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s in Goals and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nge of Integration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Case of the Middle School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의 통합구조 변화에 따른 지리교육의 목표와 내용 변화: 중학교를 중심으로

  • Park, Sunmee (Dep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ha University)
  • 박선미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 Received : 2016.12.19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of goals and contents of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following up the changes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over tim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Third Curriculum, geography education, history education,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were directed and managed independently. However from the 4th to the 7th Curriculum, the demand for the virtual integration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creased sharply. Since 2009 revision, social studies suffered an identity crisis as integrated subject matter because history education was separated from the social studies and interdisciplinary units were abolished. In spite of much criticism, however, an odd form of social studies integrating geography and general social studies still remains. Second, the stronger the demand for the social studies integ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studies learning load had become heavier due to severe competition with other areas to ensure more portion in the integrated structure of social studies. Since geography education did not reflect the new tendency of the geography in the integrated structure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he gap between the geography and geography education has increased and knowledges of geography growing became separated from students'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integrated structure of social studies in the middle school hindered the geography education development as it limited the autonomy of geography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development.

본 연구는 해방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정리하고, 그에 따른 지리교육의 목표와 내용 변화를 통합구조와 수준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요목기부터 제3차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사회과교육의 지리, 역사, 일반사회는 분과적으로 운영되었으나 제4차 교육과정에서 제7차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실질적 통합 요구가 강해졌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역사가 사회과교육과정으로부터 과목 독립하고, 학년마다 배치되었던 학제적 통합 단원도 사라지는 등 통합교과로서 사회과교육의 정체성이 흔들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리와 일반 사회만으로 구성된 중학교 사회과의 기형적 통합구조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둘째, 사회과 통합에 대한 요구가 강할수록 각 학문영역 간 시수 확보 경쟁 또한 치열해져 학습자의 학습 부담도 증가했다. 그리고 중학교 사회과 통합구조는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간극을 점차 벌렸고, 지식과 학생 경험의 괴리도 넓혔다. 이처럼 중학교 사회과 통합구조는 지리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조직의 상위 요인으로 작용하여 의미 있는 지리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현, 2015,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양상-교수요목기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사회과교육, 54(1), 63-89.
  2. 강대현.모경환, 2013,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과정과 양상-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와 실천, 79, 1-23.
  3. 곽한영, 2010, "초기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법교육의 양상에 관한 연구-교수요목기 공민1 교과서를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5(2), 1-23.
  4. 권오정.김영석, 2006, 사회과교육학의 구조와 쟁점, 교육과학사.
  5. 김종건, 2007,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통합교육과정연구, 1, 152-173.
  6. 김진숙, 2012, "일제강점기부터 제1차 교육과정기 교육과정 문서 체계 분석-총론과 교과의 분화와 독립-," 한국교육사학, 34(1), 27-55.
  7. 류재택.최석진.진재관.박선미.강대현.은지용, 2004, 사회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4-4-5.
  8. 박광희, 1963, 한국 사회과 성립과정과 그 과정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선미, 2016,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의사결정 구조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33-45.
  10. 박선미.우선영, 2009,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국가별 스테레오타입-제7차 고등학교 사회교과서 중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48(4), 19-34.
  11. 박정일, 1979, "사회과 지리교육과정의 변천에 관한 연구: 1945-1975," 지리학과 지리교육, 9, 332-353.
  12. 박창언.오은수.차철표, 2013, "교과목 집중이수제 연구: 사회-도덕 교과군을 중심으로," 수산해양교육연구, 25(5), 1224-1237.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5.1224
  13. 박환이, 1998, "한국 사회과교육의 회고," 사회과교육, 31, 3-15.
  14. 손명철, 1999,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하나의 대안," 지리.환경교육, 7(1), 51-65.
  15. 심광택, 2015,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3), 87-100.
  16. 심승희, 2008, "우리나라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환경확대법의 적용과 지역 기술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4), 347-364.
  17. 심풍언, 1986, "고등학교 지리과 교육과정의 연구," 지리 교육논집, 17, 22-53.
  18. 안종욱, 2011, "1950년대 지학의 등장과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한국지형학회지, 18(2), 81-98.
  19. 안종욱, 2012, "고등학교 경제지리 과목의 역사적 기원과 의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3), 33-48.
  20. 조상연.정광순, 2014, "제4차 교육과정 시기의 초등학교 통합교과 생성 과정 고찰," 초등교육연구, 27(1), 157-185.
  21. 조성욱, 2014, "초중등 지리교육 내용 구성 방법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1), 95-110.
  22. 진시원.이종미, 2008,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통합 사회과의 미래," 시민교육연구, 40(2), 223-243.
  23. 최용규.정호범.김영석.박남수.박용조, 2014,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24.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 1998, 한국 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연구, 1998 교육부 위탁연구과제 답신보고서.
  25. 한명희, 1999, "21세기 한국의 교육학: 현재성의 반성과 비판에 기초하여," 교육학연구, 37(4), 29-48.
  26. 허경철.박순경.이광우.이미숙.정영근.김진숙.민용성.김두정, 200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 (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CRC 2005-6.
  27. 홍웅선, 1992, "최초의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의 특징," 한국교육, 19, 23-46.
  28. 홍웅선.김재복, 1989, "한국 교육과정의 생성과정에 대한 재조명," 통합교과 및 특별활동연구, 5(1). 137-278.
  29. 군정청 문교부, 1943, 초중등학교 각과 교수요목집(4), 국민학교 사회생활과.
  30. 文敎部, 1954, 國民學校.中學校.高等學校.師範學校 敎育課程時間配當基準令, 文敎部令 第35號.
  31. 문교부, 1955, 중학교 교과과정, 문교부령 제45호 별책.
  32. 문교부, 1963, 중학교 교육과정.
  33. 문교부, 1973,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325호.
  34. 문교부, 1981, 중학교 교육과정.
  35. 문교부, 1987,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7-7호.
  36. 교육부, 1992,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1호.
  37. 교육부, 1997,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3].
  38. 교육인적자원부, 2007,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3].
  39.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 1].
  40. 교육과학기술부, 2009,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10호 [별책 7].
  4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7].
  4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3호 [별책 7].
  43.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7].
  44.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