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Korea Nano-safety Related Regulations

국내 나노안전성 관련 규제의 법체계 고찰

  • 이천무 (KAIST 부설 나노종합기술원 전략기획팀) ;
  • 윤종민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6.09.12
  • Accepted : 2016.11.01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Recently, the social issue about harmful effects of nano-materials including nano-products to human body and environment have been raised, which were not expected in times past. To prevent the risks of nano-materials on the environment and human body, the regulatory policies are reinforced to ensure public health in world trends. In Korea, governmental department has prepared the policy for 'National nano-safety Management Master Plan' since 2011. However, it is very hard to manage all kinds of nano-materials, due to lack of nano-safety law and a wide range of nano-technology applic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ational policy related to nano-safety management and legislation, and also review the limitation of current system to propose improvement plan for nano-safety.

최근 일부 나노물질과 나노제품의 보건 및 환경에 대한 유해성과 위해성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는 등 과거 예상하지 못했던 부정적인 영향이 현실화되면서 나노물질 또는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안전성 확보가 선결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나노물질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위험으로부터 국민건강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나노물질에 대한 관리 및 규제정책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한국은 2011년에 '나노안전관리 종합계획(2012~2016)'을 수립하여 나노안전성 확보를 위한 범부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제도적 측면에서 명확한 근거가 될 수 있는 나노안전 법제가 미비하고 나노물질의 응용범위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기존 관계 법령의 개정을 통해서는 사후대응적 한계와 전주기적 관리 및 종합적인 관리체계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나노안전 관리에 관한 국가정책 및 관련 법제현황을 분석하고 현행 제도상의 한계점들을 검토하여 나노안전 기반을 확립할 발전적인 법제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병철.김병재.송경석 (2013), 거시적 관점에서 본 나노물질 및 제품의 관리 동향,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 교육과학기술부 (2010),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3.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1), 제1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제 8회 운영위원회(2001.7.18.).
  4.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5), 제2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제 19회 운영위원회(2005.12.13.).
  5. 김기영 (2013), "새로운 위험이나 불확실한 위험에 대한 거래의무 : 나노물질의 위험에 대한 제조사의 민사법적 책임을 중심으로", 저스티스, 제136호, 한국법학원, 95-120.
  6. 김선아 외 (2013), "나노물질 안전관리 동향 및 제도 도입에 관한 고찰", 환경정책연구, 12(3): 49-71.
  7. 김은성 (2013), "나노기술에 대한 한국의 위험거버넌스 분석", 기술혁신연구, 21(3): 1-39. https://doi.org/10.14383/SIME.2013.21.3.001
  8. 내일신문 (2012), "화장품 등 넘치는 나노제품 안전성 의문", (2012.02.03.) 20면.
  9. 동아일보 (2016), "殺생물제 전수조사, 깐깐한 EU기준 적용 검토", (2016.05.05.), A10면.
  10. 미래창조과학부 (2011), 연도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11. 미래창조과학부 (2012), 연도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12. 미래창조과학부 (2013), 연도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13. 미래창조과학부 (2014), 연도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14. 미래창조과학부 (2015), 연도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15. 미래창조과학부 (2016),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16. 미래창조과학부 (2016), 연도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17. 서울신문 (2012), "나노물질 위해성 관리 나선다", (2012.02.09.), 24면.
  18. 소재선.이창규 (2012), "나노물질위험에 따른 사전배려원칙의 적용에 관한 소고", 토지공법연구, (56): 443-475.
  19. 이동환 외 (2014), "나노기술개발촉진법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법연구, 20(2): 149-180.
  20. 이중원 (2010), "나노물질 및 제품의 안전 관리 : 윤리적 원리 및 행위지침 고찰", 한국진공학회지, 19(6): 415-422. https://doi.org/10.5757/JKVS.2010.19.6.415
  21. 전자신문 (2011), "기표원, 나노 물질 안전성 관리 지침 첫 KS 제정", (2011.05.11.), 2면.
  22. 정규원 (2003), "나노과학기술에 대한 법적 검토-NBT(Nanobiotechnology)를 중심으로", 법철학연구, 6(2): 151-178.
  23. 조용진.손경한 (2015), 한국의 나노기술 관련법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23(4): 295-319.
  24. 지식경제부 (2011), 나노융합산업 촉진을 위한 나노제품 안전성 종합계획.
  25. 피용호 (2009), "나노물질의 위험성 및 나노물질 피해에 관한 법적 대응의 방향", 과학기술법연구, 15(1): 3-48.
  26. 피용호 (2011), "나노물질 취급 근로자 보호를 위한 노동법적 대응과 과제", 동아법학, (50): 517-546.
  27. 한국경제 (2016), "생활가전으로 퍼지는 화학물질 포비아", (2016.06.20.), A23면.
  28. 홍용석 외 (2011), 나노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한 제도화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9. 환경보건시민센터 (2016), 석면피해 현황 보고서.
  30. 환경부 (2011), 제1차 나노 안전관리 종합계획.
  31. 환경부 (2013), 화평법.화관법 주요내용 및 계획.
  32. Davies, J. C. (2006), Managing the Effects of Nanotechnology,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Project on Emerging Nanotechnologies.
  33. Friedman, M. (2009), Capitalism and Freed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4. Lazonick, W. (2002), "The Theory of Innovative Enterprise", In M. Warner(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Business and Management, 2nd edition. Stanford, Conn: Thomson Learning, 3055-3076.
  35. Lengrand, L. and Associes (2002), Innovation Tomorrow - Innovation Policy and the Regulatory Framework: Making Innovation an Integral Part of the Broader Structural Agenda, European Commission, EUR 17052.
  36. Oberdorster, E. (2004), "Manufactured Nanomaterials (Fullerenes, C-60) Induce Oxidative Stress in the Brain of Juvenile Largemouth Bas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2(10): 1058-1062. https://doi.org/10.1289/ehp.7021
  37. Porter, M. and van der Linde, C. (1995), "Toward a New Conception of the Environment Competitiveness Relationship",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9(4): 97-118. https://doi.org/10.1257/jep.9.4.97
  38. 경향신문 (2013), "나노기술 '안전법'을", 과학 오디세이(이중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5192136075&code=990100 (2016.06.08.).
  39. 이코노미인사이트 (2014), "흡수성 좋은 나노 화장품, 세포도 뚫는다", http://www.economyinsigh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3 (2016.05.08.).
  40.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2016), '나노물질 및 화평법, 화관법 관련 산업계 설명회' 안내 사이트, http://www.kcma.or.kr/bbs/view.asp?bbs_idx=3540&bbs_code=1 (2016.05.15.).
  41. PEN (Project on Emerging Nanotechnologies) Site, "Consumer Products Inventory ; An Inventory of Nanotechnology-based Consumer Products Introduced on the Market", http://www.nanotechproject.org/cpi/ (11 May 2016).
  42. EACH (2006), "REGULATION (EC) No 1907/2006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http://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PDF/?uri=CELEX:02006R1907-20160714&from=EN (9 May 2016).
  43. House of Lords (2009), "Science and Technology Committee - First Report Nanotechnologies and Food", http://www.publications.parliament.uk/pa/ld200910/ldselect/ldsctech/22/2202.htm#evidence.
  44. President Obama (2011), "Policy Principles for the U.S. Decision-Making Concerning Regulation and Oversight of Applications of Nanotechnology and Nanomaterials", Executive Order 13563, https://www.whitehouse.gov/sites/default/files/omb/inforeg/for-agencies/nanotechnology-regulation-and-oversight-principles.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