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아비투스의 실천행동, 기부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길

Giving -Habitus of Citizen-

  • 투고 : 2015.12.15
  • 심사 : 2016.01.22
  • 발행 : 2016.02.28

초록

이 연구는 기부라는 사회적 행위를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으로 조명해 온 선행연구의 공리주의적 전제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브르디외의 사회적 장의 이론과 아비투스 이론을 토대로, 기부라는 사회적 행위는 시민사회가 사회적 장 내에 형성하고 유산한 시민됨의 아비투스가 발현된 실천행위라고 가정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KGSS 2011년 자료를 이용해 시민됨과 기부행동사이의 인과관계에 관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상정한 구조모형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모형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시민됨의 요소 중 시민덕목과 시민참여는 기부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민됨의 수준이 높을수록 즉 시민으로서 아비투스 구성의 완성도가 높을수록 이의 실천행동인 기부행동 또한 적극적임을 의미하며, 기부가 시민됨의 아비투스가 발현된 실천행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developed from the idea that giving has been interpreted exclusively as a social selection based on reasonal think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ed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giving was a habitus of citizen, based on Bourdieu theory of social setting and habitu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econdary data from KGSS 2011 through SEM. Result revealed that the goodness of fit for the proposed structural model was high. Also, level of virtue as civizen and social participation as citize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vel of giving,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giving was a hibitus of citize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철희, 1998, "후원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일반적 특징과 그들의 후원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5: 1-30.
  2. 강철희․김유나․조주희, 2010, "기부충성도를 지닌 인구집단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2(1): 205-234.
  3. 강철희․조승종․안성호, 2011, "저소득층의 기부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9: 88-120.
  4. 강철희․최명민․김수연, 2012,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4(2): 57-82.
  5. 고경환․이연희․김정현․오미애․강지원․진재현․함선유, 2015, 나눔실태 2014, 보건복지부 보건사회연구원.
  6. 김남숙, 2007, "기부활동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동춘, 2013, "시민권과 시민성", 서강인문논총, 37: 5-46.
  8. 김용원 역, 2005, 실천이성, Bourdieu, P. 1994a, 서울: 동문선.
  9. 김용준․김주원, 2005, "대학기부자의 기부의도, 기부만족, 기부정기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마케팅연구, 20(4): 57-89.
  10. 김자영․김두섭, 2013, "주관적 계층의식과 사회사본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보건사회연구, 33(2): 401-430.
  11. 김천기, 2007, "부르디외의 장과 아비투스 이론의 적용가능성과 난점",교육사회학연구, 17(3): 79-99.
  12. 박선하․박신혜․이희영, 2015, "성남시 고등학생들의 봉사 및 기부와 민주시민의식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95-306.
  13. 박의경, 2011, "대중에서 시민으로",한국정치학회보, 45(5): 81-100.
  14. 보건사회연구원, 2013, www.kihasa.re.kr.
  15. 서관모, 2001, "한국의 시민사회 담론의 문제점들", 사회과학연구, 18(2): 99-117.
  16. 신미경 역, 2004, 사회학의 문제들, Bourdieu, P. 1984, 서울: 동문선.
  17. 이동수, 2008, "지구화 시대 시민과 시민권", 한국정치학회보, 42(2): 5-23.
  18. 이수애․이성태, 2009, "개인의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기관 신뢰와 몰입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1(3): 69-95.
  19. 이용규․송용찬, 2012,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한국공공관리학보, 9: 189-211.
  20. 장은주․정상호․신진욱․이병천․이양수․조흥식․박영선․정태석․홍윤기․전상직․이담인, 2014, "시민의 탄생과 진화", 시민과 세계, 24: 276-310.
  21. 주선미, 2010, "공론장 이론을 통한 시민성 연구", 사회과교육, 6: 171-183
  22. 정병기, 2013, "한국 시민운동의 흐름과 시민성", 진보평론, 55: 14-31.
  23. 조소라, 1995, "사회복지기관 후원자들의 후원행위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최종철 역, 2005, 구별짓기 상권, Bourdieu, P. 1994b, 서울: 새물결.
  25. 최혜지․이소영․정순둘, 2015,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 우울의 최적모형 탐색과 영향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2), 149-175.
  26. 한국사회과학자료원, available at: www.kossda.or.kr.
  27. 한동우․최혜지, 2015, "복지국가는 사적공간을 어떻게 식민화 하는가?",한국사회복지학, 67(2): 161-181.
  28. 홍윤기, 2002, "시민민주주의론", 시민과 사회, 1: 15-37.
  29. 황창순, 강철희, 2002, "개인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1(2): 33-73.
  30. Bekkers, R. 2004, Giving and volunteering in the Netherlands. The Netherlands: Ulrecht University.
  31. Lyons, M., & Passey, A., 2005, Giving Australia: Research on Philanthropy in Australia, Sydney: University of Technology.
  32. Sargeant, A., 1999, "Charitable Giving: Towards a Model of Donor Behaviour",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5(4): 215-238. https://doi.org/10.1362/026725799784870351
  33. Van Slyke, D. M., and Brooks, A. C., 2005, "Why Do People Give? New Evidence and Strategies for Nonprofit Managers", The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35(3): 199-222. https://doi.org/10.1177/0275074005275308
  34. Wiepking, P., 2005, "The Philanthropic Poor: In Search of Explanations for the Relative Generosity of Lower Income Households", Working Paper, Vrije Universiteit.