J, C. and Choi, C, M. 2014. Heat shock protein 70 as a predictive marker for platinum-based adjuvant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Lung. Cancer 86, 262-267. https://doi.org/10.1016/j.lungcan.2014.08.009
  26. Qiu, Z., Sun, W., Zhou, C. and Zhang, J. 2015. HER2 expression variability between primary gastric cancers and corresponding lymph node metastases. Hepatogastroenterology 137, 231-233
  27. Rorke, S., Murphy, S., Kalifa, M. and Tang, S, C. 2001. Prognostic significance of BAG-1 express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Int. J. Cancer 95, 317-322 https://doi.org/10.1002/1097-0215(20010920)95:5<317::AID-IJC1055>3.0.CO;2-J
  28. Saricanbaz, I., Karahacioglu, E., Ekinci, O., Bora, H., Kilic, D. and Akmansu, M. 2014. Prognostic significance of expression of CD133 and Ki-67 in gastric cancer. Asian Pac. J. Cancer Prev. 19, 8215-8219
  29. Song, J., Takeda, M. and Morimoto, R. I. 2001. Bag1-Hsp70 mediates a physiological stress signling pathway that regulates Raf-1/ERK and cell growth. Nat. Cell. Biol. 3, 276-282. https://doi.org/10.1038/35060068
  30. Syrigos, K, N., Harrington, K, J., Karayiannakis, A, J., Sekara, E., Chatziyianni, E., Syrigou, E, I. and Waxman, J. 2003. Clinical significance of heat shock protein-70 expression in bladder cancer. Urology 61, 677-680. https://doi.org/10.1016/S0090-4295(02)02289-6
  31. Takayama, S., Bimston, D, N., Matzuzawa, S., Freeman, B, C., Aime, S, C., Xie, Z., Morimoto, R, I. and Reed, J, C. 1997. BAG1 modulates the chaperone activity of Hsp70/Hsc70. EMBO J. 16, 4887-4896. https://doi.org/10.1093/emboj/16.16.4887
  32. Takayama, S., Takaaki, S., Krajewski, S., Irie, S., Millan, J, A. and Reed J, C. 1995. Cloning and functional analysis of BAG-1: a novel Bcl-2 binding protein with anti-cell death activity. Cell 80, 279-284. https://doi.org/10.1016/0092-8674(95)90410-7
  33. Tang, S, C., Shaheta, N., Chernenko, G., Khalifa, M. and Wang, X. 1999. Expression of BAG-1 in invasive breast carcinomas. J. Clin. Oncol. 17, 1710-1719. https://doi.org/10.1200/JCO.1999.17.6.1710
  34. Turner, B. C., Krajewski, S., Krajewska, M., Takayama, S., Gumbs, A. A., Rebbeck, T. R., Carter, D., Haffty, B. G. and Reed, J. C. 2001. BAG-1: a novel biomarker predicting long term survival in early-stage breast cancer. J. Clin. Oncol. 19, 992-1000. https://doi.org/10.1200/JCO.2001.19.4.992
  35. Xiaoling, W., Hong, Z., Junyi, Y., Mengyuan, K., Fatao, L., Ting, W., Jiaying, D., Yanfang, T., Lin, H. and Yun, L. 2015. Hypermethylate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promoter is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Sci. Rep. 5, 10154 https://doi.org/10.1038/srep10154
  36. Xue, F, L., Ming, W, C., Lei, X., Lei, D., Guang, Y, M. and Man, H, L. 2012. Combined analysis of mRNA expression of ERCC1, BAG1, BRCA1, RRM1 and TUBB3 to predict prognosis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ho received adjuvant chemotherapy. J. Exp. Clin. Canc. Res. 31, 25-35. https://doi.org/10.1186/1756-9966-31-25
  37. Yamauchi, H., Adachi, M., Sakata, K. I., Hareyama, M., Satoh, M., Himi, T., Takayama, S., Reed, J. C. and Imai, K. 2001. Nuclear BAG-1 localization and the risk of recurrence after radiation therapy in laryngeal carcinoma. Cancer Lett. 165, 103-110. https://doi.org/10.1016/S0304-3835(01)00397-4
  38. Yawata, A., Adachi, M., Okuda, H., Naishiro, Y., Takamura, T., Hareyama, M.,Takayama, S., Reed, J. C. and Imai, K. 1998. Prolonged cell survival enhances peritoneal dissemination of gastric cancer cells. Oncogene 16, 2681-2686. https://doi.org/10.1038/sj.onc.1201792
  39. Yu, X, B., Ji, L., Jian, F, L. and Hong, S. 2007. Clinicopathologic significance of BAG1 and TIMP3 expression in colon carcinoma. World J. Gastro. 28, 3883-3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