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의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문화변용과 학교생활 만족도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culturation of Elementary Student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 박순호 (대구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 Park, Soon Ho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15.12.29
  • 심사 : 2016.02.25
  • 발행 : 2016.02.29

초록

이 논문은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문화변용과 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속성은 전국 혹은 수도권과는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문화변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변용에 있어서는 통합형보다는 동화형의 비중이 약간 크지만 한국 문화를 수용하는데 소극적인 분리형과 주변화형의 비율이 42%를 차지하여 국내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고 학교생활에 익숙할수록 남한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경향이 강하지만 북한에서 태어난 학생의 경우는 남한문화를 거부하려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는 편이며, 영역별로는 교사와의 관계와 학교환경의 만족도는 높은 반면에 학습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또한 학교생활만족도와 문화변용 유형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새로운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유형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탈북한 국내이주 청소년에 대한 기존의 획일적이고 단기적인 교육위주의 지원정책에서 탈피하여, 문화변용차원의 계층별 속성별 수요를 반영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원정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culturation of elementary student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were different from in capital territory or other parts of Korea. The acculturation of students living in Daegu and Gyeongbuk was distinctive. The proportion of assimilation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integration. However, 42 percent of students belonging to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passively accepted south Korean culture, so that they would have a difficult time in adjusting to new culture. Students getting older and being used to school life strongly inclined to accept south Korean culture; while, students born in north Korea tended to resist acceptance of south Korean culture.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school life.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i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chool environment;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in learning activity was relatively 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atisfaction and types of acculturation, students actively accepting new culture were relatively highly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fe. A standardized short-term education oriented program for north Korean adolescents refugees living in south Korea should be shifted into the long-term support policy reflected in class and attribute in terms of accultu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희석, 2007, 새터민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체계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부, 2015, 2015년 탈북청소년 교육지원 계획 발표, 보도자료, 3월 5일.
  3. 금명자.권해수.이희우, 2004, 탈북청소년의 문화적응 과정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95-308.
  4. 김미숙, 2004, 북한이탈학생의 학교적응 실태 분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5. 김윤나, 2008,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유연성에 관한 통합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은경, 2000, 북한이탈주민 적응교육 프로그램 개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종국, 2007, 새터민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주석, 2005, 북한이탈아동의 남한 초등학교 생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독고순, 2001, 탈북 주민의 적응 유형 연구, 중앙대학교 민족발전연구, 5, 24-40.
  10. 박석동, 2014,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의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박순호, 2013, 한국의 국제결혼 베트남 이주여성의 일상생활 만족도 분석, 초등교육연구논총, 29(2), 49-69.
  12. 박순호, 2014, 대구.경북지역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만족도 분석, 초등교육연구논총, 30(2), 29-46.
  13. 박순호.최정수, 2001, 테마파크 에버랜드의 이용자 행태와 만족도, 관광지리학, 114, 125-150.
  14. 박영숙, 2012,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문화변용정체성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3(2), 144-154.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2.144
  15. 박윤숙.윤인지, 2007,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과의 관계, 한국사회학, 41(1), 124-155.
  16. 박정의.성지연, 2012a, 재미한인의 문화변용전략과 미디어 콘텐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479-488.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479
  17. 박정의.성지연, 2012b, 재미한인의 삶의 만족감과 문화변용,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9, 7-37.
  18. 원자혜, 2012, 탈북학생의 실태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요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유동현, 2011, 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기영, 1999, 탈북자의 정신건강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의 모색, 정신보건과사회사업, 8(1), 161-176.
  21. 이선화, 2006, 북한이탈청소년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학업성취 방안 연구: 한빛종합사회복지관의 '하누리 교실' 사례연구,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애란, 2003, 남한 거주 북한이탈주민의 식생활 행동에 관한 연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심리적 문화적응 전략유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영옥, 2010, 발달단계 측면에서 본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청소년이 지각한 환경과 심리적 문제에 미치는 변인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장창호, 2001, 탈북 청소년의 적응에 관한 사회사업적 고찰,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전영주, 2005, 북한 이탈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병호.양계민.이향규.임후남.황순택, 2007, 새터민 청소년: 사회적응력 제고를 위한 교육방안마련 연구, 경기도 교육청.
  27. 정애리.유순화, 2014, 북한이탈청소년이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식의 변화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7(1), 51-75.
  28. 정충영.최이규, 2004,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한글용 SPSS 10.0, 서울: 무역경영사.
  29. 통일부, 통일백서, 1996, 2015.
  30. 한만길.윤종혁.이향규.김일혁, 2009, 탈북학생의 교육실태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1. 홍순혜.이숙영,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변용과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5(5), 121-144.
  32. Ahn, H. S., 1999, Juggling two worlds: ethnic identity of Korean-American college students,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33. Atkinson, D. 2003, Counseling American minorities: a cross-cultural perspective, 6th edition, Boston: McGraw Hill.
  34. Berry, J.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46(1), 5-34. https://doi.org/10.1111/j.1464-0597.1997.tb01087.x
  35. Berry, J.W., Poortinga, Y.H., Segall, M.H., Dasen, P.R., 2002, Cross-cultural psychology: research and applic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Nash, D., 1991, The course of sojourner adaptation: a new test of the U-curve hypothesis, Human Organization, 50(3), 283-286. https://doi.org/10.17730/humo.50.3.h33m187228041203
  37. Redfield, R., Rinton, R, and Herskovists, J, 1936, Memorandoum on the study of acculturation, American Anthropologist, 38, 149-152. https://doi.org/10.1525/aa.1936.38.1.02a0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