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eed for Arbitration and Agreement in Sports Disputes

스포츠중재의 필요성과 중재합의에 관한 고찰

  • 전홍규 (우원개발(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 Received : 2016.02.08
  • Accepted : 2016.02.24
  • Published : 2016.03.02

Abstract

There is a need for disputes in sports to be settled by arbitration rather than a court ruling, tak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ports into consideration. Arbitration is a form of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A dispute resolution system is regarded as: an arbitrator is selected by the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and a binding decision is made, which the parties obey, consequently resulting in a final resolution. To resolve a dispute upon arbitration, there must be an arbitration agreement upon the free will of the parties. In relation to the arbitration agreement, however,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sports organizations have an arbitration clause in the articles of association, regulations or player registration application that call for settling disputes by arbitration. In such cases, the validity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may create doubt whether or not this sort of arbitration has been made by mutual agreement. Consequently this is required to be legally examined. The activities of a sports organization are recognized as part of private autonomy, and they include even the rights that establish regulations or rules. Nonetheless, the powers that such sport organizations are able to establish are not allowed without limit. However, sports activities and autonomy shall be protected as themselves. Therefore, if we give priority to arbitration upon the independent arbitrator and fair process by establishing an independent arbitral organization in charge of sports disputes to handle the effective resolution of disputes and protect sports autonomy and ask for a court decision if one party disobeys the arbitration, or the sports arbitration prepositive principle, it seems helpful to resolve the unfairness of compulsory jurisdiction and the clause for sports arbitration and protect the player's right of choice and of claims for trial.

Keywords

References

  1. 강문숙, "스포츠조정중재제도의 법적 과제", 스포츠와 법 제11권 제1호 통권 제14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08.2.
  2. 강수미, "재판 외의 분쟁해결제도에 대한 반추", 민사소송 제10권 제1호,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06.5.
  3. 김대희, "국내 스포츠분쟁해결기구의 설치에 관한 소고", 중재연구 제24권 제1호, 한국중재학회, 2014.3.
  4. 김상겸, "스포츠권의 헌법적보장", 스포츠와 법 제1권(창간호), 한국스포츠법학회, 2000.2.
  5. 김상겸, "스포츠분쟁해결에 관한 헌법적 연구", 스포츠와 법 제5권, 한국스포츠법학회, 2004.10.
  6. 김상용, 민법총칙 개정판, 법문사, 1995.
  7. 김상찬.양영화, "우리나라 ADR제도의 활성화 방안", 법학연구 제45호, 한국법학회, 2012.2.
  8. 김상태, "스포츠 영역에서의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제16집 제1호, 인하대학교법학연구소, 2013.
  9. 김성룡.안건형, "스포츠 분쟁해결에 있어 국내 중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스포츠와 법 제15권 제1호 통권 제30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2.2.
  10. 김용길, "ADR을 활용한 스포츠사건의 해결에 관한 고찰-중재제도를 중심으로-" 중재연구 제21권 제1호, 한국중재학회, 2011.3.
  11. 김형배, 노동법 제19판(전면개정증보판), 박영사, 2010.
  12. 김형배.김규완.김명숙, 민법학강의-이론.판례.사레- 제9판, 신조사, 2010.
  13. 남기연, "스포츠 중재 합의에 관한 법률적 검토", 홍익법학 제10권 제3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14. 목영준, 상사중재법 , 박영사, 2011.
  15. 류재철, "소송 외의 대체적 분쟁해결제도(ADR)에 관한 연구", 동의법정 제18집, 동의대학교지방자치연구소, 2002.
  16. 손경한.심현주, "중재합의에 대한 새로운 고찰", 중재연구 제23권 제1호, 한국중재학회, 2013.3.
  17. 손석정,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의 과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2권 제1호, 한국사회체육학회, 2008.
  18. 연기영,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비추어 본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 스포츠와 법 제11권 제1호 통권 제1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08.2.
  19. 연기영,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의 설립과 활동", 스포츠와 법 제10권 제4호 통권 제13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07.11.
  20. 오석웅, "스포츠중재의 효율성과 과제", 스포츠와 법 제11권 제1호 통권 제14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08.2.
  21. 이병준, "약관을 통한 소비장중재합의와 그 유효성", 중재연구 제24권 제1호, 한꿎우재학회, 2014.3.
  22. 이재경, "스포츠분쟁과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 법률신문 3685호, 2008.9.
  23. 임건면, "스포츠 중재합의와 내용통제" 스포츠와 법 제9권,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06.10.
  24. 장달영, "스포츠분쟁 및 KCAB 중재의 활성화 방안", 중재 제333호(2010년 가을), 대한상사중재원, 2010.
  25. 정승재, "스포츠자치권과 스포츠분쟁", 스포츠와 법 제5권, 한국스포츠법학회, 2004.10.
  26. 정승재, "스포츠 조정.중재제도의 법적 과제", 스포츠와 법 제11권 제1호 통권 제14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08.2.
  27. 채우석, "스포츠 분쟁해결에 관한 연구", 스포츠와 법 제12권 제1호 통권 제18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09.2.
  28. 허영, 한국헌법론 전정7판, 박영사, 2011.
  29. 小島武司.淸水宏" 裁判外紛爭解決手續の利用の促進に關する法律の制定とスポ- ツ紛爭の解決", 스포츠와 법 제5권, 한국스포츠법학회, 2004.10.
  30. 廣田尙久, 紛爭解決學, 信山社, 2006.
  31. Matthieu Reeb(eds), "Digest of CAS Awards III 2001-2003", 2004.
  32. Clive M. Schmitthoff, "Export Trade : The Law and Practice of International Trade", 9th ed., Stevens & Sons, 1990.
  33. Takeshi Kojima, "Civil Procedure and ADR in Japan", Series of the Institute of Comparative Law in Japan 65, Tokyo: Chuo University Press, 2004.
  34. 박선영(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를 촉구하는 시민모임), "[특집]한국은 국제스포츠대회의 전성시대(?)(63호)", 문화연대 뉴스레터 문화빵 63호, 2015.7.1.자, 접속일 2015.11.24., .
  35. 연기영,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는 꼭 살려내야 한다", 스포츠둥지 국제체육 국제스포츠/법, 2010.5.26.자, 접속일 2015.11.24., .

Cited by

  1. 스포츠 조정·중재제도의 활용방안 - K 선수 사례 중심으로- vol.26, pp.2, 2016, https://doi.org/10.16998/jas.2016.26.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